톱 528 디 도스 방어 새로운 업데이트 88 분 전

주제에 대한 기사를 찾고 있습니까 “디 도스 방어“? 웹사이트에서 이 주제에 대한 전체 정보를 제공합니다 https://c2.chewathai27.com/ 탐색에서: https://c2.chewathai27.com//blog. 바로 아래에서 이 주제에 대한 자세한 답변을 찾을 수 있습니다. 찾고 있는 주제를 더 잘 이해하려면 끝까지 읽으십시오. 더 많은 관련 검색어: 디 도스 방어 디도스 방어 프로그램, 디도스 방어 원리, 개인 디도스 방어, 디도스 방어 호스팅, 무료 디도스 방어 프로그램, 디도스 공격 받으면, 디도스 대처, 디도스 공격 확인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 – 나무위키

1 thg 1, 2023 — 모든 디도스 공격을 100% 방어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영어로도 디도스 공격 대응을 표현할 때 방어가 아닌 완화(Mitigation)라는 단어를 주로 사용 …

  • Source: namu.wiki
  • Views: 100971
  • Publish date: 22 minute ago
  • Downloads: 99831
  • Likes: 774
  • Dislikes: 5
  • Title Website: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 – 나무위키
  • Description Website: 1 thg 1, 2023 — 모든 디도스 공격을 100% 방어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영어로도 디도스 공격 대응을 표현할 때 방어가 아닌 완화(Mitigation)라는 단어를 주로 사용 …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 Source: Youtube
  • Views: 15613
  • Date: 13 hours ago
  • Download: 47179
  • Likes: 7860
  • Dislikes: 5

아직 현재진행형 ‘디도스’ 공격, 어떻게 방어해야 하나 – 보안뉴스

▲중소·영세기업 대상 DDoS 공격 현황[자료=KISA]

▲디도스 사이버대피소 이용대상 및 절차[자료=KISA]

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이미지=utoimage]

18 thg 7, 2022 — 크게 세 가지 방법이 있는데, 첫 번째는 인터넷의 대역폭을 확보하는 방법이다. 두 번째는 주요 콘텐츠나 데이터베이스를 분산해서 배치하는 방법이며, 세 …

  • Source: www.boannews.com
  • Views: 25608
  • Publish date: 20 hours ago
  • Downloads: 70077
  • Likes: 710
  • Dislikes: 7
  • Title Website: 아직 현재진행형 ‘디도스’ 공격, 어떻게 방어해야 하나 – 보안뉴스
  • Description Website: 18 thg 7, 2022 — 크게 세 가지 방법이 있는데, 첫 번째는 인터넷의 대역폭을 확보하는 방법이다. 두 번째는 주요 콘텐츠나 데이터베이스를 분산해서 배치하는 방법이며, 세 …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디도스(DDoS) 공격은 왜? 무엇 때문에 계속 발생하는가? 디도스 방어는?

  • Source: Youtube
  • Views: 105725
  • Date: 9 hours ago
  • Download: 31005
  • Likes: 2569
  • Dislikes: 2

아직 현재진행형 ‘디도스’ 공격, 어떻게 방어해야 하나

[이미지=utoimage]

▲중소·영세기업 대상 DDoS 공격 현황[자료=KISA]

▲디도스 사이버대피소 이용대상 및 절차[자료=KISA] [보안뉴스 원병철 기자] 2009년 발생한 7.7 디도스(DDoS) 공격은 주요 정부기관은 물론 은행과 포털 등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이 사건은 사이버공격이 현실에도 큰 피해를 입힐 수 있다는 것을 증명했고, 정부와 기관, 기업들은 디도스 대응 장비 도입을 서둘렀다.DDoS(Distributed Denial of Service attack,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는 기존 DoS(Denial of Service attack, 서비스 거부 공격) 공격을 여러 대의 IT 기기를 이용해 확대한 공격이다. 즉, DoS 공격은 공격자가 직접 준비한 PC 혹은 IT 기기를 이용해 공격한다면, DDoS는 먼저 다른 PC나 IT 장비를 공격해 악성코드를 감염시킨 후, 이 장비들을 좀비 PC나 좀비 단말로 만들어 ‘봇넷(botnet)’을 구성해 공격하는 방식이다. 최근에는 IP 카메라나 AI 스피커 등 일상생활에서 쉽게 볼 수 있는 IoT 기기를 이용한 DDoS 공격도 발생하고 있다.언뜻 비슷한 공격처럼 보이지만, 이를 막아야 하는 입장에서는 엄청난 차이가 있다. DoS의 경우 1대의 장비만 막으면 되지만, DDoS는 수십에서 수천대의 IT 장비를 모두 막아야 하기 때문에 중소·영세기업들은 대응에 한계가 있다. 중소·영세기업들이 디도스 공격의 사각지대에 놓이자, 정부는 2009년 7.7 디도스 사건 이후 중소·영세기업 대상의 디도스 공격 방어를 위한 ‘디도스 사이버대피소’를 만들어 공동 대응에 나섰다. 2010년 설립된 디도스 사이버대피소는 한국인터넷진흥원(이하 KISA)이 맡았으며, 현재 KISA 최고의 서비스 중 하나로 손꼽히고 있다.2009년 7.7 디도스 공격을 시작으로 2011년 10월 정부사이트 공격과 2013년 6.25 사이버테러, 2020년 8월 금융권 공격과 2021년 3월 포털 공격에 2022년 6월 30Gb의 토스 공격까지 디도스 공격은 지금도 계속 발생하고 있다. 특히, 해외에서는 2016년 10월 Dyn의 1.2Tb 공격과 2021년 11월 MS 애저(Azure)의 3.47Tb 공격 등 테라바이트 공격을 넘는 대규모 공격이 발생하고 있다.또한, 디도스 사이버대피소 자료에 따르면 2018년 16.7Gb에서 2019년 68Gb까지 오르는 등 중소·영세기업 대상의 디도스 공격 규모도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다. 공격방법도 다양해지고 있는데, 특히 한 번의 공격에 다양한 공격기법을 복합적으로 사용하는 복합공격이 비율이 늘고 있다.그렇다면 디도스 공격을 막는 방법은 어떤 것이 있을까? 크게 세 가지 방법이 있는데, 첫 번째는 인터넷의 대역폭을 확보하는 방법이다. 두 번째는 주요 콘텐츠나 데이터베이스를 분산해서 배치하는 방법이며, 세 번째는 인터넷 트래픽을 실시간 모니터링해 디도스 공격이 발생할 경우 즉각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다. 문제는 이러한 방법들 모두 ‘비용’과 ‘인력’을 필요로 한다는 점이다. 이처럼 중소·영세기업은 디도스 방어방법을 쉽게 추진할 수 없기에 정부가 디도스 사이버대피소를 운영하고 있는 것이다.디도스 사이버대피소는 첫 번째와 세 번째 방법을 함께 사용한다. 디도스 사이버대피소는 기업 DNS의 웹서버 IP 정보를 대피소 IP로 교체함으로써 외부 공격을 받아 차단하는 방식으로 디도스 공격을 방어한다. 즉, 기업에 쏟아지는 디도스 공격을 사이버대피소가 대신 받는 것이다. 이 때문에 높은 트래픽의 공격을 막기 위한 많은 대역폭의 확보와 24시간 트래픽 상시 분석을 진행하고 있다.디도스 사이버대피소는 총 160Gb의 트래픽을 수용할 수 있으며, 통신사 장비를 임차했기 때문에 긴급한 상황에서는 트래픽 용량을 확장할 수도 있다.그렇다면 기업들은 디도스 사이버대피소를 어떻게 운영할 수 있을까? 일반적인 중소·영세기업이라면 누구든 이용이 가능하다. 다만, 사행성 사업이나 불법적인 사업의 경우는 지원이 어렵다. 신청 절차는 2가지인데, 첫 번째는 사전 등록을 통해 미리 가입하는 방법과 실제 공격을 받았을 경우 긴급 대처 후 등록하는 방법이다. 사전 등록은 간단한 서류접수와 서비스 환경을 분석한 후 적격심사를 거쳐 대기한다. 이후 실제 디도스 공격을 받을 경우 긴급하게 해당 기업의 웹사이트 DNS를 변경해 IP를 디도스 사이버대피소로 옮겨 대신 공격을 받아 방어한다.두 번째는 사전등록을 하지 않았더라도 갑작스럽게 디도스 공격을 받아 KISA 혹은 디도스 사이버대피소에 요청할 경우 필수정보를 확인(구두 확인)하고 대피소에 등록하고 방어한다.디도스 사이버대피소는 이렇게 기업의 디도스 공격을 대신 받아들여 방어한 후, 공격이 끝나면 결과보고 및 사후 모니터링을 진행한다.KISA에 따르면 디도스 사이버대피소는 2010년 개소한 이후 이용고객이 연평균 56.7% 이상 증가했다. 2021년까지 총 7,271개의 기업이 등록했거나 서비스를 받았으며, 현재도 약 900~1,000여개의 기업이 사전 등록한 상황이다. 이중 실제 공격을 받았거나 위급한 상황임을 인정받아 디도스 사이버대피소에 입주한 기업은 100~200여개다.디도스 사이버대피소는 2021년까지 총 1,351건의 디도스 공격을 방어했으며, 2013년 이후 꾸준하게 80~150여건의 공격을 매년 방어하고 있다. 아울러 디도스 공격 모의훈련도 진행, 요청 기업에게 공격 트래픽을 생성해서 방어체계를 점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실무를 담당하고 있는 김은성 KISA 탐지대응팀장은 “새로운 공격기법에 대한 고도화를 진행하고 있다”면서, “관련 장비 구축 등 기본 셋팅은 끝났지만, 아직 디도스 공격 방어가 기본인 것은 잊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침해사고 발생기업은 사이버대피소로 즉시 입주를 지원하고, 침해사고 피해기업이 복구시까지 대피소에서 보호받을 수 있도록 기능을 확대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원병철 기자( [email protected] )]

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DDOS 공격의 정의 및 공격으로부터 사이트를 보호하는 방법

DDoS 공격을 완화하는 첫 번째 기법 중 하나는 공격을 받을 수 있는 대상 영역을 최소화하여 공격자의 옵션을 제한하고 한 곳에서 보호 기능을 구축하는 것입니다. AWS에서는 애플리케이션이나 리소스를 통신이 일어날 것으로 예상되지 않는 포트, 프로토콜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노출하지 않는다는 점을 분명히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공격 가능 지점이 최소화되므로 AWS에서는 완화 노력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일부의 경우에는 컴퓨팅 리소스를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CDN) 또는 로드 밸런서 뒤에 배치하고 데이터베이스 서버와 같은 인프라의 특정 부분에 인터넷 트래픽이 직접 접근하지 못하도록 제한할 수 있습니다. 다른 경우에는 방화벽 또는 ACL(액세스 제어 목록)을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에 도달하는 트래픽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전송 용량. 애플리케이션을 설계할 때에는 호스팅 제공업체가 대량의 트래픽을 처리할 수 있도록 충분한 중복 인터넷 연결을 제공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DDoS 공격의 최종 목표가 리소스/애플리케이션의 가용성에 악영향을 주는 것이므로, 이를 최종 사용자뿐만 아니라 대규모 인터넷 교환망에 가까운 곳에 배치해야 합니다. 그러면 트래픽 볼륨이 증가하더라도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에 쉽게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또한, 웹 애플리케이션의 경우는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CDN) 및 스마트 DNS 확인 서비스를 사용하여 최종 사용자에게 좀 더 가까운 위치에서 콘텐츠를 제공하고 DNS 쿼리를 해결할 수 있는 추가적인 네트워크 인프라 계층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애플리케이션 자체의 취약성을 악용하려고 시도하는 SQL 주입 또는 사이트 간 요청 위조와 같은 공격에 대비하려면 WAF(웹 애플리케이션 방화벽)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이러한 공격의 고유한 특성상, 정상 트래픽으로 위장하거나 잘못된 IP 또는 예상치 못한 지역에서 수신되는 등의 특징이 있을 수 있는 불법적인 요청에 대비하여 사용자 지정된 완화 기능을 손쉽게 생성할 수 있어야 합니다. 때로는 트래픽 패턴을 연구하고 사용자 지정된 보호 기능을 생성할 수 있는 경험이 풍부한 엔지니어의 지원을 받을 수 있다면 공격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DoS(Denial of Service) 공격은 웹 사이트 또는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대상 시스템의 가용성과 합법적인 최종 사용자에게 악영향을 미치려는 악의적인 시도입니다.

  • Source: aws.amazon.com
  • Views: 24245
  • Publish date: 22 hours ago
  • Downloads: 35564
  • Likes: 9379
  • Dislikes: 8
  • Title Website: DDOS 공격의 정의 및 공격으로부터 사이트를 보호하는 방법
  • Description Website: DoS(Denial of Service) 공격은 웹 사이트 또는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대상 시스템의 가용성과 합법적인 최종 사용자에게 악영향을 미치려는 악의적인 시도입니다.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DOS 공격의 꽃! SYN Flood | 화이트 해커가 보여주는 해킹 공격 | SYN Flood 원리와 방어 방법 (Feat. SYN Cookies, SYN Proxy)

  • Source: Youtube
  • Views: 18656
  • Date: 32 minute ago
  • Download: 70509
  • Likes: 4766
  • Dislikes: 6

DDOS 공격의 정의 및 공격으로부터 사이트를 보호하는 방법

공격 대상 영역 줄이기

DDoS 공격을 완화하는 첫 번째 기법 중 하나는 공격을 받을 수 있는 대상 영역을 최소화하여 공격자의 옵션을 제한하고 한 곳에서 보호 기능을 구축하는 것입니다. AWS에서는 애플리케이션이나 리소스를 통신이 일어날 것으로 예상되지 않는 포트, 프로토콜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노출하지 않는다는 점을 분명히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공격 가능 지점이 최소화되므로 AWS에서는 완화 노력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일부의 경우에는 컴퓨팅 리소스를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CDN) 또는 로드 밸런서 뒤에 배치하고 데이터베이스 서버와 같은 인프라의 특정 부분에 인터넷 트래픽이 직접 접근하지 못하도록 제한할 수 있습니다. 다른 경우에는 방화벽 또는 ACL(액세스 제어 목록)을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에 도달하는 트래픽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규모에 대한 대비

대규모 볼륨의 DDoS 공격을 완화하기 위한 주요 고려 사항 두 가지는 공격을 흡수하고 완화할 수 있는 대역폭(또는 전송) 용량과 서버 용량입니다

전송 용량. 애플리케이션을 설계할 때에는 호스팅 제공업체가 대량의 트래픽을 처리할 수 있도록 충분한 중복 인터넷 연결을 제공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DDoS 공격의 최종 목표가 리소스/애플리케이션의 가용성에 악영향을 주는 것이므로, 이를 최종 사용자뿐만 아니라 대규모 인터넷 교환망에 가까운 곳에 배치해야 합니다. 그러면 트래픽 볼륨이 증가하더라도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에 쉽게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또한, 웹 애플리케이션의 경우는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CDN) 및 스마트 DNS 확인 서비스를 사용하여 최종 사용자에게 좀 더 가까운 위치에서 콘텐츠를 제공하고 DNS 쿼리를 해결할 수 있는 추가적인 네트워크 인프라 계층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서버 용량. 대부분의 DDoS 공격은 많은 리소스를 소모하는 볼륨 공격입니다. 따라서 컴퓨팅 리소스를 신속하게 확장 또는 축소할 수 있는 기능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더 큰 컴퓨팅 리소스에서 실행하거나, 더 큰 볼륨을 지원하는 광범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또는 향상된 네트워킹과 같은 기능이 있는 컴퓨팅 리소스에서 실행하면 됩니다. 또한, 로드 밸런서를 사용하여 지속적으로 리소스 간 로드를 모니터링하고 이동하여 하나의 리소스에만 과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하는 것도 일반적인 방법입니다.

정상 및 비정상 트래픽 파악

호스트의 트래픽 발생의 수준이 증가하는 것을 감지할 때마다 AWS에서 가장 기본적으로 고려하는 원칙은 가용성에 영향을 주지 않고 호스트가 처리할 수 있는 만큼의 트래픽만 수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 개념을 속도 제한이라고 부릅니다. 좀 더 고급 보호 기법은 한 단계 더 나아가서 개별 패킷 자체를 분석하여 지능적으로 합법적인 트래픽만 수용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대상이 일반적으로 수신하는 정상 트래픽의 특징을 이해하고 각 패킷을 이러한 기준과 비교할 수 있어야 합니다.

정교한 애플리케이션 공격에 대비하여 방화벽 배포

애플리케이션 자체의 취약성을 악용하려고 시도하는 SQL 주입 또는 사이트 간 요청 위조와 같은 공격에 대비하려면 WAF(웹 애플리케이션 방화벽)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이러한 공격의 고유한 특성상, 정상 트래픽으로 위장하거나 잘못된 IP 또는 예상치 못한 지역에서 수신되는 등의 특징이 있을 수 있는 불법적인 요청에 대비하여 사용자 지정된 완화 기능을 손쉽게 생성할 수 있어야 합니다. 때로는 트래픽 패턴을 연구하고 사용자 지정된 보호 기능을 생성할 수 있는 경험이 풍부한 엔지니어의 지원을 받을 수 있다면 공격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디도스방어 원리 대처방법 및 Anti-DDoS 솔루션 기능

모니터링 대상 설명 IP 프로토콜 분포 평소와 다른 공격징후 및 유형을 파악하기 위해 IP계층 프로토콜을 모니터링 (BPS, FPS, PPS 등의 수치) 서비스별 사용량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레벨에서 평소와 다르게 급증하는 사용량을 체크 네트워크 현황 프로토콜 서비스별 네트워크 사용현황, 프레임 사이즈 등에 대한 상세 모니터링 응답지연시간 측정 웹, DB 서버응답속도 변화량 체크 패킷 분석 IPS, IDS 룰에 따른 패킷탐지 및 차단실시

안티 디도스 솔루션의 주요 기능은 네트워크 및 애플리케이션 계층에 대한 평소와 다른 특이사항의 모니터링입니다. 가령, 이상 트래픽이 감지될 경우 해당 IP나 포트에 대한 트래픽을 집중적으로 감시하거나 속도의 저하 또는 최악의 경우 차단할 수도 있습니다. 국내 Anti-DDoS 대표 솔루션으로 안랩의 TrusGuard가 있으며 자세한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디도스 방어는 악의적인 대량 트래픽 발생으로 서버 자원을 소모해 서비스가 불가능하도록 하는 공격으로부터 방어하는 기술입니다. 디도스 방어 기법에는 크게 공격 대상을 줄이고 서버의 용량을 늘리는 한편 비정상 트래픽을 분석하는 기법을 사용합니다. 본문에서는 디도스 방어의 원리 및 대처방법 그리고 디도스 방어 솔루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2 thg 8, 2022 — 디도스 방어는 악의적인 대량 트래픽 발생으로 서버 자원을 소모해 서비스가 불가능하도록 하는 공격으로부터 방어하는 기술입니다. 디도스 방어 기법 …

  • Source: techblogpedia.com
  • Views: 44707
  • Publish date: 12 minute ago
  • Downloads: 7042
  • Likes: 8382
  • Dislikes: 1
  • Title Website: 디도스방어 원리 대처방법 및 Anti-DDoS 솔루션 기능
  • Description Website: 22 thg 8, 2022 — 디도스 방어는 악의적인 대량 트래픽 발생으로 서버 자원을 소모해 서비스가 불가능하도록 하는 공격으로부터 방어하는 기술입니다. 디도스 방어 기법 …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자막뉴스] 이유 없이 방송 마비시키고 급기야 협박까지, 무서울 것 없는 이들의 정체 / JTBC News

  • Source: Youtube
  • Views: 33447
  • Date: 8 hours ago
  • Download: 34767
  • Likes: 4078
  • Dislikes: 8

디도스방어 원리 대처방법 및 Anti-DDoS 솔루션 기능

디도스 방어는 악의적인 대량 트래픽 발생으로 서버 자원을 소모해 서비스가 불가능하도록 하는 공격으로부터 방어하는 기술입니다. 디도스 방어 기법에는 크게 공격 대상을 줄이고 서버의 용량을 늘리는 한편 비정상 트래픽을 분석하는 기법을 사용합니다. 본문에서는 디도스 방어의 원리 및 대처방법 그리고 디도스 방어 솔루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디도스방어 원리

DDos 공격의 유형 및 특징에 대한 글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DDoS 공격은 동시다발적 서비스 동시 요청을 하며, 정상적인 트래픽과 악의적인 트래픽의 구분이 어렵기 때문에 모든소스를 차단하는 것이 까다로운 특징이 있습니다.

디도스 방어시스템 구성도

디도스방어를 위해 위와 같은 전용 Anti-DDoS 장비를 사용해 이상 트래픽을 사전에 감지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와 같은 DDoS 방어 솔루션이 모니터링하는 대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모니터링 대상 설명 IP 프로토콜 분포 평소와 다른 공격징후 및 유형을 파악하기 위해 IP계층 프로토콜을 모니터링 (BPS, FPS, PPS 등의 수치) 서비스별 사용량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레벨에서 평소와 다르게 급증하는 사용량을 체크 네트워크 현황 프로토콜 서비스별 네트워크 사용현황, 프레임 사이즈 등에 대한 상세 모니터링 응답지연시간 측정 웹, DB 서버응답속도 변화량 체크 패킷 분석 IPS, IDS 룰에 따른 패킷탐지 및 차단실시

Anti-DDoS 솔루션 기능

디도스공격 계층

디도스 공격은 크게 네트워크 계층에 해당하는 TCP/IP 프로토콜에 해당하는 공격이 주를 이룹니다. 그리고 상위 애플리케이션 계층에 대한 공격도 있지만 네트워크 계층 공격에 비해 비중은 적지만 보다 정교한 특징이 있습니다.

네트워크 계층 애플리케이션 계층 SYN Flooding과 같은 광범위하고 일반적인 공격의 형태로 감지하기가 쉬운 특징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집중공격하는 것으로 로그인 페이지와 같이 특정 대상을 타겟 공격하는 특징

안티 디도스 솔루션의 주요 기능은 네트워크 및 애플리케이션 계층에 대한 평소와 다른 특이사항의 모니터링입니다. 가령, 이상 트래픽이 감지될 경우 해당 IP나 포트에 대한 트래픽을 집중적으로 감시하거나 속도의 저하 또는 최악의 경우 차단할 수도 있습니다. 국내 Anti-DDoS 대표 솔루션으로 안랩의 TrusGuard가 있으며 자세한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다양한 대용량 네트워크 공격차단 (UDP, ICMP, IGMP, IP, DNS, SSL Flooding)

애플리케이션 계층 공격 차단

Fragmentation 공격차단

디도스 대처방법

1. 공격 대상의 분산

첫째로 공격의 대상을 분산시키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가령 아래 그림과 같이 원래 서버 주위에 Cash Server에 해당하는 CDN 네트워크나 로드밸런서를 배치하여 보호할 서버의 트래픽을 중간에서 완화시킬 수있습니다. 또한 방화벽에서 별도의 패킷 필터링 및 접근제어를 통해 서버에 직접적인 트래픽을 낮출 수도 있습니다.

CDN 서버구성도

2. 서버 용량의 증설

디도스로 의심되는 트래픽이 있더라도 이를 위해 정상 사용자의 트래픽까지 완벽하게 차단할 수는 없습니다. 따라서 CDN 서버나 스마트 DNS 등을 이용해서 사용자에게 서비스가 정상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추가적인 네트워크 인프라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3. 트래픽 분석

앞서 설명해 드린 디도스 방어 솔루션을 사용하는 것으로 평소와 다른 트래픽이 발생하는 것을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제어 또는 차단하는 기술입니다. 이를 위해 차세대 방화벽이나 UTM 보안 솔루션을 추가로 사용하여 악의적인 트래픽을 필터링 할 수 있습니다.

4. DNS 우회

특정 서비스에 대해 공격이 감지되었을 경우 DDoS 공격트래픽을 서버로 직접 향하지 않고 DDoS 방어 솔루션이 있는 루트로 우회시키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실시간으로 이상 트래픽 감지 시 서버의 위치와 상관없이 빠르게 대응이 가능합니다.

다만, 해당 DNS 우회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의 솔루션을 사용해야 합니다.

이상으로 디도스 방어원리 및 대처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이외의 다양한 네트워크 보안 솔루션에 대해서는 이전 글을 참고바랍니다.

DDoS 공격이란 무엇일까요? – Akamai

DDoS 공격을 시작하기 위해 공격자는 멀웨어를 사용하거나 보안 취약점을 악용해 악의적으로 컴퓨터와 디바이스를 감염시키고 제어할 수 있습니다. ‘봇’ 또는 ‘좀비’라 불리는 컴퓨터 또는 감염된 디바이스는 멀웨어를 더욱 확산시키고 DDoS 공격에 참여합니다. 이러한 봇은 ‘봇넷’이라는 봇 군대를 형성하며, 수적 우세를 활용해 공격 규모를 증폭합니다. 사용자는 등장인물이 감염된 것을 알아차리지 못하는 B급 좀비 영화처럼 IoT 디바이스가 감염되었다는 것을 알아차리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정상 디바이스 소유자들은 2차 피해자가 되거나 알지 못하는 사이에 공격에 참여하게 되고 피해를 입은 기업은 공격자를 식별하기 어렵습니다.

공격자가 봇넷을 구축한 후에는 각 봇에 원격 명령을 전송해 대상 시스템에 대한 DDoS 공격을 지시할 수 있습니다. 봇넷이 네트워크 또는 서버를 공격할 때 공격자는 개별 봇이 공격 대상의 IP 주소로 요청을 보내도록 지시합니다. 사람이 한 가지 종류의 지문을 가지고 있는 것처럼, 디바이스는 인터넷이나 로컬 네트워크에서 핑거프린트를 식별하는 고유한 주소를 가지고 있습니다. 트래픽 급증으로 인해 서비스 거부가 발생하면 정상 트래픽이 웹사이트, 웹 애플리케이션, API, 네트워크에 접속하지 못하게 됩니다.

감염된 디바이스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봇넷은 ‘공격 대행(attack-for-hire)’ 서비스를 통해 다른 잠재적인 공격을 위해 대여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악의적인 의도를 갖고 있지만 트레이닝을 받지 않았거나 공격 경험이 없는 사람들도 스스로 쉽게 DDoS 공격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DDoS 공격은 인터넷에 연결된 디바이스의 네트워크를 악용해 사용자가 서버 또는 네트워크 리소스(사용자가 자주 접속하는 웹사이트나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하지 못하도록 차단합니다.

이러한 방어는 정상 방문자가 평소처럼 기업 웹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도록 허용하면서 공격을 차단할 수 있습니다. DDoS 방어 기능은 악성 트래픽이 공격 대상에 도달하지 …

  • Source: www.akamai.com
  • Views: 18523
  • Publish date: 15 minute ago
  • Downloads: 73409
  • Likes: 3740
  • Dislikes: 1
  • Title Website: DDoS 공격이란 무엇일까요? – Akamai
  • Description Website: 이러한 방어는 정상 방문자가 평소처럼 기업 웹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도록 허용하면서 공격을 차단할 수 있습니다. DDoS 방어 기능은 악성 트래픽이 공격 대상에 도달하지 …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디도스 공격당하는 PC방…생계 위협에 폐업까지 ‘속수무책’ / YTN

  • Source: Youtube
  • Views: 67425
  • Date: 11 minute ago
  • Download: 23931
  • Likes: 8804
  • Dislikes: 10

DDoS 공격이란 무엇일까요?

DDoS 공격은 인터넷에 연결된 디바이스의 네트워크를 악용해 사용자가 서버 또는 네트워크 리소스(사용자가 자주 접속하는 웹사이트나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하지 못하도록 차단합니다.

DDoS 공격을 시작하기 위해 공격자는 멀웨어를 사용하거나 보안 취약점을 악용해 악의적으로 컴퓨터와 디바이스를 감염시키고 제어할 수 있습니다. ‘봇’ 또는 ‘좀비’라 불리는 컴퓨터 또는 감염된 디바이스는 멀웨어를 더욱 확산시키고 DDoS 공격에 참여합니다. 이러한 봇은 ‘봇넷’이라는 봇 군대를 형성하며, 수적 우세를 활용해 공격 규모를 증폭합니다. 사용자는 등장인물이 감염된 것을 알아차리지 못하는 B급 좀비 영화처럼 IoT 디바이스가 감염되었다는 것을 알아차리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정상 디바이스 소유자들은 2차 피해자가 되거나 알지 못하는 사이에 공격에 참여하게 되고 피해를 입은 기업은 공격자를 식별하기 어렵습니다.

공격자가 봇넷을 구축한 후에는 각 봇에 원격 명령을 전송해 대상 시스템에 대한 DDoS 공격을 지시할 수 있습니다. 봇넷이 네트워크 또는 서버를 공격할 때 공격자는 개별 봇이 공격 대상의 IP 주소로 요청을 보내도록 지시합니다. 사람이 한 가지 종류의 지문을 가지고 있는 것처럼, 디바이스는 인터넷이나 로컬 네트워크에서 핑거프린트를 식별하는 고유한 주소를 가지고 있습니다. 트래픽 급증으로 인해 서비스 거부가 발생하면 정상 트래픽이 웹사이트, 웹 애플리케이션, API, 네트워크에 접속하지 못하게 됩니다.

감염된 디바이스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봇넷은 ‘공격 대행(attack-for-hire)’ 서비스를 통해 다른 잠재적인 공격을 위해 대여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악의적인 의도를 갖고 있지만 트레이닝을 받지 않았거나 공격 경험이 없는 사람들도 스스로 쉽게 DDoS 공격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DDoS 공격이란? – Cloudflare

악의적 트래픽과 정상적인 트래픽은 구별하기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계층 7 공격을 방어하기는 까다롭습니다. 응용 프로그램 계층 공격 예시: HTTP 폭주 DDoS 공격. HTTP …

  • Source: www.cloudflare.com
  • Views: 34673
  • Publish date: 2 hours ago
  • Downloads: 16149
  • Likes: 5463
  • Dislikes: 9
  • Title Website: DDoS 공격이란? – Cloudflare
  • Description Website: 악의적 트래픽과 정상적인 트래픽은 구별하기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계층 7 공격을 방어하기는 까다롭습니다. 응용 프로그램 계층 공격 예시: HTTP 폭주 DDoS 공격. HTTP …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디도스 공격 | 트위치 클립 일일 하이라이트 | 클립라이트

  • Source: Youtube
  • Views: 10312
  • Date: 10 hours ago
  • Download: 17751
  • Likes: 7675
  • Dislikes: 5

소개 – DDoS 방어존

3중 DDoS보안존을 구성하여 DDoS 공격 발생 시 1차로 지역별망센터에서 UDP, ICMP 등 네트워크 공격 유해 트래픽을 차단하고 2차로 백본(Backbone)에서 TCP 방어를 진행, 3차로 10G급 DDoS전용장비 8대로 Get Flood, CC Attack 등의 웹부하공격을 차단하는, 다중 방어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DDoS 공격 발생 시 실시간 감시 및 알림이 작동되며, 동시에 DDoS전용장비가 즉시 차단을 하여 실제 고객 서버에는 정상적인 트래픽만 유입되고 365일 24시간 끊김없이 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물리서버 컴퓨팅과 비교표 IP FLOODING TCP 프로토콜에 비해서 패킷사이즈를 줄이기가 용이하며 IP 프로토콜만을 무한정으로 보내 네트워크 장비에 성능을 저하시키는 공격 TCP 공격 – SYN Flood : 서비스포트로 허용치보다 초과된 수의 SYN 연결요청을 전송하여 서비스에 문제를 발생

방어장비를 통한 DDoS 대응에 그치지 않고, 오랜 경험에서 나오는 안정적인 서비스와 차별화된 기술력으로 고객의 서비스를 지켜드리고 있습니다. 틀에 짜인 방어정책이 아니라 공격유형을 분석하고 거기에 맞는 합리적인 대응으로 더욱 완벽한 DDoS방어를 이뤄내고 있습니다.

클라우드 방어존 서비스란? … 갑작스런DDoS공격으로 인한 장애 발생 시, 다양한 이유로인하여 물리적으로 서버를 이동할 수 없는 고객을 대상으로 만들어진 서비스입니다.

  • Source: cloud.kt.com
  • Views: 63843
  • Publish date: 23 hours ago
  • Downloads: 81459
  • Likes: 4502
  • Dislikes: 10
  • Title Website: 소개 – DDoS 방어존
  • Description Website: 클라우드 방어존 서비스란? … 갑작스런DDoS공격으로 인한 장애 발생 시, 다양한 이유로인하여 물리적으로 서버를 이동할 수 없는 고객을 대상으로 만들어진 서비스입니다.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AWS를 활용한 DDoS 공격 방어 방법 :: AWS Game Master 트위치 라이브 방송 Episode 1

  • Source: Youtube
  • Views: 5420
  • Date: 16 hours ago
  • Download: 108246
  • Likes: 2400
  • Dislikes: 9

DDoS 방어존

보안 도구 DDoS 방어존

방어장비를 통한 DDoS 대응에 그치지 않고, 오랜 경험에서 나오는 안정적인 서비스와 차별화된 기술력으로 고객의 서비스를 지켜드리고 있습니다. 틀에 짜인 방어정책이 아니라 공격유형을 분석하고 거기에 맞는 합리적인 대응으로 더욱 완벽한 DDoS방어를 이뤄내고 있습니다.

DDoS(Distributed Denial of Service : 분산서비스 거부) 공격이란?

악의를 가진 해커가 좀비PC(사용자 컴퓨터)에 악성코드를 통해 감염시킨 후 좀비PC를 이용하여 특정 사이트(또는 IP)에 대량의 트래픽 및 서버 자원고갈을 발생시켜 공격 대상의 시스템/네트워크를 마비시키는 공격을 말합니다.

이 방법이 위협적인 이유는 악성코드에 감염된 컴퓨터들의 동시다발적 공격으로 인해 방어가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 과거에는 성인사이트, 채팅, 게임, 증권 서비스 등이 주 공격 대상이었으나, 최근에는 모든 웹사이트를 상대로 무분별한 공격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해커의 요구조건을 충족시켜 주더라도 공격이 멈춰지거나 정상화된다는 보장이 없기 때문에, 최선의 대비책은 사전에 방어솔루션을 구축 해놓는 것입니다.

DDoS 공격유형

물리서버 컴퓨팅과 비교표 IP FLOODING TCP 프로토콜에 비해서 패킷사이즈를 줄이기가 용이하며 IP 프로토콜만을 무한정으로 보내 네트워크 장비에 성능을 저하시키는 공격 TCP 공격 – SYN Flood : 서비스포트로 허용치보다 초과된 수의 SYN 연결요청을 전송하여 서비스에 문제를 발생

– FIN Flood : 정상적인 접속과 종료를 만드는 연결을 지속적으로 발생 TCP 의 정상적인 연결을 생성, 바로 종료

– Fragment Flood : 허용된 수치보다 초과된 수의 fragment IP 패킷을 요청

– GET FLOODING : 주로 웹서비스를 타겟으로, 용량이 큰 이미지나 특정페이지를 계속 접속해 DB 혹은 서비스에 문제를 발생

– 문자열 공격 : 서비스 데몬포트에일련된 특정 문자를 패킷헤더에 포함시켜서 서비스를 마비시키는 공격

– 비정상적인 User-Agent : 정상적인 웹브라우저가 아닌 일반적인 클라이언트가 사용할만한것이 아닌 Agent 값을 패킷에 포함시켜서 공격

– CC ATTACK :웹페이지는 열어본 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클라이언트 PC 캐쉬로 저장하는데 이때 취약점을 노린공격으로 계속해서 서버에 정보를 요청해 부하를 유발

– TimeOutConnection : 정상적인 연결을 요청한 이후, ESTABLISHED로 만든후 서비스의 요청을 하지 않은 상태로 만듬 UDP 공격 – 네트워크단에 GATEWAY가 될만한 부분을 추측해 네트워크를 마비시키는 공격형태

– 인증되지 않은 아이피 이외에는 외부에서 게이트웨이로의 접근을 차단

– UDP 프로토콜을 대량으로 보내서 네트워크를 마비시키는 공격 ICMP 공격 – ICMP 프로토콜을 대량으로 보내서 네트워크를 마비시키는 공격

방어서비스 구성도

3중 DDoS보안존을 구성하여 DDoS 공격 발생 시 1차로 지역별망센터에서 UDP, ICMP 등 네트워크 공격 유해 트래픽을 차단하고 2차로 백본(Backbone)에서 TCP 방어를 진행, 3차로 10G급 DDoS전용장비 8대로 Get Flood, CC Attack 등의 웹부하공격을 차단하는, 다중 방어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DDoS 공격 발생 시 실시간 감시 및 알림이 작동되며, 동시에 DDoS전용장비가 즉시 차단을 하여 실제 고객 서버에는 정상적인 트래픽만 유입되고 365일 24시간 끊김없이 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방어서비스 특징

ICMP,UDP원천차단 시스템, 백본필터링 100G 이상

TCP 80G 방어 가능

방어솔루션- 10G급 UTM 장착

실시간 모니터링으로 이뤄지는 공격 패턴분석 및 방어시스템 구축

보안장비의 직접 보유 및 관리

DDoS 방어 서비스 타사 비교표

DDoS방어 서비스 타사 비교표 구분 엔클라우드24 방어존 타사프리미엄급 1차 방어 무제한 방어

(160G Multi UDP,ICMP) 60G 초과시 Null 차단

(UDP,ICMP) 2차 방어 80G급 Cluster 방어

(IP 및 Port 개별형) 10G급 공유형

(TCP, 기타) 공격 영향 없음

(자동방어 / Multi pattern) 타 고객의 공격에 영향 받을 수 있음 약정 기간 무약정 1개월 선납 3개월 / 의무 선납 설치비 무료 30만원 / 1회 과금 기준 서버 Core 기준

도메인 및 포트 수 제한없음 서버1대, 도메인 1개

우회방어 서비스를 이용하시면 물리적인 서버의 이동 없이도, DDoS 방어가 가능합니다. 클라우드방어존의 강력한 방어기능은, 직접 보안존에 서버가 설치되어 있지 않더라도, 우회방어서비스로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클라우드 방어존 서비스란?

갑작스런DDoS공격으로 인한 장애 발생 시, 다양한 이유로인하여 물리적으로 서버를 이동할 수 없는 고객을 대상으로 만들어진 서비스입니다. 서버의 물리적인 이동 없이 신속하게 DDoS방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서버의 위치에 상관없이 전세계 어디서든 DDoS 공격 방어를 가능하게 만드는 서비스로써 방어대역폭, 서비스 기간 별로 고객님의 상황에 맞는 최적의 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는 상품입니다.

서비스 구성도

클라우드방어존의 우회방어서비스를 이용하게 되시면, DDoS공격이 발생했을때, 고객사의 DNS가 클라우드방어존의우회서버로 변경됩니다.

해커의DDoS공격은 당사의 우회방어 서비스로 우선 연결되어 처리되며, 이후 안전한 데이터만 고객사의 서버로 유입됩니다.

클라우드 방어존 우회방어 서비스가 필요한 이유

2023년 DDoS 공격이란 무엇이며 및 그 방지 방법

계절적 요인, 마케팅 캠페인 등으로 인한 트래픽의 급증에도 대비해야 합니다. 많은 실제 트래픽(예를 들어, 바이러스 성 소셜 미디어 링크에서)은 때로 비슷한 서버 충돌 효과를 가질 수 있습니다. 가동 중단은 합법적인 출처에서 왔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귀사의 비즈니스에 많은 비용을 소비하게 할 수 있습니다.

DDoS 공격이 진행되고 서버가 오프라인 상태가 되면 정상 상태로 다시 돌리는데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방비하는 것이 치료보다 낫습니다. 웹 사이트 가동 중단은 비즈니스 판매와 평판에 모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비즈니스가 언제든지 모든 종류의 공격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하십시오.

DDoS 공격은 해커가 시스템을 압도하고 운영 능력을 붕괴시키기 위해 네트워크 또는 서버에 대량의 트래픽을 전송할 때 발생합니다. 이러한 공격은 일반적으로 일시적으로 웹 사이트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오프라인 상태로 만드는 데 사용되며 한번 공격하면 며칠 또는 그 이상 지속될 수 있습니다.

DDoS 공격은 해커가 시스템을 압도하고 운영 능력을 붕괴시키기 위해 네트워크 또는 서버에 대량의 트래픽을 전송할 때 발생합니다. 이러한 공격은 일반적으로 일시적으로 …

  • Source: ko.safetydetectives.com
  • Views: 7105
  • Publish date: 19 hours ago
  • Downloads: 95644
  • Likes: 3575
  • Dislikes: 10
  • Title Website: 2023년 DDoS 공격이란 무엇이며 및 그 방지 방법
  • Description Website: DDoS 공격은 해커가 시스템을 압도하고 운영 능력을 붕괴시키기 위해 네트워크 또는 서버에 대량의 트래픽을 전송할 때 발생합니다. 이러한 공격은 일반적으로 일시적으로 …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왜 내 계정 정지해\”…중2가 게임사에 디도스 공격 / 연합뉴스TV (YonhapnewsTV)

  • Source: Youtube
  • Views: 98150
  • Date: 2 minute ago
  • Download: 39566
  • Likes: 325
  • Dislikes: 6

2023년 DDoS 공격이란 무엇이며 및 그 방지 방법

에반 포터

회사의 웹 사이트 또는 애플리케이션이 의심스러운 트래픽이 급증하여 갑자기 오프라인 상태가 되는 경우 DDoS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의 대상이 되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종류의 사이버 공격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런 공격으로 심각한 웹 사이트 중단 시간을 초래할 경우 비즈니스 및 브랜드 평판에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이 안내서에서는 DDoS 공격의 세부 사항, DDoS 공격을 방지하는 방법 및 목표로 된 경우 대처 방법에 대해 설명합니다.

빠른 링크: DDoS는 자주 하는 질문

DDoS 공격이란 무엇입니까?

DDoS는 ‘분산 서비스 거부’의 약자입니다.

DDoS 공격은 해커가 시스템을 압도하고 운영 능력을 붕괴시키기 위해 네트워크 또는 서버에 대량의 트래픽을 전송할 때 발생합니다. 이러한 공격은 일반적으로 일시적으로 웹 사이트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오프라인 상태로 만드는 데 사용되며 한번 공격하면 며칠 또는 그 이상 지속될 수 있습니다.

기술 자료

웹 사이트 또는 서버가 공격을 받으면 합법적 인 트래픽을 처리할 수 없으므로 서비스 거부라는 용어를 사용합니다.

또한 불법 트래픽은 수백, 수천 또는 수백만 대의 다른 컴퓨터들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분산 서비스 거부라고 합니다. 공격이 하나의 단일 소스에서 오는 경우, DoS 공격이라고 합니다.

봇넷 사용하기

DDoS 공격은 봇넷(공격을 시작하기 위해 멀웨어 를 사용하여 원격으로 인계된 많은 컴퓨터 또는 인터넷 사용 가능 장치의 모음)을 이용합니다. 이것을 ‘좀비’ 라고 합니다.

다양한 공격 유형

좀비는 개방형 시스템 간 상호 접속(OSI)의 여러 계층에서 취약점을 공격하며 Cloudflare에 따라 일반적으로 세 가지 범주로 나뉩니다:

1. 응용 프로그램 계층 공격

응용 프로그램 계층 공격은 가장 간단한 DDoS 형태입니다. 그들은 정상적인 서버 요청을 모방합니다. 다른 말로 일반 사용자와 마찬가지로 봇넷의 컴퓨터나 장치가 함께 서버 또는 웹 사이트에 액세스합니다.

그러나 DDoS 공격의 규모가 커짐에 따라 겉보기에 합법적인 요청의 양은 서버가 처리하기에 너무 많아 져서 파괴됩니다.

2. 프로토콜 공격

프로토콜 공격은 의도된 대상을 과부화하고 압도하기 위하여 서버가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을 악용합니다.

프로토콜 공격의 일부 변형에서 봇넷은 서버가 조립할 데이터 패킷을 보냅니다. 그런 다음 서버는 수신하지 않은 원천지 IP 주소에서 확인을 받기를 기다립니다. 그러나 풀어야 하는 더 많은 데이터를 계속해서 받고 있습니다.

다른 변형에서 단순히 재조합할 수 없는 데이터 패킷을 보내므로 서버의 리소스를 압도합니다.

3. 볼륨 공격

볼륨 공격은 애플리케이션 공격과 유사하지만 급진전합니다. 이러한 형태의 DDoS에서는 어떤 방식으로든 증가된 봇넷 요청에 의해 전체 서버의 사용 가능한 대역폭이 소모됩니다.

예를 들어, 봇넷은 때로는 서버를 속여 자체로 엄청난 양의 데이터를 보냅니다. 이는 서버가 데이터 수신, 어셈블링, 전송 그리고 수신을 다시 처리해야 함을 의미합니다.

DDoS 공격의 첫 번째 예

처음 알려진 DDoS 공격은 Norton에 따르면 2000년에 Michael Calce라는 15세 소년이 수행했으며 Yahoo, CNN 및 eBay와 같은 거대한 웹 사이트를 일시적으로 중단하여 위에 표시된 이미지와 같은 오류 메시지를 표시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이 공격 브랜드는 그 이후로 계속 증가하고 있습니다.

DDoS 공격은 누가 시작하며 이유는 무엇입니까?

DDoS 공격은 강력하고 정교해졌지만 거의 모든 사람이 기본적인 DDoS 공격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일반 사용자는 목적한 온라인 또는 암거래 대상에 대한 DDoS 공격에 대해 손해를 볼 수 있습니다. 심지어 악의적인 계획을 수행하기 위해 기존 봇넷을 빌리거나 임대할 수도 있습니다.

Michael Calce (일명 “Mafiaboy”)가 수행한 첫 번째 공격과 같은 초기 DDoS 공격은 단순히 해커의 자랑스러운 권리에 대해 수행되었습니다. 바로 해커들이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 이들은 DDoS 공격을 사용하는 사람들이며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경쟁자 중의 우위를 확보하려는 기업 오너

상대방을 물리치기 위한 경쟁력있는 게이머

사람들이 특정 콘텐츠에 접속하지 못하게 하는 활동가

목표물에 대한 복수를 제정하는 트롤

DDoS 공격으로 누가 위험이 가장 큽니까?

일반 사람은 걱정하지 않아도 되지만 거대한 기업은 주요 목표입니다. 그들은 DDoS 공격으로 인한 중단 시간의 결과로 잠재적으로 수백만 달러 또는 수십억 달러의 손실을 입을 수 있습니다. 소규모 사업주도 상당한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언제든지 잠재적인 DDoS 공격에 대비하여 온라인 상태의 모든 조직이 완전히 준비해야 합니다.

DDoS 공격을 방지하는 방법

악의적인 공격자가 서버에 불법 트래픽을 보내는 것을 막을 수는 없지만 미리 부하를 처리할 준비를 할 수 있습니다.

1. 트래픽을 모니터링하여 조기에 파악하십시오

아마존 웹 서비스 (AWS)에 따르면 조직의 정상 트래픽, 낮은 트래픽, 대용량 트래픽을 구성하는 요소를 잘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트래픽이 상한선에 도달했을 때 예상되는 것을 알면 속도 제한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즉, 서버는 처리할 수있는 만큼의 요청만 수락합니다.

트래픽 추세에 대한 최신 지식을 보유하면 문제를 신속하게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계절적 요인, 마케팅 캠페인 등으로 인한 트래픽의 급증에도 대비해야 합니다. 많은 실제 트래픽(예를 들어, 바이러스 성 소셜 미디어 링크에서)은 때로 비슷한 서버 충돌 효과를 가질 수 있습니다. 가동 중단은 합법적인 출처에서 왔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귀사의 비즈니스에 많은 비용을 소비하게 할 수 있습니다.

2. 더 많은 대역폭 확보

평균 및 높은 트래픽 수준을 기반으로 필요한 서버 용량에 대해 잘 알고 있다면 더 많은 것을 얻을 수 있습니다. 실제로 필요한 것보다 많은 서버 대역폭을 확보하는 것을 “오버 프로비저닝” 이라고 합니다.

웹 사이트, 서버 또는 응용 프로그램이 완전히 오버로드되기 전에 진행되는 DDoS 공격의 경우 더 많은 시간을 소비하게 됩니다.

3. CDN (콘텐츠 배포 네트워크) 사용

DDoS의 목표는 호스팅 서버에 과부하를 주는 것입니다. 그러면 한 가지 해결책은 전 세계에 있는 여러 서버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입니다.

이것이 바로 콘텐츠 배포 네트워크가 하는 일입니다.

CDN은 보다 빠른 성능을 위해 각 사용자 가까이에 있는 서버의 사용자에게 웹 사이트 또는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그러나 하나를 사용하면 하나의 서버에 과부하가 걸리므로 공격에 덜 취약하며 사용자에게는 아직도 더 많은 것이 있습니다.

DDoS의 표적이 된 경우 대처 방법

요즘 DDoS 공격은 매우 정교하고 강력하여 자체로 해결하기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공격에 대한 최선의 방어선은 처음부터 올바른 예방 조치를 취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귀하가 공격을 받고 있고 서버가 지금 오프라인 상태라면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1. 신속한 방어 조치를 취하기

정상적인 트래픽이 어떤 모양인지 잘 알고 있다면 DDoS 공격을 받는 시기를 매우 빠르게 파악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의심스러운 소스로부터 서버 요청이나 웹 트래픽이 대량으로 발생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서버가 완전히 압도되어 강제 종료되기 까지는 어느 정도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가능한 한 빨리 속도 제한을 설정하고 서버 로그를 지워 더 많은 공간을 확보하십시오.

2. 호스팅 제공 업체에 알리기

다른 사람이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를 소유하고 운영하는 경우 그에게 즉시 공격 사실을 알리십시오.

그들이 공격이 멎을 때까지 트래픽을 “블랙홀”할 수 있기 때문에 합법적이든 불법적이든간에 서버에 대한 모든 수신 요청은 삭제됩니다. 다른 고객의 서버가 충돌하지 않도록 이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그들의 관심사일 것입니다.

그곳에서 그들은 불법 트래픽을 필터하고 정상적인 요청을 진행되도록 “스크러버”를 통해 트래픽을 다시 라우팅할 것입니다.

3. 전문가에게 알리기

만일 대규모 공격을 받거나 웹 사이트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가동 중단을 허용할 수 없다면 DDoS 완화 전문가를 초대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들이 할 수 있는 일은 부하를 처리할 수있는 대규모 서버로 트래픽을 전환하고 거기에서 불법적인 요청을 제거하는 것입니다.

4. 기다리기

전문가를 채용하여 웹 트래픽을 다시 라우트하고 스크럽하는 것은 많은 비용이 소요됩니다.

대부분의 DDoS 공격은 며칠(심각한 경우에는 더 오래 지속될 수 있음) 내에 끝나므로 항상 손실을 단순히 감수하고 다음에 더 잘 준비해야 합니다.

컴퓨터가 봇넷에 등록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 (및 대처방법)

개인 사용자인 경우 컴퓨터가 사용자도 모르게 봇넷으로 모집될 수 있습니다.

징후

이것이 즉시 알수 있지는 않지만 다음과 같이 악의적인 활동이 기기의 백그라운드에서 진행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몇 가지 징후가 있습니다:

잦은 충돌

긴 로드 시간

이상한 오류 메시지

대처 방법

컴퓨터가 이상하게 작동한다고 생각되면 조치를 취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Windows, Mac, 및 Linux 용으로 권장되는 신뢰할 수 있는 바이러스 백신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고 정기적인 바이러스 검색을 실행해야 합니다.

풀 스캔에서 컴퓨터에 멀웨어가 있는지 알려줄 수 있어야 합니다. 대부분의 경우 바이러스 백신은 바이러스를 제거할 수 있습니다. 빠른 온라인 바이러스 스캔도 역시 해롭지 않습니다.

이메일 첨부 파일이나 웹 파일에 대하여 그것이 무엇이고 누가 보냈는지 모르면 다운로드하지 마십시오. 이러한 피싱 시도는 사용자가 모르게 장치에 멀웨어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준비하기

기관 서버는 실제로 필요한 것보다 훨씬 많은 양의 웹 트래픽이나 서버 요청을 준비하고 처리할 수 있어야 합니다. 왠간하면 안전하게 하십시오.

최선의 해결책은 맬웨어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는 적절한 바이러스 백신을 설치하여 DDoS 공격의 위험을 방지하는 것입니다. CDN을 사용하고 정상적인 트래픽을 기반으로 속도 제한을 설정하는 것은 또 다른 훌융한 방비책입니다.

DDoS 공격이 진행되고 서버가 오프라인 상태가 되면 정상 상태로 다시 돌리는데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방비하는 것이 치료보다 낫습니다. 웹 사이트 가동 중단은 비즈니스 판매와 평판에 모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비즈니스가 언제든지 모든 종류의 공격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하십시오.

계속되는 디도스 공격, 실질적인 해결책은? – AhnLab | 보안 이슈

임계치 기반 규칙은 크게 ‘도스(DoS)’와 ‘디도스(DDoS)’ 규칙으로 구분한다. 도스의 경우 단일 출발지 IP를 기준으로 패킷의 양을 측정하며, 단일 IP에서 트래픽이 많이 들어오는 관계로 즉각 차단하더라도 문제가 적어 차단·격리 방법으로 주로 대응한다. 반면 디도스는 다수의 출발지 IP 기준, 보호 대상에 인입되는 트래픽의 양을 측정한다. 단 디도스의 경우 특정 이벤트에 따라 트래픽이 많아지는 경우가 있어 단순히 차단을 할 경우 수많은 정상 사용자를 차단할 위험이 있다. 그러므로 인증을 통한 추가 검증 또는 QoS(Quality of Service)를 수행한다.

이제 SIEM을 넘어 SOAR(Security Orchestration Automation & Response)의 시대가 오고 있다. AhnLab DPX는 안랩의 보안 운영 효율화 플랫폼 ‘AhnLab Sefinity AIR’를 비롯, 다양한 SOAR와 로그 연동 및 Rest API를 통해 대응 정책 자동화를 구현할 수 있다. 특히 SIEM과 SOAR 등의 시스템을 통한 관제 업무에 있어, API 연동을 통한 위협 대응 자동화는 필수로 자리잡았다. AhnLab DPX는 AhnLab TMS와의 연동을 통해 통합 정책/로그 관리 및 Rest API를 지원한다.

국내 보안회사는 초대용량 디도스 공격 방어를 위한 스크러빙센터를 제공하고 있지 않다. 2018년 이후 디도스 공격의 최대 규모가 점차 감소하고 있으며, 실질적으로 국내 일반 기업이 초대용량 디도스 공격에 노출될 가능성이 굉장히 낮기 때문이다. 실제 스크러빙센터를 이용할 경우 높은 수준의 비용이 청구되는 관계로, 실제 사용 고객은 극히 적은 편이다. 즉, 스크러빙센터는 혹시 모를 초대용량 디도스 공격 방어를 위한 비상 대응 방안으로 고려 가능하다.

1 thg 2, 2021 — 디도스 방어에 관한 딜레마는 공격자 IP를 알아내더라도, 공격하는 사람은 찾기 어렵다는데 있다. 여기에 비트코인 기술의 익명성이 더해져, …

  • Source: www.ahnlab.com
  • Views: 18396
  • Publish date: 7 hours ago
  • Downloads: 16473
  • Likes: 5297
  • Dislikes: 4
  • Title Website: 계속되는 디도스 공격, 실질적인 해결책은? – AhnLab | 보안 이슈
  • Description Website: 1 thg 2, 2021 — 디도스 방어에 관한 딜레마는 공격자 IP를 알아내더라도, 공격하는 사람은 찾기 어렵다는데 있다. 여기에 비트코인 기술의 익명성이 더해져, …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IP 바꾸는법 \u0026 어택맞았을때 푸는법 ( 어택 맞는지 확인법 )🌐

  • Source: Youtube
  • Views: 45996
  • Date: 21 hours ago
  • Download: 38860
  • Likes: 8940
  • Dislikes: 1

AhnLab

최근 언론 보도를 보면 금융권에서 ‘디도스’ 공격을 받아 피해를 입었다는 소식을 종종 접할 수 있다. 사실, 디도스 공격은 오랜 기간 지속되었고 이제 이 단어가 익숙하다는 느낌 마저 들기도 한다. 그럼에도, 피해 소식은 끊이지 않는다. 왜일까?

안랩은 그 해답을 제공하고자 디도스 공격의 전반을 분석하여 실전 대응 가이드를 발간했다. 이번 글에서는 금융권을 중심으로 디도스 공격 방법을 세부적으로 살펴보고, 현재 구축된 대응 체계와 안랩의 디도스 공격 대응 솔루션 ‘AhnLab DPX’의 주요 기능에 대해 알아본다.

개요

2021년 국내 인터넷 환경을 위협할 주요 경계 대상 중 하나는 바로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Distributed Denial of Service: DDoS)’이다.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언택트) 흐름에 따라 트래픽 사용량이 급증하고 있으며,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이하 디도스) 공격 역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의 디도스 공격은 국가 지원을 받는 글로벌 해킹 그룹 주도 하에 비트코인, 랜섬웨어와 결합하여 직접적인 금전 이익을 노린다. 디도스 방어에 관한 딜레마는 공격자 IP를 알아내더라도, 공격하는 사람은 찾기 어렵다는데 있다. 여기에 비트코인 기술의 익명성이 더해져, 공격자들은 더 노골적으로 기업을 공략하고 금전을 요구하고 있다.

국내 네트워크 환경은 디도스 공격 대응 체계가 잘 갖춰져 있다. 네트워크 구간에 디도스 대응 솔루션을 설치하고, 정기적인 모의 훈련을 진행해 방어 준비를 철저히 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매년 디도스 공격으로 인한 피해 사례가 언론에 노출되고 있으며, 많은 기업의 보안 담당자들이 디도스 공격에 대한 실전 대응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

결국 핵심은 실전 대응이다. 아무리 좋은 솔루션을 설치했더라도 제대로 된 사용법을 모르면 그야말로 ‘무용지물’이라 할 수 있다.

금융권 디도스 공격 현황

금융업계는 산업의 특성상 공격자들의 주요한 표적이 되곤 한다. 2020년 금융권을 향한 디도스 공격은 은행, 증권, 금융 공기업, 핀테크 업체를 대상으로 많이 발생했다. 금융권 조직이 디도스 공격을 받아 다음과 같은 일이 발생한다고 가정해보자.

“특정 시점에 주식 거래가 정상적으로 되지 않는다면?”

“약속된 시점에 자금 이체가 되지 않는다면?”

만약 위와 같은 일이 벌어진다면, 금융 회사에 유무형의 금전적인 손실을 유발할 것이다. 이러한 유무형의 손실을 무기 삼아, 금전적 요구를 하는 ‘국가 지원 글로벌 해킹 그룹’의 공격이 많아졌다. 2020년 감행된 디도스 공격 중 많은 사례가 글로벌 해킹 조직의 ‘랜섬 디도스(Ransom DDoS)’였다. 랜섬 디도스는 디도스 공격 기법 중 하나로, 실질적인 공격 구성은 기존과 크게 다르지 않다.

우선 디도스 공격의 모든 종류에 대해 살펴보자.

디도스 공격 정리

디도스 공격을 공격 기법에 따라 나눠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표 1] 디도스 공격 기법 [표 1] 디도스 공격 기법

또한, 디도스 공격은 트래픽의 양을 기준으로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대용량 트래픽

TCP Flooding: TCP의 구성 요소를 섞어서 수행하는 공격이다. SYN과 ACK가 주를 이루며, XMAS, NULL과 같은 TCP 공격도 가능하다.

UDP Flooding: UDP의 특성을 활용한 공격으로 DRDoS와 결합 가능하다. ‘비 연결성/비 신뢰성’이라는 UDP 프로토콜의 특성으로 인해, 공격 수행 난이도가 낮다. Memcached, SNMP, CHARGEN, DNS, NTP 등 프로토콜의 이름이 강조되는 경우 UDP Flooding 공격으로 분류할 수 있다.

SSL Flooding: SSL/TLS를 활용한 대용량 디도스 공격으로, SSL/TLS의 특성상 트래픽 생성과 대량 생성이 어렵다.

HTTP Flooding: HTTP 프로토콜을 활용한 디도스 공격으로 GET, POST 등 HTTP의 요청 메소드(Method)별 공격이 존재한다.

Fragmentation Flooding: IP 패킷의 단편화를 통해 수행하는 디도스 공격이다.

저용량 트래픽

저용량 정밀 타격: 디도스 대응 솔루션의 제 1 정책 ‘임계치 기반 대응’을 우회하기 위한 방법으로, 세션을 지속적으로 맺고 끊지 않거나 서버의 자원을 점유해 고갈시키는 방식이다. 예로는 Exhaustion Attack이 있으며, 인증 기반의 대응이 필요하다.

비정상 프로토콜: 프로토콜의 규칙을 위반한 공격으로 취약점의 형태로 발견해 대응되는 경우가 많다. 웹방화벽(WAF), 침입방지시스템(IPS), 디도스 솔루션을 통한 통합 대응이 필요하다. 공격 예시로는 Ping of Death, TearDrop, Slowloris, Slowread, LAND, Rudy, Smurf 등이 있다.

금융권 디도스 대응 솔루션 설치

디도스 대응 솔루션은 2가지 설치 방법을 제공한다. ‘Inline’과 ‘Out-of-Path’ 방식이다. 금융권의 99% 이상이 Inline 방식으로 디도스 솔루션을 설치한다. 빠른 공격 대응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그림 1] Inline vs Out-of-Path 구성 방식 [그림 1] Inline vs Out-of-Path 구성 방식

두 설치 방식의 주요 특징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표 2] Inline vs Out-of-Path 비교

솔루션의 발전에 따라 디도스 공격의 탐지 및 대응 관점에서 두 설치 방식에 큰 차이는 없다. 하지만 구성의 근본적인 특성으로 인해, 설치 방법이 업계별로 확연하게 구분된다.

금융권 디도스 대응 방법

금융권에서는 다음과 같이 디도스 대응 전략을 수립해 실천하고 있다.

Step 1: 임계치(Threshold) 기반 규칙 방어

모든 디도스 대응 솔루션은 임계치 기반 규칙을 포함하고 있다. 임계치 기반 규칙은 패킷의 구성 요소를 일일이 셈하여, 기준치 이상의 트래픽이 발생할 경우 디도스 공격으로 탐지해 대응하는 기법이다.

임계치 기반 규칙은 크게 ‘도스(DoS)’와 ‘디도스(DDoS)’ 규칙으로 구분한다. 도스의 경우 단일 출발지 IP를 기준으로 패킷의 양을 측정하며, 단일 IP에서 트래픽이 많이 들어오는 관계로 즉각 차단하더라도 문제가 적어 차단·격리 방법으로 주로 대응한다. 반면 디도스는 다수의 출발지 IP 기준, 보호 대상에 인입되는 트래픽의 양을 측정한다. 단 디도스의 경우 특정 이벤트에 따라 트래픽이 많아지는 경우가 있어 단순히 차단을 할 경우 수많은 정상 사용자를 차단할 위험이 있다. 그러므로 인증을 통한 추가 검증 또는 QoS(Quality of Service)를 수행한다.

[표 3] 도스 & 디도스 임계치 규칙

안랩의 디도스 공격 대응 솔루션 ‘AhnLab DPX’의 경우 네 가지 종류, 약 60여개의 임계치 기반 규칙과 사용자 정의 임계치 기반 규칙을 제공하고 있다.

※주의사항: 임계치 규칙의 경우 일상적인 대용량 공격 대응에 적합하지만, 저용량 정밀 타격 또는 비정상 프로토콜 공격에는 대응이 어렵다.

Step 2: 인증 기반 대응

모든 디도스 솔루션이 임계치 기반 대응 역량을 제공하며, 고객도 해당 기능을 무리 없이 사용하는 편이다. 하지만, 실질적으로 발생하는 디도스 공격의 피해 사례는 임계치 기반 규칙을 우회하는 공격이다. 실제 2020년 국내 금융권에서 해당 공격으로 인한 서비스 장애 현상이 많이 발생하였으며, 이러한 공격은 인증 기능으로 대응해야 한다.

인증 기반 대응은 주로 봇(Bot) 기반의 자동화된 공격을 방어한다. 즉 저용량 공격이더라도 봇을 활용할 경우 해당 인증 기법으로 대응할 수 있다. 대부분의 디도스 공격은 사람이 직접 수행할 수 없다. 99% 이상이 자동화 소프트웨어(봇)을 활용하며, 이러한 공격은 인증을 통해 대응이 가능하다.

여기서 ‘인증’은 TCP와 HTTP 프로토콜의 특성을 활용한 기법이다. AhnLab DPX의 경우 TCP와 HTTP 각각 세 가지, 총 여섯 가지 기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기법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발간한 ‘DDoS 공격 대응 가이드 – 2012. 10’에도 명시되어 있는 보편적인 디도스 대응 기법으로, 타사 디도스 솔루션 역시 부분적으로 인증 기능을 제공한다.

TCP 인증의 경우 최초 클라이언트(Client)의 SYN 패킷에 일종의 쿠키(COOKIE)를 추가한 SYN/ACK 응답을 생성하여, 쿠키가 포함된 ACK가 전송되는지 확인하는 방법이며, RST을 활용한 방법도 있다. HTTP 인증의 경우 HTTP 302 응답코드를 활용해, 정상적인 리다이렉트(REDIRECT)가 진행되는지 확인하는 방법이다.

[그림 2] TCP 인증 기법 [그림 2] TCP 인증 기법

[그림 3] HTTPS 인증 기법 [그림 3] HTTPS 인증 기법

위와 같은 방식으로 클라이언트가 정상 사용자인지, 디도스 공격을 수행하는 봇인지 탐지해 대응한다. 이러한 인증 기능을 수행할 경우 봇 기반의 디도스 공격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또한, HTTP 디도스 공격의 일종인 Bruteforce(비밀번호 무작위 대입) 공격 역시 인증 기능을 통해 방어할 수 있다. 아래는 실제 비밀번호가 password인 경우 인증 기능 활성화 여부에 따른 서버의 응답 길이를 보여준다. 인증 기능을 활성화한 경우, 봇을 인지하여 일정한 길이(203)의 응답을 제공함을 알 수 있다.

[표 4] 인증 기능을 통한 Bruteforce 공격 방어 시나리오 [표 4] 인증 기능을 통한 Bruteforce 공격 방어 시나리오

[그림 4] 인증 기능을 통한 Bruteforce 공격 방어 [그림 4] 인증 기능을 통한 Bruteforce 공격 방어

이처럼 TCP/HTTP 인증 기능을 통해 봇 기반 ‘저용량 정밀 타격’과 ‘비정상 프로토콜’ 공격을 방어할 수 있으며 기타 봇 기반의 공격을 방어한다. AhnLab DPX의 경우 총 여섯 가지 기법을 제공하면서도 실망에서 사용 가능한 성능을 제공하는 것이 최대 강점이다.

※주의사항: 만약 100Gbps ~ 1Tbps 이상의 초대용량 공격이 들어오면, 임계치 기반 규칙 또는 인증 기능으로 방어할 수 없다.

Step 3: 하이브리드 디도스 공격 대응

2018년, 소스코드 저장소로 유명한 깃허브(Github)를 대상으로 1Tbps 이상의 디도스 공격이 발생했다. 일반적인 기업의 경우, 사용 중인 회선의 대역폭(1G, 10G) 이상의 디도스 공격이 발생할 경우 대응할 수 있는 방법이 마땅치 않다.

하지만, 반드시 유지되어야 하는 서비스에 대해서는 초대용량 디도스 공격을 방어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우리나라 금융권의 경우 금융보안원이 제공하는 서비스형 보안(SECurity-as-a-Service) 형태의 디도스 공격 대응 서비스 ‘스크러빙센터’의 보호를 받을 수 있다. 해당 대응 체계는 ▲1차 방어 – 스크러빙센터 ▲2차 방어 – 금융보안원 비상대응센터 ▲3차 방어 – 금융회사 자체 디도스 대응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림 5] 금융권 대용량 디도스 공격 대응체계 (출처: 금융보안원 보도자료) [그림 5] 금융권 대용량 디도스 공격 대응체계 (출처: 금융보안원 보도자료)

국내 보안회사는 초대용량 디도스 공격 방어를 위한 스크러빙센터를 제공하고 있지 않다. 2018년 이후 디도스 공격의 최대 규모가 점차 감소하고 있으며, 실질적으로 국내 일반 기업이 초대용량 디도스 공격에 노출될 가능성이 굉장히 낮기 때문이다. 실제 스크러빙센터를 이용할 경우 높은 수준의 비용이 청구되는 관계로, 실제 사용 고객은 극히 적은 편이다. 즉, 스크러빙센터는 혹시 모를 초대용량 디도스 공격 방어를 위한 비상 대응 방안으로 고려 가능하다.

앞서 다룬 내용을 종합하면, 국내 금융회사들은 금융보안원의 보호를 받고 있으며, 자체적으로 견고한 디도스 대응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자체적인 디도스 대응 체계의 경우 ▲ 임계치 기반 규칙 ▲TCP/HTTP 인증 기법을 활용하고 있다. 이에 더해, 시그니처 기반 대응, QoS, 접근제어목록(Access Control List: ACL) 등을 활용하여 디도스 공격을 방어하고 있다.

모든 디도스 공격을 100% 방어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영어로도 디도스 공격 대응을 표현할 때 방어가 아닌 완화(Mitigation)라는 단어를 주로 사용하며, 성공적인 완화를 위해서는 디도스 대응 솔루션의 모든 기능을 적절히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슬기로운 AhnLab DPX 사용법

AhnLab DPX는 앞서 설명한 기능들을 모두 제공하며, 국내 네트워크 환경에서 견고한 디도스 대응 체계 조성에 앞장서고 있다. 또한, 타사 대비 우수한 성능을 제공해 시장조사기관 프로스트앤설리번(Frost & Sullivan)이 발표한 국내 디도스 대응 솔루션 시장점유율 1위를 기록하며 가장 많은 고객들의 선택을 받고 있다.

또한, AhnLab DPX는 다음과 같은 기능들을 추가적으로 제공한다. 디도스 공격에 슬기롭게 방어할 수 있도록 AhnLab DPX가 제공하는 주요 기능 세 가지를 알아보자.

슬기로운 방어 1: Zone 기능(Multi-Tenancy)

여러 개의 보호 대상을 각각 ‘Zone’이라는 개념으로 설정하여, 각 대상에 대한 관리를 완전히 분리해 수행할 수 있다. AhnLab DPX는 최대 328개의 Zone을 제공하며, 정책 설정, 로그 모니터링을 개별 Zone 기준으로 수행 가능하다.

슬기로운 방어 2: 다양한 로그 연동

외부 SIEM(Security Information & Event Management) 및 빅데이터 플랫폼과 연동해 로그 가시성을 확보하고 빅데이터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제품에서 발생하는 로그 모두를 외부로 전송 가능하며, 일종의 고성능 트래픽 센서로 디도스 대응 솔루션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림 6] Elasticsearch 연동, Kibana 대시보드 [그림 6] Elasticsearch 연동, Kibana 대시보드

또한 실시간 트래픽 현황을 확인할 수 있고, 공격의 공격 시간 파악 및 이상 공격을 파악해 분석 가능하다.

슬기로운 방어 3: API 연동

이제 SIEM을 넘어 SOAR(Security Orchestration Automation & Response)의 시대가 오고 있다. AhnLab DPX는 안랩의 보안 운영 효율화 플랫폼 ‘AhnLab Sefinity AIR’를 비롯, 다양한 SOAR와 로그 연동 및 Rest API를 통해 대응 정책 자동화를 구현할 수 있다. 특히 SIEM과 SOAR 등의 시스템을 통한 관제 업무에 있어, API 연동을 통한 위협 대응 자동화는 필수로 자리잡았다. AhnLab DPX는 AhnLab TMS와의 연동을 통해 통합 정책/로그 관리 및 Rest API를 지원한다.

디도스방어 – WEBPD.NET

WEBPD DDoS 방어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공격 으로 부터 60 초 이내에 DDoS 패킷 이벤트가 감지되는 즉시 네트워크 트래픽을 모니터링하고 악의적 패킷 활동을 라우팅 …

  • Source: webpd.net
  • Views: 71111
  • Publish date: 5 hours ago
  • Downloads: 105056
  • Likes: 2697
  • Dislikes: 8
  • Title Website: 디도스방어 – WEBPD.NET
  • Description Website: WEBPD DDoS 방어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공격 으로 부터 60 초 이내에 DDoS 패킷 이벤트가 감지되는 즉시 네트워크 트래픽을 모니터링하고 악의적 패킷 활동을 라우팅 …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이게 디도스 공격? 서버를 자기 마음대로 on/off [거상]

  • Source: Youtube
  • Views: 50475
  • Date: 1 minute ago
  • Download: 71604
  • Likes: 1109
  • Dislikes: 10

주제에 대한 관련 정보 디 도스 방어

Bing에서 디 도스 방어 주제에 대한 최신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주제에 대한 기사 보기를 마쳤습니다 디 도스 방어. 이 기사가 유용했다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이 주제와 관련하여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디 도스 방어 디도스 방어 프로그램, 디도스 방어 원리, 개인 디도스 방어, 디도스 방어 호스팅, 무료 디도스 방어 프로그램, 디도스 공격 받으면, 디도스 대처, 디도스 공격 확인

See also  베스트 608 소개 영어 로 새로운 업데이트 56 일 전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