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에 대한 기사를 찾고 있습니까 “흑색 종 전이 증상“? 웹사이트에서 이 주제에 대한 전체 정보를 제공합니다 c2.chewathai27.com/ 탐색에서: https://c2.chewathai27.com//blog/. 바로 아래에서 이 주제에 대한 자세한 답변을 찾을 수 있습니다. 찾고 있는 주제를 더 잘 이해하려면 끝까지 읽으십시오. 더 많은 관련 검색어: 흑색 종 전이 증상 흑색종 전이 속도, 흑색종 사진, 흑색종 말기, 흑색종 완치하신분, 흑색종 초기, 흑색종 점 차이, 양성 흑색종, 흑색종 사망률
흑색종의 경우 어떤 증상이 있나요? 상당히 커질 때까지 가렵거나 쑤시고 아프거나 하는 증상이 없습니다. 상당히 진행한 경우에는 피부 위로 솟아오르면서 피부가 헐 수 있고 다치거나 건드리면 피가 나고 딱지가 생기기도 합니다.
내 건강을 위협하는 악성흑색종의 모든 것 … – 삼성서울병원
흑색종의 발생 원인은 다양하여 어느 한 가지로만 설명할 수는 없고, 몇 가지 설이 제시되고 있습니다. 첫째, 서양에서 가장 흔한 표재확산흑색종과 악석흑색점흑색종은 자외선이 가장 중요한 원인입니다. 자외선이 강한 여름철마다 강한 햇빛에 노출된 경우, 특히 어릴 때 일광 화상을 입을 정도로 햇빛에 노출된 일이 많다면 표재확산흑색종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강한 햇빛까지는 아니더라도 수십 년 동안 꾸준히 햇빛에 노출된 경우는 악성흑색점흑색종이 잘 발생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에 가장 흔한 말단흑색점흑색종은 주로 손발바닥, 손발톱에 발생하는데 이는 다치거나 하는 외상이 원인으로 생각되기도 하지만 뚜렷한 외상을 입지 않은 경우도 많아 그 원인이 확실치는 않습니다. 둘째, 모든 질환이 그렇듯이 흑색종도 유전적 인자가 있을 수 있습니다. 즉, 부모나 형제 자매에게 흑색종이 있는 경우 흑색종의 발생률이 더 높습니다. 악성흑자흑색종과 말단흑자흑색종의 경우는 KIT라는 유전자의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셋째, 흑색종은 인종적인 차이가 있어 피부가 흰 사람에게 더 많이 발생합니다. 넷째, 태어날 때부터 존재하는 거대 선천성 모반(직경 20cm 이상)에서 흑색종의 위험이 높으며 어린 나이, 즉 10세 이전에 흑색종 발생이 많다고 알려져 왔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이러한 거대 선천성 모반에 관한 전국적인 조사를 한 결과, 조사대상자 131명 중 3명(2.3%)에게 흑색종이 발생하였으며 발병 시 나이는 6세, 14세, 70세였으며 2명은 피부에서 1명은 뇌에서 흑색종이 발생하였습니다. 그러므로 거대 선천성 모반에서 흑색종은 10세 이후에도 잘 발생할 수 있으므로 장기간에 걸쳐 주기적 진찰을 시행해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감시림프절생검은 Breslow 두께가 1mm 이상인 경우와 일부 예외적인 경우에 시행합니다. 종양으로부터 림프액이 흘러가는 첫 림프절(들)을 감시림프절이라 하고, 이를 채취하여 조직검사를 시행하는데 이를 감시림프절생검이라고 하며 보초-또는 전초림프절생검으로도 불립니다. 흑색종은 다른 피부암과 마찬가지로 종양 발생 부위에서 림프액 경로를 따라 전이가 일어나게 되므로 감시림프절을 검사하면 종양의 초기 전이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습니다. 즉 주의할 점은 감시림프절생검은 림프절 전이를 파악하기위한 검사법이지 치료법은 아니라는 점입니다. 방법을 살펴보면 종양 주위에 색소 또는 방사성 물질을 주사한 다음 그것이 처음 흡수되는 림프절을 확인 후 떼어내서 조직검사를 통해 종양세포의 유무를 판단합니다. 이는 전이 여부 확인에 사용되는 검사 방법(초음파, CT, MRI, PET 등)보다 훨씬 작은 암세포 전이를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 중 수술은 가장 보편적이면서도 효과가 확실한 치료법입니다. 과거에는 흔히 종양 주위 5cm를 포함한 절제를 시행하거나 손발 흑색종의 경우 사지 절단과 같은 치료법이 시행되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광범위 수술과 주위 정상조직을 적절히 포함한 수술 간에 생존율 차이가 없다는 것이 밝혀져 더 이상 과거와 같은 광범위 수술은 시행하고 있지 않습니다. 최근에는 종양의 침범깊이인 Breslow 두께에 따라 수술 범위가 결정되는데 침범깊이에 따라 0.5~3cm의 주변 정상조직을 포함하여 절제하게 됩니다. 절제 깊이는 병변의 침범깊이에 따라 피하지방층의 일부를 포함하여 제거하거나 근막위 모든 피하지방층을 제거하기도 합니다. 주변 정상조직의 절제범위를 최소화하기위해 모즈미세도식수술을 시행하기도 합니다.
- Source: www.samsunghospital.com
- Views: 99375
- Publish date: 9 hours ago
- Downloads: 68508
- Likes: 5891
- Dislikes: 1
- Title Website: 내 건강을 위협하는 악성흑색종의 모든 것 … – 삼성서울병원
- Description Website:
- Source: Youtube
- Views: 51767
- Date: 47 minute ago
- Download: 49971
- Likes: 9942
- Dislikes: 4
골관절센터 스포츠의학센터
34605
2014-10-21
1. 피부흑색종이란 무엇인가요?
흑색종이란 ‘악성흑색종’이라고도 불리는데, 멜라닌세포에서 기원한 암입니다. 멜라닌세포는 우리 몸의 피부, 점막, 안구 등에 존재합니다. 따라서 피부 이외의 부위에도 흑색종이 발생할 수 있지만 피부에 가장 많이 발생합니다. 피부흑색종(이하 흑색종)이란 피부의 멜라닌세포에서 발생하는 피부암을 말하는데, 이 멜라닌세포는 멜라닌색소를 생산하여 피부색을 결정합니다.
2. 흑색종에는 어떤 종류가 있나요?
흑색종은 주로 발생하는 위치와 조직검사 소견 등을 종합하여 크게 악성흑색점흑색종, 표재확산흑색종, 말단흑자흑색종, 결절흑색종 이렇게 4가지로 구분됩니다.
악성흑색점흑색종은 수십 년 동안 햇빛에 노출된 60~70대 노인의 얼굴에 주로 검은 반점으로 나타납니다.
불규칙한 흑갈색 반점으로 시작하여 점차 넓어지다가 사마귀처럼 튀어나오고 커지면서 헐거나 피가 나기도 합니다.
표재확산흑색종은 주로 몸통과 윗팔, 엉덩이, 허벅지 등과 같이 가끔씩 햇빛 노출이 되는 피부에 주로 발생하는 흑색종입니다. 30~50대에 주로 발생하며 갈색이나 검은색, 적색 등 다양한 색깔을 가지고 크고 경계가 불규칙한 반점이 발생하며 점차 커지고 헐거나 피가 나기도 합니다.
말단흑자흑색종은 손발바닥, 손발톱에 잘 발생하는 흑색종으로 주로 검은색의 불규칙한 반점이 점차 커지면서 헐거나 피가 나기도 합니다.
결절흑색종은 어느 부위든지 발생할 수 있으며 처음부터 콩알 같은 덩어리로 나타납니다.
3. 우리나라의 경우 어떤 흑색종 종류가 가장 흔한가요?
서양에서는 표재확산흑색종이 가장 흔한 흑색종이지만 우리나라와 같은 동양에서는 드뭅니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흔한 흑색종은 말단흑자흑색종으로 전체 흑색종 환자 중에서 70~80%를 차지합니다. 주로 손발바닥, 손발톱에 발생하는데
손발바닥에서는 처음에는 검은 점처럼 발생하여 점차 경계가 불규칙한 모양으로 커지고 점차 솟아올라 오면서 헐거나 피가 나기도 합니다.
손발톱에서는 처음엔 검은 줄무늬가 길게 발생하여 점차 손발톱 주변 피부에까지 검은색 반점이 퍼지고 이어 손발톱이 깨지거나 피가 나기도 합니다.
4. 흑색종은 좀 생소한데요. 최근 세계적으로나 우리나라에서도 증가 추세에 있나요?
그렇습니다. 서양에서와 마찬가지로 우리나라에서도 증가 추세에 있습니다. 모든 암이 증가 추세에 있듯이 흑색종도 증가 추세에 있다고 볼 수 있고, 최근에는 병원에 빨리 오기 때문에 조기발견, 조기진단이 많아져 증가 추세를 나타낸다고 볼 수 있습니다.
5. 흑색종의 경우 어떤 증상이 있나요?
상당히 커질 때까지 가렵거나 쑤시고 아프거나 하는 증상이 없습니다.
상당히 진행한 경우에는 피부 위로 솟아오르면서 피부가 헐 수 있고 다치거나 건드리면 피가 나고 딱지가 생기기도 합니다.
6. 흑색종은 모두 흑색, 즉 검은색인가요?
우리나라 사람에게 발생하는 흑색종의 경우 대부분은 갈색이나 검은색입니다. 흑색종은 색이 검어서 흑색종이라고 부르는데, 사실 자세히 보면 갈색, 검은색, 적색, 푸른색 등이 뒤섞여 색깔이 다양하게 보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드물게는 피부색이거나 약간 붉그스름한 색의 궤양으로 나타나거나 티눈처럼 보이는 두꺼운 각질형태인 경우인 무색소흑색종도 있습니다.
몸에 검은색으로 보이는 반점이나 덩어리, 궤양이 있다고 해서 반드시 흑색종인 것은 아닙니다. 특히 우리나라에서 가장 흔한 피부암인 기저세포암의 경우도 얼굴에 검은색 반점이나 덩어리 형태로 솟아오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 검버섯이나 노인성 흑자 등도 검은색으로 나타날 수 있어서 구별을 요합니다. 나이가 들면서 새로 발생한 검은 반점이 있다면 기저세포암, 흑색종과 같은 피부암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반드시 조직검사를 받아 보시기를 권유합니다.
7. 그렇다면 흑색종의 자가진단에 도움이 되는 피부 소견이 있나요?
흑색종을 자가진단할 때 단서들을 “ABCDE 규칙”이라고 합니다.
즉, A(Asymmetry)는 비대칭성을 뜻하는 말로 검은 반점을 좌우나 상하로 반으로 나누어 보았을 때 모양이 다른 비대칭이라는 것을 의미하고, B(Border irregularity)는 병변의 가장자리가 매끈하지 않고 울퉁불퉁 불규칙하게 생겼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C(Color variegation)는 색깔이 검은색, 갈색, 적색, 회색, 청색 등 다양한 색으로 이루어졌다는 것으로 하나의 색이 아니라 두 가지 이상의 색으로 구성되어 있을 때는 더욱 흑색종의 가능성이 높습니다.
D(Diameter>6mm)는 점의 크기가 6mm 이상으로 크기가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E(Evolution)는 시간이 가면서 위로 돌출되거나 모양이 변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Hutchinson 징후는 손발톱의 흑갈색 선이 손발톱을 벗어나 주변 피부까지 진행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손발톱 흑색종을 강하게 시사하므로 반드시 조직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8. 흑색종은 왜 발생하는 건가요?
흑색종의 발생 원인은 다양하여 어느 한 가지로만 설명할 수는 없고, 몇 가지 설이 제시되고 있습니다. 첫째, 서양에서 가장 흔한 표재확산흑색종과 악석흑색점흑색종은 자외선이 가장 중요한 원인입니다. 자외선이 강한 여름철마다 강한 햇빛에 노출된 경우, 특히 어릴 때 일광 화상을 입을 정도로 햇빛에 노출된 일이 많다면 표재확산흑색종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강한 햇빛까지는 아니더라도 수십 년 동안 꾸준히 햇빛에 노출된 경우는 악성흑색점흑색종이 잘 발생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에 가장 흔한 말단흑색점흑색종은 주로 손발바닥, 손발톱에 발생하는데 이는 다치거나 하는 외상이 원인으로 생각되기도 하지만 뚜렷한 외상을 입지 않은 경우도 많아 그 원인이 확실치는 않습니다. 둘째, 모든 질환이 그렇듯이 흑색종도 유전적 인자가 있을 수 있습니다. 즉, 부모나 형제 자매에게 흑색종이 있는 경우 흑색종의 발생률이 더 높습니다. 악성흑자흑색종과 말단흑자흑색종의 경우는 KIT라는 유전자의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셋째, 흑색종은 인종적인 차이가 있어 피부가 흰 사람에게 더 많이 발생합니다. 넷째, 태어날 때부터 존재하는 거대 선천성 모반(직경 20cm 이상)에서 흑색종의 위험이 높으며 어린 나이, 즉 10세 이전에 흑색종 발생이 많다고 알려져 왔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이러한 거대 선천성 모반에 관한 전국적인 조사를 한 결과, 조사대상자 131명 중 3명(2.3%)에게 흑색종이 발생하였으며 발병 시 나이는 6세, 14세, 70세였으며 2명은 피부에서 1명은 뇌에서 흑색종이 발생하였습니다. 그러므로 거대 선천성 모반에서 흑색종은 10세 이후에도 잘 발생할 수 있으므로 장기간에 걸쳐 주기적 진찰을 시행해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9. 흑색종은 어떻게 진단하나요?
흑색종은 조직검사를 통해 확진할 수 있습니다. 조직검사의 1차 목표는 흑색종의 최종 진단인데, 때로는 경험많은 병리학자조차 명쾌한 결론을 내리기 어려울 정도로 진단이 어려운 경우도 있습니다.
일단 흑색종으로 진단되면 종양의 침범깊이(Breslow 두께)를 측정합니다. 이에 따라 임시로 임상병기가 결정되고 이에 따라 추가 검사 및 치료 원칙 또한 달라지는데, 예를 들어 이 침범깊이에 따라 수술 시 주위 정상 조직을 얼마나 포함하여 잘라낼지 또는 절단이 필요할지가 결정됩니다.
10. 전이를 확인하기 위한 검사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흑색종의 전이 여부를 알아보는 검사로는 흉부X선 검사, 초음파, CT, MRI, PET(양전자방출단층촬영), 림프관조영술 등이 있습니다.
11. 제 경우는 흑색종 몇 기인가요?
흑색종의 병기는 종양의 두께와 조직 침범 정도를 기준으로 0~4기로 나눕니다. 0기는 상피내암 단계, 1~2기는 피부에 국한된 단계, 3기는 국소림프절로 전이된 단계, 마지막으로 4기는 최초의 국소림프절을 넘어서 원격전이가 발생한 단계입니다. 이를 근거로 수술적 치료법이 결정되므로 병기 결정은 치료의 가장 중요한 첫 단계라고 할 수 있습니다.
조직검사와 전이검사를 바탕으로 먼저 임상병기를 결정합니다. 그에 따라 충분한 주위 정상 피부를 포함하여 종양을 제거한 다음 감시림프절생검 시행 여부가 결정됩니다. 이후 수술 시 떼어낸 조직과 림프절생검으로 채취된 림프절의 조직검사를 거쳐 최종 병기(병리병기)가 결정됩니다. 이에 따라 추가 치료법의 시행 여부가 결정되고 최종 생존율도 예측됩니다.
12. 어떤 원칙과 방법으로 치료하나요?
미국, 유럽, 일본 암학회의 원칙을 종합한 치료의 원칙은 그림7과 같습니다.
흑색종 진단(조직검사) 국소/원격전이검사 전이(-) 1mm이하 피부암 제거 수술 면역요법 경과 관찰(5~10년) 1mm이상 림프절 전이검사 전이(-) 피부암 제거 수술 면역요법 경과 관찰(5~10년) 전이(+) 피부암 제거 수술, 림프절 제거 수술 면역요법 경과 관찰(5~10년)
전이(+) 항암요법 경과 관찰(5~10년)
그 중 수술은 가장 보편적이면서도 효과가 확실한 치료법입니다. 과거에는 흔히 종양 주위 5cm를 포함한 절제를 시행하거나 손발 흑색종의 경우 사지 절단과 같은 치료법이 시행되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광범위 수술과 주위 정상조직을 적절히 포함한 수술 간에 생존율 차이가 없다는 것이 밝혀져 더 이상 과거와 같은 광범위 수술은 시행하고 있지 않습니다. 최근에는 종양의 침범깊이인 Breslow 두께에 따라 수술 범위가 결정되는데 침범깊이에 따라 0.5~3cm의 주변 정상조직을 포함하여 절제하게 됩니다. 절제 깊이는 병변의 침범깊이에 따라 피하지방층의 일부를 포함하여 제거하거나 근막위 모든 피하지방층을 제거하기도 합니다. 주변 정상조직의 절제범위를 최소화하기위해 모즈미세도식수술을 시행하기도 합니다.
13. 감시림프절생검과 림프절제거수술은 어떻게 다른가요?
감시림프절생검은 Breslow 두께가 1mm 이상인 경우와 일부 예외적인 경우에 시행합니다. 종양으로부터 림프액이 흘러가는 첫 림프절(들)을 감시림프절이라 하고, 이를 채취하여 조직검사를 시행하는데 이를 감시림프절생검이라고 하며 보초-또는 전초림프절생검으로도 불립니다. 흑색종은 다른 피부암과 마찬가지로 종양 발생 부위에서 림프액 경로를 따라 전이가 일어나게 되므로 감시림프절을 검사하면 종양의 초기 전이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습니다. 즉 주의할 점은 감시림프절생검은 림프절 전이를 파악하기위한 검사법이지 치료법은 아니라는 점입니다. 방법을 살펴보면 종양 주위에 색소 또는 방사성 물질을 주사한 다음 그것이 처음 흡수되는 림프절을 확인 후 떼어내서 조직검사를 통해 종양세포의 유무를 판단합니다. 이는 전이 여부 확인에 사용되는 검사 방법(초음파, CT, MRI, PET 등)보다 훨씬 작은 암세포 전이를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14. 감시림프절검사 또는 다른 검사에서 림프절 전이가 진단되면 어떻게 하나요?
감시림프절에서 종양세포가 발견되면 해당 부위 림프절을 모두 제거하는 완전림프절제거술(치료적 림프절제거술)을 시행합니다. 한편, 감시림프절생검 전에 이미 림프절이 만져질 정도로 커지거나 다른 검사에 의해 전이가 확인된 경우에도 완전림프절제거술이 필요합니다.
과거에는 전이 유무에 관계없이 전이 예상경로의 림프절을 모두 제거하는 수술을 하기도 했지만, 림프절 전이를 확인한 이후 수술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볼 때 생존율의 이점은 없고, 약 80%의 환자에서는 전이가 발견되지 않으므로 불필요한 수술을 하게 될 가능성이 높으며, 이 수술로 인한 부작용이 흔하다는 의견에 따라 최근에는 권장되지 않습니다.
15. 수술 이외에 다른 방법은 없나요?
흑색종의 치료로는 수술 외에도 면역치료(인터페론), 항암치료, 방사선 치료와 최근 도입 단계에 있는 표적치료가 있습니다. 그러나 이들 방법은 모두 수술에 보조방법으로 사용되며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에 이용되는 이차적인 치료법입니다.
면역요법은 면역반응이 흑색종의 발병에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근거로 전이성 흑색종 치료에 이용되는데 현재까지 미국식품의약군(FDA)에서 승인을 받은 치료로는 인터페론-알파(3기 치료용)와 인터루킨-2(4기 치료용)가 있습니다.
항암요법제로는 다카바진(DTIC)과 시스플라틴 등이 단독 또는 복합요법으로 사용됩니다. 최근들어 ‘표적치료’ 또는 ‘세포치료’로 알려진 새로운 치료제들이 개발되고 있어 희망을 주고 있으며 속속 FDA 승인을 얻어 점차 사용되는 추세이지만 국내에서는 현재 임상시험 또는 도입 직전 단계입니다. 피부의 흑색종은 방사선 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지만, 뇌나 뼈에 전이되어 통증이 심한 경우에는 방사선 치료가 사용되기도 합니다. 또한 림프절절제술을 시행했을 때 이미 림프절 밖으로 세포가 퍼졌을 것이 예상된다거나 악성흑자점흑색종과 같이 수술 경계를 정하기 어려워 절제가 불충분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 추가적으로 이용되기도 합니다.
16. 왜 종양의 절제수술을 했는데 면역치료(인터페론치료)가 필요한가요?
절제수술은 육안 또는 여러 검사(초음파, CT, MRI, PET 등)에 의해 발견된 흑색종 덩어리를 제거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그러나 최신의 검사방법이라도 직경 4~5mm 이하의 종양 덩어리는 발견하지 못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일정 병기 이상의 환자는 육안 또는 검사에 의해 발견되지 않는 종양이 이미 신체 내에 존재할 가능성이 높아, 수술 이후 “발견되지 않는” 암세포를 없애기 위해 추가적으로 면역치료가 필요합니다. 병원마다 일부 다르기는 하지만 고위험군(최종병기 2기 B이상)에서 시행을 권장합니다.
17. 원격전이 또는 재발은 어떤 형태로 발생하며 발생하면 어떻게 대처하나요?
가장 흔한 전이 양상은 원래 종양 근처의 피부에 검은색 또는 갈색의 덩어리로 나타납니다. 림프절로의 전이는 근처 림프절로 나타나는데 가까운 곳을 건너뛰고 먼 곳의 림프절에 나타나기도 합니다. 원격전이는 먼 곳의 림프절과 폐, 간, 뼈, 뇌 등의 내부 장기에 발생하는데 침범되는 곳에 따라 다양한 증상을 나타냅니다. 전이가 발생한 경우 너무 실망하지 말고 여러 임상과의 전문가들과 만나 상담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전이의 경우도 처음 종양이 발견되었을 때와 마찬가지로 절제수술이 가능하면 수술을 시행합니다. 예를 들어 최근 3~6개월 이상 변화가 없는 경우에는 완전한 절제를 통해 비교적 좋은 치료 결과를 보인다고 합니다.
18. 흑색종의 예후는 어떤가요?
흑색종의 예후에 영향을 주는 인자로는 전이 유무가 가장 중요합니다. 전이가 없는 종양인 경우 종양의 두께와 궤양 유무가 가장 중요하며, 생존율은 최종 병기에 따라 결정됩니다.
19. 치료 종료 후 어떻게 하나요?
모든 치료가 종료된 다음 환자는 일정한 계획표에 따라 병원을 방문하여 진찰을 받게 됩니다. 경과 관찰 기간은 최소 10년 이상이며 의사에 따라 재발이 더 늦게도 발생하므로 평생 동안 경과 관찰하라는 의견도 있습니다.
또한 재발의 발견과 새로운 흑색종의 조기발견을 위해 환자 자신에 의한 ‘자가진단’이 권장됩니다. 그 방법은 우선 전신이 비치는 큰 거울, 작은 손거울과 머리카락을 젖히기 위한 연필 등을 준비한 다음 손발 바닥, 손발톱, 두피와 등을 포함한 전신의 피부를 빠짐없이 매우 세밀히 관찰하는 것입니다.
1. 거울을 보면서 앞가슴, 등, 양쪽 팔을 관찰합니다.
2. 팔을 굽혀서 팔 안쪽과 양 손바닥을 관찰합니다.
3. 다리의 뒤쪽과 발바닥, 발가락을 관찰합니다.
4. 손거울을 이용하여 목 뒤쪽과 두피를 관찰합니다.
5. 마지막으로 손거울을 이용하여 등과 엉덩이를 관찰합니다.
자가 진단 이후, 이상소견이 발견되거나 1,2차 병원으로부터 정밀한 진단을 요하는 진단을 받았다면,
전문진료기관에서 보다 체계적인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 삼성서울병원 흑색종 클리닉 진료 안내
1) 진료의 : 초진 – 피부과(이동윤 교수)진료 후 → 성형외과(문구현 교수) 진료순
이후 진단에 따라 혈액종양내과(이지연 교수), 외과(김정한 교수), 방사선종양학과(박원 교수) 팔로업
(※ 조직검사 및 영상 판독 : 영상의학과 최상희 교수, 병리과 장기택 교수)
2) 운영 : 매주 수요일 오전 8시 ~ 오후 12시, 흑색종 클리닉 全 의료진 동시간대 진료!
(오전 외래 진료 후 관련과 간 당일 협진 체계 운영)
흑색종 클리닉 운용시간표 구분 진료과 교수 장소 진료시간 8시 9시 10시 11시 12시 수요일 피부과 이동윤 별관 운영 운영 운영 운영 운영 성형외과 문구현 별관 운영 운영 운영 운영 운영 외과 김정한 별관 운영 운영 운영 운영 운영 혈액종양내과 이지연 암병원 운영 운영 운영 운영 운영 방사선종양학과 박원 암병원 운영 운영 운영 운영 운영
A – 항암치료 필요한 경우 : 피부과 예약 이동윤 교수
B – 타원에서 조직검사 시행하여 흑색종 진단받은 경우:
피부과, 성형외과 동시 예약 되어 피부과(이동윤 교수)진료 후 → 성형외과(문구현 교수)진료순
C – 그 외 진료과를 정하기 어려운 경우 : 피부과 예약 이동윤 교수
※ 흑색종 클리닉에 대한 자세한 소개 및 문의가 필요하신 분들은 아래 URL 클릭해주세요!
피부암 치료의 어벤져스, 흑색종 클리닉 신규 오픈! : http://ohhappysmc.com/199956966
3) 환자군 : 아래 A~C중 해당되는 분A – 항암치료 필요한 경우 : 피부과 예약 이동윤 교수B – 타원에서 조직검사 시행하여 흑색종 진단받은 경우:되어 피부과(이동윤 교수)진료 후 → 성형외과(문구현 교수)진료순C – 그 외 진료과를 정하기 어려운 경우 : 피부과 예약 이동윤 교수
▲흑색종 클리닉 의료진 : (왼쪽부터) 성형외과 문구현 교수, 영상의학과 최상희 교수, 피부과 이동윤 교수, 병리과 장기택 교수, 유방•내분비외과 김정한 교수, 혈액종양내과 이지연 교수, 방사선종양학과 박원 교수
※ 이 내용은 <한국인의 피부암 / 대한피부암학회·대한피부과학회 공저>로부터 발췌해 작성했습니다.
흑색종 – 피부 질환 – MSD 매뉴얼 – 일반인용
새로운 면역요법 암 면역요법 면역요법은 암에 대항하는 인체의 면역 체계를 자극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이러한 치료법은 종양 세포의 특정 유전적 특성을 표적으로 합니다. 종양의 유전적 특성은 암이 발생하는 신체 기관에 좌우되지 않으므로 이러한 약물은 다양한 종류의 암에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 암 치료 원칙 또한 참조.) 의사가 면역 체계를 자극하기 위해 사용하는 치료… 더 읽기 약물인 펨브롤리주맙과 니볼루맙을 사용하면 신체 면역체계를 통해 암을 파괴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이 약물은 PD-1 억제제라고 하며, 그 이유는 이 약물이 세포예정사 단백질 1(programmed cell death protein 1)이라는 암세포 표면에 있는 단백질의 작용을 차단하기 때문입니다. 이 단백질은 암세포를 면역체계의 영향으로부터 보호합니다. PD-1 억제제가 이 단백질을 차단하면 면역체계는 암세포를 공격하여 사멸시킬 수 있습니다. PD-1 억제제는 전이성 흑색종에 매우 효과적인 치료제임이 입증되고 있습니다. 다른 면역요법제로는 이필리무맙이 있는데, 이 약물은 특정 백혈구가 암세포를 공격하는데 도움이 되고 생존을 개선시킵니다.
흑색종은 안구 주위와 안쪽, 입안, 생식기 위, 직장 부위, 뇌, 손발톱바닥에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흑색종은 손쉽게 멀리 떨어진 신체 부위로 확산되고(전이) 계속 …
- Source: www.msdmanuals.com
- Views: 43984
- Publish date: 58 minute ago
- Downloads: 32192
- Likes: 4816
- Dislikes: 3
- Title Website: 흑색종 – 피부 질환 – MSD 매뉴얼 – 일반인용
- Description Website: 흑색종은 안구 주위와 안쪽, 입안, 생식기 위, 직장 부위, 뇌, 손발톱바닥에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흑색종은 손쉽게 멀리 떨어진 신체 부위로 확산되고(전이) 계속 …
점점 커지는 점, 통증까지…’악성 흑색종’ 의심해야 / SBS
- Source: Youtube
- Views: 12750
- Date: 5 hours ago
- Download: 1640
- Likes: 6103
- Dislikes: 2
MSD 매뉴얼
새로운 면역요법 암 면역요법 면역요법은 암에 대항하는 인체의 면역 체계를 자극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이러한 치료법은 종양 세포의 특정 유전적 특성을 표적으로 합니다. 종양의 유전적 특성은 암이 발생하는 신체 기관에 좌우되지 않으므로 이러한 약물은 다양한 종류의 암에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 암 치료 원칙 또한 참조.) 의사가 면역 체계를 자극하기 위해 사용하는 치료… 더 읽기 약물인 펨브롤리주맙과 니볼루맙을 사용하면 신체 면역체계를 통해 암을 파괴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이 약물은 PD-1 억제제라고 하며, 그 이유는 이 약물이 세포예정사 단백질 1(programmed cell death protein 1)이라는 암세포 표면에 있는 단백질의 작용을 차단하기 때문입니다. 이 단백질은 암세포를 면역체계의 영향으로부터 보호합니다. PD-1 억제제가 이 단백질을 차단하면 면역체계는 암세포를 공격하여 사멸시킬 수 있습니다. PD-1 억제제는 전이성 흑색종에 매우 효과적인 치료제임이 입증되고 있습니다. 다른 면역요법제로는 이필리무맙이 있는데, 이 약물은 특정 백혈구가 암세포를 공격하는데 도움이 되고 생존을 개선시킵니다.
악성 흑색종 [malignant melanoma] – N의학정보 | 서울대학교병원
경과/합병증 조직의 침범 두께와 궤양 여부, 전이 림프절 개수, 기타 장기의 전이 등을 기준으로 하여 병기를 설정하고 있다. 내부 장기에 전이가 발생한 흑색종은 경과가 매우 좋지 않으며 부분적으로 림프절의 침범이 있는 경우에도 5년 생존율이 30% 정도이다. 발생 부위별로는 머리와 목, 등의 윗부분, 팔의 뒤 가장자리, 목의 뒤 가장자리, 머리 뒷부분에 생긴 경우 불량한 경과를 보이고 일반적으로 남성보다는 여성에서 약간 예후가 좋은 것으로 되어있다. 전이가 발생한 침범 장기에 따라 다양한 증상을 나타낼 수 있으며 특히 중추신경계의 침범은 주요 사망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증상 흑색종은 자각 증상이 없으며 평범한 점이나 결절(1cm 이상 크기의 솟아오른 피부병변)로 보이는 경우도 있으므로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주의 깊은 관찰이 필요하다. 검은 점이 새로 생긴다든지 이미 있던 색소 모반(점)의 모양이 불규칙하고 비대칭적으로 변하거나 크기가 0.6cm 이상으로 자라거나, 색조가 균일하지 않을 때 악성화를 의심하여야 한다. 그 외에 가렵거나 따가움 또는 통증이 생기거나 출혈, 궤양, 딱지 형성 같은 표면상태의 변화를 보이거나 혹은 주변에 크기가 작은 위성 병소가 나타나는 경우는 주의해야 한다.
손바닥, 발바닥, 손가락, 발가락의 말단 부위에서 잘 발생하며 한국인을 비롯한 동양인과 흑인에게 가장 흔한 유형이다. 손발톱 밑의 병변도 이 유형에 속한다. 손바닥, 발바닥 등에 갈색 또는 흑갈색을 띄는 색소반이 출현하고, 차차 색소반의 검은색이 짙어지며 그 중앙부에 결절과 종괴(덩어리)가 생기거나 궤양이 생기는 양상을 보인다. 아주 드물게 병변에서 색소가 뚜렷이 보이지 않는 예도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손발톱에 흑색의 줄무늬가 생기거나 반점이 동반된 경우 조갑 기질의 흑색종일 가능성이 있으므로 정밀한 검사가 필요하다.
흑색종은 자각 증상이 없으며 평범한 점이나 결절(1cm 이상 크기의 솟아오른 피부병변) … 흑색종은 피부암 중 전이를 가장 많이 일으키며 림프절, 뼈, 폐, 간, 비장, …
- Source: www.snuh.org
- Views: 76319
- Publish date: 40 minute ago
- Downloads: 98477
- Likes: 6217
- Dislikes: 1
- Title Website: 악성 흑색종 [malignant melanoma] – N의학정보 | 서울대학교병원
- Description Website: 흑색종은 자각 증상이 없으며 평범한 점이나 결절(1cm 이상 크기의 솟아오른 피부병변) … 흑색종은 피부암 중 전이를 가장 많이 일으키며 림프절, 뼈, 폐, 간, 비장, …
- Source: Youtube
- Views: 56590
- Date: 44 minute ago
- Download: 100266
- Likes: 434
- Dislikes: 6
서울대학교병원
정의 멜라닌 색소를 만들어 내는 멜라닌 세포의 악성화로 생긴 종양으로서, 멜라닌세포가 존재하는 부위에서는 어디에서나 발생할 수 있으나 피부에 발생하는 경우가 가장 많고, 피부에 발생하는 암 가운데 악성도가 가장 높다.
* 발병위치 : 피부, 안구, 점막, 중추신경계
증상 흑색종은 자각 증상이 없으며 평범한 점이나 결절(1cm 이상 크기의 솟아오른 피부병변)로 보이는 경우도 있으므로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주의 깊은 관찰이 필요하다. 검은 점이 새로 생긴다든지 이미 있던 색소 모반(점)의 모양이 불규칙하고 비대칭적으로 변하거나 크기가 0.6cm 이상으로 자라거나, 색조가 균일하지 않을 때 악성화를 의심하여야 한다. 그 외에 가렵거나 따가움 또는 통증이 생기거나 출혈, 궤양, 딱지 형성 같은 표면상태의 변화를 보이거나 혹은 주변에 크기가 작은 위성 병소가 나타나는 경우는 주의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피부에 처음 발생하는 흑색종을 모양, 발생양상, 분포 등의 특성에 따라 4가지 다음과 같은 임상유형으로 나눈다.
1) 악성 흑색점 흑색종
이미 존재하던 악성 흑색점에서 발생한 흑색종을 말하며 한국인에게는 드물다. 악성 흑색점은 일종의 상피 내 흑색종으로 간주되는데 보통 60~70대 노인의 햇빛 노출 부위인 얼굴에 잘 발생하며 불규칙한 경계를 보이는 갈색반이 수년에 걸쳐 서서히 주변으로 퍼져서 커다랗고 다양한 색조를 띠는 색소반을 이룬다. 이 병변에서 한 두 개의 구진(1cm 미만 크기의 솟아 오른 피부병변)이나 결절이 생기면서 크기가 증가하게 되고, 종양 세포가 진피 내로 침윤하면 악성 흑색점 흑색종으로 부르게 된다.
2) 표재확산 흑색종
청소년부터 노인까지 다양한 연령대에 발생하며 30~50대가 흔하다. 백인에서 가장 흔한 유형이다. 많이 생기는 부위는 남자는 등의 윗부분, 여자는 정강이이며 처음에는 약간 융기된 색소성 반으로 시작하여 황갈색, 흑색 등의 다양한 색조를 띄며 경계가 불규칙해진다.
3) 말단 흑색점 흑색종
손바닥, 발바닥, 손가락, 발가락의 말단 부위에서 잘 발생하며 한국인을 비롯한 동양인과 흑인에게 가장 흔한 유형이다. 손발톱 밑의 병변도 이 유형에 속한다. 손바닥, 발바닥 등에 갈색 또는 흑갈색을 띄는 색소반이 출현하고, 차차 색소반의 검은색이 짙어지며 그 중앙부에 결절과 종괴(덩어리)가 생기거나 궤양이 생기는 양상을 보인다. 아주 드물게 병변에서 색소가 뚜렷이 보이지 않는 예도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손발톱에 흑색의 줄무늬가 생기거나 반점이 동반된 경우 조갑 기질의 흑색종일 가능성이 있으므로 정밀한 검사가 필요하다.
4) 결절흑색종
처음부터 결절 상태로 발견되어 급속히 성장하는 유형을 말하며 전형적인 것은 수개월 내에 비교적 빠르게 성장하는 흑청색 혹은 흑갈색의 결절이다. 종양의 성장이 빠르기 때문에 조기에 피부 깊은 곳으로 진행하거나 전이를 일으키는 일이 많은, 가장 악성도 높은 유형이다.
흑색종은 피부암 중 전이를 가장 많이 일으키며 림프절, 뼈, 폐, 간, 비장, 중추신경계 등 어느 장기들로도 전이될 수 있으며 주위 피부로 전이될 수도 있다. 전이된 부위에 따라 다양한 증상을 나타내게 된다.
원인 서양에서는 해마다 흑색종의 발생빈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우리 나라에서는 전국적인 규모의 정확한 통계는 없는 형편이지만 서양보다는 발생빈도가 훨씬 낮다. 나이가 증가할수록 발생빈도가 높아져서 19세 이하에서는 매우 드물지만 20대부터 조금씩 증가하여 40대 이상에서는 급격히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게 된다.
흑색종의 발생 원인은 확실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백인에서 많은 유형은 유전적 요인과 자외선 노출 등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되고 있다. 백인의 경우 가족력이 있는 경우와 금발과 푸른 눈을 가진 사람은 특별히 자외선 노출을 주의해야 한다. 백인은 원래 가지고 있던 색소성 모반(보통 점이라고 생각하는 것)에서 발생되는 경우가 20~50%정도 되며 특히 선천성 색소성 모반이나 비정형 색소성 모반에서 흑색종이 2차적으로 속발할 수도 있다는 사실이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그 빈도에 대해서는 논란이 많다. 한국인은 원래 가지고 있던 점에서 흑색종이 발생하는 경우는 드물게 보고되고 있으며 한국인에 많이 발생하는 유형(발바닥, 발톱 밑과 같이 말단부에 발생하는 유형)은 자외선 노출과 관련성이 없다.
관련신체기관 피부, 안구, 점막, 중추신경계
진단 검은 점이 새로 생긴다든지 이미 있던 색소 모반의 모양이 불규칙하고 비대칭적으로 변하거나 크기가 0.6cm 이상으로 자라거나 색소성 반의 색깔이 균일하지 않은 경우 의심할 수 있으며, 정확한 진단을 위해 병리 조직검사를 시행해야 한다.
검사 병리 조직검사는 진단 목적이라도 병변이 작으면 병변 전부를 절제하도록 한다. 흑색종 세포에 특이성이 높다고 알려진 여러 표지자들을 이용하여 진단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 3기 이상의 환자에서는 선별적으로 자기공명영상(MRI), 컴퓨터 단층촬영(CT) 또는 양전자방출 단층촬영(PET) 같은 영상 검사 등을 이용하여 예후나 치료에 적용할 수 있다.
치료 조기진단을 하여 병변을 완전 절제하는 것이 치료의 근본이다. 피부에 발생한 병변은 침범 두께에 따라 절제의 범위가 달라지는데, 종양 세포가 표피에 국한되어 있을 경우 0.5cm, 진피 내로의 침범이 수mm이하인 경우 1cm, 1~4mm까지는 2cm, 4mm 이상인 경우는 2~3cm의 여유를 두고 절제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전이된 경우에도 복합 화학요법(항암제)은 큰 효과가 없으며 인터페론 알파를 이용한 면역치료를 하기도 한다. 뼈에 전이된 경우 증상의 완화를 위해 방사선 요법이 쓰이기도 한다.
경과/합병증 조직의 침범 두께와 궤양 여부, 전이 림프절 개수, 기타 장기의 전이 등을 기준으로 하여 병기를 설정하고 있다. 내부 장기에 전이가 발생한 흑색종은 경과가 매우 좋지 않으며 부분적으로 림프절의 침범이 있는 경우에도 5년 생존율이 30% 정도이다. 발생 부위별로는 머리와 목, 등의 윗부분, 팔의 뒤 가장자리, 목의 뒤 가장자리, 머리 뒷부분에 생긴 경우 불량한 경과를 보이고 일반적으로 남성보다는 여성에서 약간 예후가 좋은 것으로 되어있다. 전이가 발생한 침범 장기에 따라 다양한 증상을 나타낼 수 있으며 특히 중추신경계의 침범은 주요 사망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치사율이 높은 피부암, 흑색종 – 하이닥
27 thg 8, 2021 — 흑색종은 가려움이나 통증, 발열과 같은 자각 증상이 없는 편입니다. 평범한 갈색 또는 검은색의 점으로 보이는 탓에 구별하지 못할 때도 있습니다. 물론, …
- Source: www.hidoc.co.kr
- Views: 87532
- Publish date: 12 minute ago
- Downloads: 59436
- Likes: 991
- Dislikes: 2
- Title Website: 치사율이 높은 피부암, 흑색종 – 하이닥
- Description Website: 27 thg 8, 2021 — 흑색종은 가려움이나 통증, 발열과 같은 자각 증상이 없는 편입니다. 평범한 갈색 또는 검은색의 점으로 보이는 탓에 구별하지 못할 때도 있습니다. 물론, …
점인줄 알았는데.. 흑색종? 증상이 나타났을 때는 늦은 경우가 많아 예방 및 조기 발견이 중요합니다!(feat. 성형외과 김성은 교수)[대구가톨릭대병원]
- Source: Youtube
- Views: 43638
- Date: 10 hours ago
- Download: 92426
- Likes: 8433
- Dislikes: 7
피부암 중 가장 치명적인 ‘악성 흑색종’ 조기 발견 위해 기억해야 …
흑색종은 자각 증상이 없고, 평범한 점이나 결절로 보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때문에 증상이 의심되면 정확한 진단을 받아야 합니다.
-이미 있던 점의 크기가 갑자기 0.6cm 이상으로 커졌을 때
-60‧70대 노인 얼굴에 잘 생기고 한국인에게는 드물어
8 thg 5, 2020 — 림프관‧혈관 통해서 뼈‧폐‧간 등으로 많이 전이돼. ※ 흑색종 … 흑색종은 자각 증상이 없고, 평범한 점이나 결절로 보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 Source: www.healtip.co.kr
- Views: 16929
- Publish date: 31 minute ago
- Downloads: 31306
- Likes: 6527
- Dislikes: 8
- Title Website: 피부암 중 가장 치명적인 ‘악성 흑색종’ 조기 발견 위해 기억해야 …
- Description Website: 8 thg 5, 2020 — 림프관‧혈관 통해서 뼈‧폐‧간 등으로 많이 전이돼. ※ 흑색종 … 흑색종은 자각 증상이 없고, 평범한 점이나 결절로 보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피부암의 진정한 공포…. 피부암은 ‘전조증상’이 없다?! | 산전수전 여고동창생 29 회
- Source: Youtube
- Views: 53433
- Date: 21 minute ago
- Download: 53342
- Likes: 812
- Dislikes: 1
피부암 중 가장 치명적인 ‘악성 흑색종’ 조기 발견 위해 기억해야 할 내용
피부암 중 가장 치명적인 ‘악성 흑색종’
조기 발견 위해 기억해야 할 내용
▶
피부암 중 가장 위험한
‘악성 흑색종’
국내 포함 아시아인에게도 점차 증가 추세
※ 악성 흑색종은
-피부‧점막에 있는 멜라닌 세포에서 발생하는 암
-피부암 중 가장 악성
-점이 많은 사람에서 발병률 높아
-악성 흑색종 20~50% 검은 점에서 발생
-악성 흑색종 약 26%는 색소성 모반에서 생겨
-식별하기가 매우 어려워서 많이 진행된 후 발견
-림프관‧혈관 통해서 뼈‧폐‧간 등으로 많이 전이돼
※ 흑색종 일으키는 주요 원인
①유전 요인 : 흰 피부, 푸른 눈, 금발, 붉은 털
②환경 요인 : 자외선 노출
※나이 많아질수록 발생빈도 증가하는 흑색종
-19세 이하에선 매우 드물어
-20대부터 조금씩 증가
-40대 이상에선 급격히 증가
▶
※단순한 점? 악성 흑색종 의심 증상
-피부에 갑자기 새롭게 생긴 검은 점
-이미 있던 점의 크기가 갑자기 0.6cm 이상으로 커졌을 때
-점의 모양이 불규칙하고 비대칭적으로 변했을 때
-점의 색조가 균일하지 않을 때
-점이 가렵거나 따갑고, 통증‧출혈이 있을 때
▶
※흑색종 특징에 따른 4가지 종류
①말단흑색점흑색종
-손‧발 바닥에 많이 발생
-동양인의 흑색종 중 가장 흔한 유형
-비교적 고령(평균 65세)에서 발생
②결절흑색종
-처음부터 결절 상태로 발견
-다양한 모양으로 급속히 성장
-신체 어느 부위에도 발생하며, 몸통‧두경부에 많아
③표재확산흑색종
-서양에서 가장 흔한 유형
-비교적 젊은 나이인 50대 초반에 많이 발생
-남성은 등 윗부분, 여성은 정강이에 잘 생겨
④악성흑색점흑색종
-이미 있는 악성 흑색점에서 발생한 흑색종
-60‧70대 노인 얼굴에 잘 생기고 한국인에게는 드물어
-불규칙한 경계를 보이는 갈색반으로 시작
-수년에 걸쳐 서서히 주변으로 퍼짐
-커다랗고 다양한 색조를 띠는 색소반 형성
▶
※ 전이 많은 악성 흑색종 진단 & 치료
-조직‧방사선‧핵의학 검사 통해 진단
-수술로 완전히 절제하는 것이 치료 기본 원칙
-중위험도 이상 환자에게는 인터페론 치료 권장
※악성 흑색종 예방하려면
-과도한 햇빛 노출 피하기
-자외선 차단제 바르기
▶
흑색종은 자각 증상이 없고, 평범한 점이나 결절로 보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때문에 증상이 의심되면 정확한 진단을 받아야 합니다.
저작권자 © 힐팁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가장 치명적인 피부암 ‘악성 흑색종’, 전이가 많아 조기 발견 중요
▲ 악성 흑색종은 가장 치명적인 피부암으로 다른 장기로 전이가 잘 돼 조기 발견 치료가 중요하다./사진=강동경희대학교병원 제공
가장 치명적인 피부암 ‘악성 흑색종’, 전이가 많아 조기 발견 중요 박재민 헬스조선 인턴기자 가 –
가 +
25 thg 1, 2016 — 따라서 흑색종이 의심스러울 땐 정확한 진단을 위해 조직 검사를 받아야 한다. 강동경희대학교 병원 피부과 유박린 교수는 “흑색종은 자각 증상이 없으며 …
- Source: m.health.chosun.com
- Views: 104839
- Publish date: 19 hours ago
- Downloads: 29852
- Likes: 5750
- Dislikes: 7
- Title Website: 가장 치명적인 피부암 ‘악성 흑색종’, 전이가 많아 조기 발견 중요
- Description Website: 25 thg 1, 2016 — 따라서 흑색종이 의심스러울 땐 정확한 진단을 위해 조직 검사를 받아야 한다. 강동경희대학교 병원 피부과 유박린 교수는 “흑색종은 자각 증상이 없으며 …
우리나라 흑색종은 서양과 다르다? 발바닥과 손발톱을 살펴보세요! [정진희쇼 대가에게 묻는다] (강남세브란스병원 피부과 노미령)
- Source: Youtube
- Views: 67804
- Date: 15 hours ago
- Download: 34216
- Likes: 632
- Dislikes: 6
가장 치명적인 피부암 ‘악성 흑색종’, 전이가 많아 조기 발견 중요
가장 치명적인 피부암 ‘악성 흑색종’, 전이가 많아 조기 발견 중요 박재민 헬스조선 인턴기자 가 –
가 +
▲ 악성 흑색종은 가장 치명적인 피부암으로 다른 장기로 전이가 잘 돼 조기 발견 치료가 중요하다./사진=강동경희대학교병원 제공
‘감옥으로부터의 사색’으로 유명한 신영복 성공회대 석좌교수가 향년 75세를 일기로 지난 15일 오후 10시 타계했다. 사인은 악성 흑색종. 악성 흑색종은 피부암의 일종으로 피부나 점막에 있는 멜라닌 세포에서 암이 발생하는 가장 악성인 피부암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악성 흑색종 환자는 2009년 2,819명에서 2013년 3,761명으로 33.4%나 늘었으며 2013년 기준 우리나라 인구 10만명당 3명이 악성흑색종에 걸린 것으로 집계됐으며 그 수가 점점 느는 추세다. 가장 치명적인 피부암인 악성 흑색종의 원인과 종류 그리고 증상에 대해 알아본다.흑색종은 우리나라에서는 서양에서보다 발생률은 낮지만 서서히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국내 연령별 발생빈도는 19세 이하에서는 매우 드물지만 20대부터 조금씩 증가해 40대 이상에서는 급격히 증가하는 양상을 보인다. 흑색종의 발생 원인은 유전적인 요인과 자외선 노출과 같은 환경적인 요인으로 크게 두 가지다. 흰 피부와 푸른 눈, 금발이나 붉은 털을 가진 사람이 야외에서 장시간 자외선에 노출되면 특히 위험하다. 또 점이 많은 경우 흑색종의 빈도가 증가하고, 색깔이 있는 색소성 모반(점)에서 흑색종이 발생하는 경우가 26% 정도 된다. 논란에 여지는 있지만 태어날 때부터 있는 10cm 이상 큰 점에서 2.3% 정도의 확률로 흑색종이 발생했다는 연구도 있다.흑색종은 모양, 발생 양상, 분포 등의 특성에 따라 네 가지 양상으로 나눌 수 있다.1. 말단흑색점흑색종말단흑색점흑색종은 손이나 발, 특히 손바닥이나 발바닥에 많이 발생하는 유형으로 동양인의 흑색종 중 가장 흔한 유형이다. 비교적 고령(평균 65세)에 발생한다.2. 결절흑색종처음부터 결절(혹) 상태로 발견되어 급속히 성장하는 유형이다. 신체 어느 부위에서나 발생할 수 있는데 몸통과 두경부(얼굴과 목)에 특히 더 잘 생기며 그 모양도 다양하다.3. 표재확산흑색종표재확산흑색종은 서양에서 가장 흔한 유형이다. 정확한 통계는 없으나 국내에서는 아주 드물게 발생하다 최근에 환자 수가 증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비교적 젊은 나이인 50대 초반에 발생하고 남성은 등 윗부분에, 여성은 정강이 부분에 잘 생기는 것이 특징이다.4. 악성흑색점흑색종악성흑색점흑색종은 이미 존재하던 악성 흑색점에서 발생한 흑색종을 의미한다. 한국인에게는 드물지만 60~70대 노인의 얼굴에 잘 생긴다. 불규칙한 경계를 보이는 갈색 반점으로 시작해 수년에 걸쳐 서서히 주변으로 퍼져 커다랗고 다양한 색조를 띠는 색소 반점을 이루게 된다.흑색종은 수술로 해당 부위를 완전히 절제하는 것이 치료의 근본이다. 다른 장기로 전이가 많은 암이기 때문에 진단할 때에는 전신의 전이 여부를 검사하기 위해 다양한 방사선학적, 핵의학적 검사가 필요하다. 따라서 흑색종이 의심스러울 땐 정확한 진단을 위해 조직 검사를 받아야 한다. 강동경희대학교 병원 피부과 유박린 교수는 “흑색종은 자각 증상이 없으며 평범한 점이나 결절로 보이는 경우가 많아 늦게 발견해 이미 암이 진행된 상태인 경우가 많다”며, “림프관이나 혈관을 따라 뼈, 폐, 간 등 어떤 기관들로도 전이될 수 있으므로 조기 발견하고 치료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한국인에게 유독 많은 악성 흑색종의 원인은?ㅣ강남세브란스 …
12 thg 7, 2022 — 악성 흑색종의 침범 깊이가 클수록 전이 가능성이 높아지기에 침범 깊이가 … 우리가 나이가 들어가면서 노화 증상에 의해서 우리 피부에 여러 가지 …
- Source: www.esthermall.co.kr
- Views: 73630
- Publish date: 11 hours ago
- Downloads: 37831
- Likes: 7819
- Dislikes: 8
- Title Website: 한국인에게 유독 많은 악성 흑색종의 원인은?ㅣ강남세브란스 …
- Description Website: 12 thg 7, 2022 — 악성 흑색종의 침범 깊이가 클수록 전이 가능성이 높아지기에 침범 깊이가 … 우리가 나이가 들어가면서 노화 증상에 의해서 우리 피부에 여러 가지 …
#악성흑색종│피부과 이석종 교수
- Source: Youtube
- Views: 8669
- Date: 8 minute ago
- Download: 1096
- Likes: 9558
- Dislikes: 9
주제에 대한 관련 정보 흑색 종 전이 증상
Bing에서 흑색 종 전이 증상 주제에 대한 최신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주제에 대한 기사 보기를 마쳤습니다 흑색 종 전이 증상. 이 기사가 유용했다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이 주제와 관련하여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흑색 종 전이 증상 흑색종 전이 속도, 흑색종 사진, 흑색종 말기, 흑색종 완치하신분, 흑색종 초기, 흑색종 점 차이, 양성 흑색종, 흑색종 사망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