톱 1898 모더 나 생산 업데이트 28 분 전

주제에 대한 기사를 찾고 있습니까 “모더 나 생산“? 웹사이트에서 이 주제에 대한 전체 정보를 제공합니다 https://c2.chewathai27.com/ 탐색에서: 457+ 당신을 위한 팁. 바로 아래에서 이 주제에 대한 자세한 답변을 찾을 수 있습니다. 찾고 있는 주제를 더 잘 이해하려면 끝까지 읽으십시오. 더 많은 관련 검색어: 모더 나 생산

모더나 백신 위탁생산 물꼬 틀까…아시아 거점 가능성은?

한·미 정상회담을 계기로 존림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와 스테판 방셀 모더나 CEO는 백신 위탁생산 계약서에 정식 서명했다.

코로나19 백신수송지원본부 모더나 백신 모의 수송훈련 당시 모더나 백신.

  • Source: www.khidi.or.kr
  • Views: 104973
  • Publish date: 14 minute ago
  • Downloads: 13944
  • Likes: 7378
  • Dislikes: 7
  • Title Website: 모더나 백신 위탁생산 물꼬 틀까…아시아 거점 가능성은?
  • Description Website: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 Source: Youtube
  • Views: 75986
  • Date: 10 minute ago
  • Download: 44466
  • Likes: 8080
  • Dislikes: 7

모더나 백신 위탁생산 물꼬 틀까…아시아 거점 가능성은?

|아시아지역 모더나 백신 생산거점 기대 솔솔

|완제품생산 아쉬움…전체공정 담당 가능성 낮아

코로나19 백신수송지원본부 모더나 백신 모의 수송훈련 당시 모더나 백신.

한·미 정상회담을 계기로 존림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와 스테판 방셀 모더나 CEO는 백신 위탁생산 계약서에 정식 서명했다.

한국바이오협회 보고서 일부 내용 발췌.

[메디칼타임즈=황병우 기자] 소문이 무성했던 모더나 위탁생산 대상이 삼성바이오로직스로 결정 나면서 향후 아시아 생산거점 역할에 대한 기대감도 나오는 모습이다.빠르면 3분기부터 본격적으로 모더나 백신이 생산되면 아시아지역으로 백신 물량을 공급할 수 있을 것이란 평가를 받고 있는 것.지난 22일(현지시간) 미국에서 열린 한·미 정상회담을 계기로 존림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와 스테판 방셀 모더나 CEO는 백신 위탁생산 계약서에 정식 서명했다.이에 따라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모더나가 해외에서 생산한 백신 원액을 들여와 송도공장에서 무균충진·라벨링·포장 등을 담당하고, 국내 허가와 유통은 GC녹십자가 맡게된다.제약업계는 완제품생산(Drug Product, DP) 방식이라는 아쉬움은 있지만 mRNA 백신 생산 기반을 갖춘 첫 사례가 됐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는 모습.제약업계 관계자는 “충진 공정이지만 고도의 제약과학 기술이 집적된 GMP 시설에서 모든 것이 이뤄지는 것”이라며 “삼성바이오로직스가 로슈, 릴리 등 전 세계 바이오의약품을 만드는 CMO로서 기술을 인정받은 것으로 생각된다”고 말했다.즉, GMP 시설을 하나 짓고 인정받는데 걸리는 시간을 고려했을 때도 높은 점수를 줄 수 있다는 평가.여기에 더해 모더나가 한국지사 설립 이슈와 맞물려 궁극적으로 아시아권을 담당하는 백신 생산거점이 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도 나오고 있다.앞서 모더나는 한국 법인 설립 계획을 밝힌 상태로 국내에는 제너럴 매니저(General Manager, GM)와 약물감시 디렉터(PV Director), 의학 디렉터(Medical Director) 채용공고를 내건 상태다.의학 디렉터 채용 공고를 보면 초기에는 모더나 코로나 백신 출시 지원 역할을 1차 목표로 명시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향후 모더가 한국지사가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생산한 백신 물량을 조율해 아시아지역에 공급할 것이란 시각이 있는 것.또 바이든 대통령이 “한국의 매우 정교하고 뛰어난 회사와 함께 엄청난 양의 백신을 생산할 것으로 2022년까지 10억 명 접종 분량의 (백신을) 생산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언급한 점을 고려했을 때 모더나와 계약을 맺은 삼성바이오로직스가 해당 역할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된다.이와 함께 삼성바이오로직스 공장이 송도에 위치해 수출입이 유리하다는 점도 생산거점 의견에 힘을 실어줄 수 있다는 설명이다.한국바이오의약품협회 관계자는 “삼성바이오로직스가 경제자유구역청 내에 있고 근처에 인천공항과 인천항이 있어 원료 수출입에 강점이 있다”며 “이미 바이오제약기업이 많아 클러스터가 형성돼 있고 인천시나 상공회의소 기업이 지원하는 민관체계가 잘 구축돼 오송‧대구‧대전 클러스터보단 수출입에 이점이 있어 보인다”고 말했다.삼성바이오로직스의 위탁생산을 두고 긍정적인 시선이 있다면 반대로 충진·포장 역할에 머무른 것을 두고 아쉬움을 표하는 시선도 있는 상황.mRNA 백신 원료 생산이 아닌 마지막 병입단계만 맡아 기술이전을 기대하기는 어렵다는 지적이다.특히, mRNA백신과 관련해 특허권이 복잡하게 얽혀 있다는 점도 국내에서 원료생산 허들이 높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현 단계에 머무를 수 있다는 시각도 존재한다.이와 관련해 한국바이오협회가 만든 ””코로나19 mRNA 백신에 얽힌 복잡한 특허 관계”” 보고서에 따르면 mRNA와 관련한 특허권은 복잡하게 얽혀있다.보고서에 따르면 mRNA를 이용한 치료법은 1990년대 초에 처음 발견돼 2005년에 미국 펜실베이니아대학교 연구진들이 백신기술의 기반이 되는 연구를 논문에 게재했다.이후 펜실베이니아대학교는 해당 특허 실시권을 mRNA RiboTherapeutics에 허용했고 mRNA RiboTherapeutics는 계열사 CellScript에 재실시권을 주었으며, CellScript는 모더나와 바이오엔테크에 이전했다.이밖에도 지질나노입자(LNP)를 이용해 mRNA를 세포로 전달하는 기술 특허의 문제도 남아있어 기술이전이 쉽지 않을 수 있다는 분석이다.다만, 장기적인 관점에서 mRNA 기술에 대한 논의 가능성은 남아있을 수 있다.지난 1월 삼성바이오로직스 존림 대표는 JP모건 컨퍼런스에서 “오픈 이노베이션을 강화해 새로운 파이프라인과 플랫폼 기술에 대한 투자를 본격 검토하고, 기존 항체 의약품 중심의 사업구조를 세포치료제, 백신 등으로 넓혀 비즈니스 포트폴리오를 더욱 확대할 계획이다”고 밝힌바 있다.이렇듯 삼성바이오로직스가 포트폴리오 확충에 대한 의지가 있는 상태에서, 모더나 백신 위탁생산 계약은 향후 기술관련 협력을 논의가 가능할 수 있다는 것.제약업계 관계자는 “현 시점에서 전체 공정 CMO는 현실적으로 어렵지만 가능성이 제로라고 보지는 않는다”며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의지가 있는 만큼 향후 논의의 길은 열려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삼바 생산 모더나 코로나 백신 품목허가 획득 – 후생신보

  • Source: www.whosaeng.com
  • Views: 1065
  • Publish date: 12 hours ago
  • Downloads: 13182
  • Likes: 7369
  • Dislikes: 5
  • Title Website: 삼바 생산 모더나 코로나 백신 품목허가 획득 – 후생신보
  • Description Website: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모더나 CEO \”일본에 생산 공장 만들어 백신 거점으로\” / SBS

  • Source: Youtube
  • Views: 91118
  • Date: 17 hours ago
  • Download: 38870
  • Likes: 6494
  • Dislikes: 8

삼성바이오로직스, 모더나 코로나19 mRNA 백신 위탁생산 …

삼성바이오로직스와 모더나는 22일 모더나 코로나19 mRNA 백신(mRNA-1273)에 대한 완제 위탁생산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이번 계약에 따라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모더나 백신의 기술이전에 곧바로 착수해 오는 3분기부터 미국 이외의 시장으로 수억 회 분량의 백신에 대한 무균충전, 라벨링, 포장 등을 본격적으로 시작할 예정이다.존림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는“모더나 백신은 코로나19과 싸우고 있는 전 세계인에게 가장 중요한 백신”이라며 “이렇게 중요한 백신의 완제 공정에 대한 파트너로 삼성바이오로직스를 선택해 주신 것에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이어 “전 세계의 백신 긴급 수요에 대응하여 올해 하반기 초에 상업용 조달이 가능하도록 신속한 생산 일정을 수립했다”고 덧붙였다.후안 안드레스(Juan Andres) 모더나 최고 기술운영 및 품질 책임자(CTO &QO)는 “삼성바이오로직스와의 완제 생산 파트너십 체결을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며 “이번 계약이 미국 외의 지역에서 우리 생산능력을 계속 확대해 나가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또한 그는 “우리와 우리의 제조 파트너가 코로나19 팬데믹을 퇴치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사진=삼성바이오로직스

  • Source: m.medigatenews.com
  • Views: 28807
  • Publish date: 23 hours ago
  • Downloads: 32893
  • Likes: 2939
  • Dislikes: 10
  • Title Website: 삼성바이오로직스, 모더나 코로나19 mRNA 백신 위탁생산 …
  • Description Website: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화이자·모더나처럼…‘mRNA’ 개발·생산 도전하는 K-바이오/ 한국경제TV뉴스

  • Source: Youtube
  • Views: 16454
  • Date: 22 minute ago
  • Download: 28919
  • Likes: 2592
  • Dislikes: 2

MEDI:GATE NEWS : 삼성바이오로직스, 모더나 코로나19 mRNA 백신 위탁생산 계약 체결

사진=삼성바이오로직스

삼성바이오로직스와 모더나는 22일 모더나 코로나19 mRNA 백신(mRNA-1273)에 대한 완제 위탁생산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이번 계약에 따라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모더나 백신의 기술이전에 곧바로 착수해 오는 3분기부터 미국 이외의 시장으로 수억 회 분량의 백신에 대한 무균충전, 라벨링, 포장 등을 본격적으로 시작할 예정이다.존림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는“모더나 백신은 코로나19과 싸우고 있는 전 세계인에게 가장 중요한 백신”이라며 “이렇게 중요한 백신의 완제 공정에 대한 파트너로 삼성바이오로직스를 선택해 주신 것에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이어 “전 세계의 백신 긴급 수요에 대응하여 올해 하반기 초에 상업용 조달이 가능하도록 신속한 생산 일정을 수립했다”고 덧붙였다.후안 안드레스(Juan Andres) 모더나 최고 기술운영 및 품질 책임자(CTO &QO)는 “삼성바이오로직스와의 완제 생산 파트너십 체결을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며 “이번 계약이 미국 외의 지역에서 우리 생산능력을 계속 확대해 나가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또한 그는 “우리와 우리의 제조 파트너가 코로나19 팬데믹을 퇴치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국내 초도생산 모더나 백신 약 243.5만 회분 국내 도입

중증도별 병상 현황 -구분, 무증상경증(생활치료센터-보유, 가용), 중등증(감염병 전담병원-보유, 가용), 준중증(준증환자병상-보유, 가용), 위증증(중환자 전담치료병상-보유, 가용) 구분 무증상·경증(輕症) 중등증(中等症) 준중증(準-重症) 위중증(危重症) 생활치료센터 감염병 전담병원 준-중환자병상 중환자 전담치료병상 보유 가용 보유 가용 보유 가용 보유 가용 전국 19,789 13,581 9,921 5,831 455 218 1,079 623 수도권 13,517 8,379 4,655 1,907 276 94 655 288 중수본 2,955 1,800 – – – – – – 서울 5,699 3,753 2,160 915 81 41 333 142 경기 3,734 2,179 1,867 617 172 51 243 104 인천 1,129 647 628 375 23 2 79 42 비수도권 6,272 5,202 5,266 3,924 179 124 424 335 중수본 844 695 – – – – – – 강원 381 291 388 318 5 2 36 28 충청권 1,102 1,050 1,343 851 49 31 101 75 호남권 700 543 949 816 10 5 67 57 경북권 1,206 854 1,141 846 28 19 83 62 경남권 1,527 1,285 1,171 852 82 62 125 101 제주 512 484 274 241 5 5 12 12

See also  톱 312 더 보이즈 큐 새로운 업데이트 51 일 전

주간 이동량 추이 분석-굽군,0주차, 10주차, 11주차, 12주차, 13주차, 14주차, 15주차 구분 0주차 (11.9~11.15) … 10주차 (9.13.~9.19.) 11주차 (9.20~9.26.) 12주차 (9.27.~10.3.) 13주차 (10.4.~10.10.) 14주차 (10.11.~10.17.) 15주차 (10.18~10.24) 거리 두기 단계 거리두기 이전 – 수도권 4단계(7.12~), 비수도권 새로운 거리두기(7.1~) 주간 이동량 전국 24,751 – 24,569 24,993 23,929 23,873 23,492 24,364 직전 주 대비 증감 – 5.4% 1.7% ▲4.3% ▲0.2% ▲1.6% 3.7% 수도권 13,093 – 12,615 11,554 12,412 11,938 12,267 12,681 직전 주 대비 증감 – 3.0% ▲8.4% 7.4% ▲3.8% 2.8% 3.4% 비수도권 11,658 – 11,954 13,439 11,517 11,935 11,225 11,683 직전 주 대비 증감 – 8.1% 12.4% ▲14.3% 3.6% ▲6.0% 4.1%

최근 방역 관리 상황 비교 -9.26,10.3~10.9ㅡ 10.10.~10.16, 10.17.~10.23. 9.26~10.2 10.3~10.9 10.10~10.16. 10.17.~10.23. 국내발생 일일 평균 신규 확진자 수 2,488.3명 1,960.9명 1,561.9명 1,339.0명 60세 이상 352.6명 325.1명 289.4명 288.4명 해외유입 일일 평균 신규 확진자수 27.7명 25.7명 18.0명 18.4명 집단 발생1) (신규 기준) 100건 92건 82건 31건 감염 경로 조사 중 비율 34.0% 33.2% 36.1% 32.6% 방역망 내 관리 비율2) 32.2% 33.0% 32.1% 36.3% 즉시 가용 중환자실 518개 (10.2..17시 기준) 462개 (10.9.17시 기준) 504개 (10.16.17시 기준) 540개 10.23..17시 기준)

26 thg 10, 2021 — 범정부 백신도입 TF(팀장: 권덕철 보건복지부 장관)는 삼성바이오로직스(이하 ‘삼바’)가 위탁생산한 모더나 백신 초도생산물량(PPQ) 243.5만 회분이 10월 …

  • Source: www.mohw.go.kr
  • Views: 98520
  • Publish date: 20 hours ago
  • Downloads: 36127
  • Likes: 8069
  • Dislikes: 3
  • Title Website: 국내 초도생산 모더나 백신 약 243.5만 회분 국내 도입
  • Description Website: 26 thg 10, 2021 — 범정부 백신도입 TF(팀장: 권덕철 보건복지부 장관)는 삼성바이오로직스(이하 ‘삼바’)가 위탁생산한 모더나 백신 초도생산물량(PPQ) 243.5만 회분이 10월 …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모더나, 백신 생산 라인 증설…내년 생산량 3배로 증가 / YTN 사이언스

  • Source: Youtube
  • Views: 16537
  • Date: 59 minute ago
  • Download: 76182
  • Likes: 1772
  • Dislikes: 5

알림 > 보도자료 내용보기 ” 국내 초도생산 모더나 백신 약 243.5만 회분 국내 도입 “

국내 초도생산 모더나 백신 약 243.5만 회분 국내 도입

– 모더나社와 지속 협의 결과,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위탁 생산한 초도생산물량 국내 공급 –

– 주간(10.17.∼23.) 일평균 확진자 수(1,339명) 지난주 대비 14.3% 감소, 3주 연속 감소 –

– 주간(10.18.∼10.24.) 이동량, 수도권·비수도권 모두 증가 –

– 코리아세일페스타(11.1∼15.), 소상공인·중소기업 및 지역경제 회복 주력, 철저한 방역 관리 방안 마련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본부장: 국무총리 김부겸)는 오늘 김부겸 본부장 주재로 정부세종청사 영상회의실에서 각 중앙부처, 17개 광역자치단체, 18개 시도 경찰청과 함께 ▲주간 발생 동향 및 대응방안 ▲코리아세일페스타 방역관리 방안 ▲주요 지자체 코로나19 현황 및 조치사항 등을 논의하였다.

1. 삼성바이오로직스 위탁생산 모더나 백신 초도생산물량 국내도입

범정부 백신도입 TF(팀장: 권덕철 보건복지부 장관)는 삼성바이오로직스(이하 ‘삼바’)가 위탁생산한 모더나 백신 초도생산물량(PPQ) 243.5만 회분이 10월 25일 긴급사용승인됨에 따라 국내에 도입된다고 밝혔다.

지난 5월 한미정상회담을 위한 문재인 대통령 미국 순방(5.19.~23.)을 계기로 삼바와 모더나사 간 백신 위탁생산 계약이 대통령 임석 하에 체결(5.22.)된 바 있다.

그 후 백신 공급의 안정성과 유통 효율화 측면에서 국내 생산 백신의 국내 공급 필요성에 대해 우리 정부와 모더나사는 공감대를 가지고 지속적으로 협의해왔으며, 삼바도 안정적인 생산체계 구축을 위해 노력해왔다.

이번에 삼바의 백신 제조시설에 대해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에서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GMP) 인증(10.25.)을 마쳤고

– 질병관리청의 신청에 따라 식약처의 긴급사용승인(10.25.)이 마무리되어 국내에서 생산된 모더나 백신이 도입되게 되었다.

*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Good Manufacturing Practice, GMP) : 품질이 보증된 우수한 의약품을 제조하기 위하여 시설·장비 및 생산공정 전반에 걸쳐 의약품 제조업자가 준수해야 할 기준

이번 도입은 SK바이오사이언스의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이후 우리 기업이 생산한 코로나19 백신을 우리 국민에게 접종하는 두 번째 사례이다.

또한, 아스트라제네카, 노바백스, 스푸트니크V에 이어 국내에서 4번째로 생산되는 코로나19 백신으로, 우리나라에서 mRNA, 합성항원, 바이러스벡터 등 다양한 플랫폼의 백신을 생산하게 되었다.

백신의 안전성과 품질 관련, 국내에서 처음 생산·공급되는 mRNA 백신인 만큼 식약처는 GMP 평가 및 전항목 품질검사 등 전문적인 검증절차를 통해 제품 생산 과정과 품질을 철저하고 신속하게 평가하였다.

제출자료 심사와 동시에 실태조사팀 구성·제조소 현장 실태조사(9.22~25.)를 통해 해당 제조소에서 적합한 품질의 백신을 일관되게 생산할 수 있는 시설과 관리체계를 갖추었는지 점검하였다.

특히 열에 쉽게 파괴되는 mRNA 백신의 특성을 감안하여 원액 혼합조제부터 충전, 밀봉까지 전(全) 공정에서 무균상태 유지 등과 같은 제반 관리상황을 면밀하고 철저하게 평가해 승인하였다.

류근혁 보건복지부 제2차관은 “이번 도입은 지난 5월 문재인 대통령 참석 하에 모더나와 삼성바이오로직스 간에 위탁생산 계약이 체결된 이후 우리나라에서 생산한 백신을 우리 국민이 접종할 수 있도록 민관이 함께 협력한 성과”라고 평가했다.

또한 “코로나19 장기화 상황에서 국내에 안정적인 백신 생산 기반을 마련하는 한편, 우리나라가 전 세계 백신 공급에 기여하는 백신 허브로 자리매김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에 도입된 모더나 백신은 4분기 신규 및 2차 접종, 고위험군 대상 추가 접종 등에 폭넓게 활용될 예정으로,

정부는 앞으로도 차질 없는 접종을 위해 백신의 수급과 활용에도 만전을 기할 계획이다.

2. 방역 관리 상황 및 위험도 평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매주 방역 관리 상황과 위험도를 평가하며 대응체계를 점검하고 있다.

지난 한 주(10.17.~10.23.) 국내 발생 확진자 수는 9,373명, 1일 평균 1,339.0명으로, 그 전 주간(10.10.~10.16.)의 1,561.9명에 비해 222.9명 감소(14.3%)하였다.

1일 평균 60세 이상 국내 발생 확진자 수는 288.4명으로, 그 전 주간(10.10.~10.16.)의 289.4명에 비해 1명 감소하였다.

< 최근 방역 관리 상황 비교 >

최근 방역 관리 상황 비교 -9.26,10.3~10.9ㅡ 10.10.~10.16, 10.17.~10.23. 9.26~10.2 10.3~10.9 10.10~10.16. 10.17.~10.23. 국내발생 일일 평균 신규 확진자 수 2,488.3명 1,960.9명 1,561.9명 1,339.0명 60세 이상 352.6명 325.1명 289.4명 288.4명 해외유입 일일 평균 신규 확진자수 27.7명 25.7명 18.0명 18.4명 집단 발생1) (신규 기준) 100건 92건 82건 31건 감염 경로 조사 중 비율 34.0% 33.2% 36.1% 32.6% 방역망 내 관리 비율2) 32.2% 33.0% 32.1% 36.3% 즉시 가용 중환자실 518개 (10.2..17시 기준) 462개 (10.9.17시 기준) 504개 (10.16.17시 기준) 540개 10.23..17시 기준)

1) 집단 발생 건수는 신고일 기준 (신규 확진자 수·감염 경로 조사 중 비율은 보고일 기준)

2) 방역망 내 관리 비율 : 신규 확진자 중 자가격리 상태에서 확진된 사람의 비율

※ 조사 결과에 따라 추후 변동 가능

수도권 환자는 1,043.1명(10.17.~10.23.)으로, 그 전 주간(1,215.4명)에 비해 172.3명(14.2%) 감소하였다. 비수도권 환자는 295.9명(10.17.~10.23.)으로, 그 전 주간(346.5명)에 비해 50.6명(14.6%) 감소하였다.

< 권역별 방역 관리 상황(10.17.~10.23.) >

권역별 방역 관리 상황-수도권, 충청권, 호남권, 경북권, 경남권, 강원, 제주 수도권 충청권 호남권 경북권 경남권 강원 제주 국내발생 일일 평균 신규 확진자 수 1,043.1명 (-172.3) 95.0명 (-24.3) 33.6명 (-9.7) 70.6명 (-15.7) 72.6명 (+3.4) 19.3명 (-1.0) 4.9명 (-3.3) 인구 10만 명 당 발생률(10.23.기준) 4.0명 1.7명 0.7명 1.4명 0.9명 1.3명 0.7명 즉시 가용 중환자실(10.23.기준) 261개 56개 48개 51개 90개 25개 9개

정부는 선제적인 진단검사를 확대하여 적극적으로 환자를 찾고, 역학조사를 통한 추적과 격리를 실시하는 등 강화된 방역 대응을 유지하고 있다.

어제도 전국의 선별진료소를 통해 4만 8952건, 임시 선별검사소를 통해 9만 2947건의 검사가 이루어졌다.(10.26.0시기준)

– 익명검사가 가능한 임시 선별검사소는 총 198개소*를 운영(10.25.18시 기준) 중이며, 그간(12.14.~10.26.0시) 총 1794만 2607건을 검사하였다.

* 수도권 : 140개소(서울 57개소, 경기 72개소, 인천 11개소) / 비수도권 : 58개소(전남 17, 울산 8, 부산 5, 충남 5, 대전 4, 전북 4, 대구 3, 강원 3, 경남 3, 경북 2, 광주 2, 세종 1, 충북 1)

– 정부는 임시 선별검사소에 의료인력 640여명을 배치하여 검사를 지원하고 있고,

– 어제는 하루 동안 임시 선별검사소에서 303명의 환자를 찾아냈다.

코로나19 치료 병상 현황은,

생활치료센터는 총 90개소 19,789병상을 확보(10.26.기준)하고 있으며, 가동률은 전국 31.4%로 13,581병상의 이용이 가능하다. 수도권은 13,517병상을 확보하고 있으며, 가동률은 38.0%로 8,379병상의 이용이 가능하다.

감염병전담병원은 총 9,921병상을 확보(10.25.기준)하고 있으며, 가동률은 전국 41.2%로 5,831병상의 이용이 가능하다. 수도권은 1,907병상이 남아 있다.

준-중환자병상은 총 455병상을 확보(10.25.기준)하고 있으며, 가동률은 전국 52.1%로 218병상의 이용이 가능하다. 수도권은 94병상이 남아 있다.

중환자 전담치료병상은 총 1,079병상을 확보(10.25.기준)하고 있으며, 가동률은 전국 42.3%로 623병상의 이용이 가능하다. 수도권 288병상이 남아 있다.

< 중증도별 병상 현황 >

중증도별 병상 현황 -구분, 무증상경증(생활치료센터-보유, 가용), 중등증(감염병 전담병원-보유, 가용), 준중증(준증환자병상-보유, 가용), 위증증(중환자 전담치료병상-보유, 가용) 구분 무증상·경증(輕症) 중등증(中等症) 준중증(準-重症) 위중증(危重症) 생활치료센터 감염병 전담병원 준-중환자병상 중환자 전담치료병상 보유 가용 보유 가용 보유 가용 보유 가용 전국 19,789 13,581 9,921 5,831 455 218 1,079 623 수도권 13,517 8,379 4,655 1,907 276 94 655 288 중수본 2,955 1,800 – – – – – – 서울 5,699 3,753 2,160 915 81 41 333 142 경기 3,734 2,179 1,867 617 172 51 243 104 인천 1,129 647 628 375 23 2 79 42 비수도권 6,272 5,202 5,266 3,924 179 124 424 335 중수본 844 695 – – – – – – 강원 381 291 388 318 5 2 36 28 충청권 1,102 1,050 1,343 851 49 31 101 75 호남권 700 543 949 816 10 5 67 57 경북권 1,206 854 1,141 846 28 19 83 62 경남권 1,527 1,285 1,171 852 82 62 125 101 제주 512 484 274 241 5 5 12 12

이러한 병상 확보 노력과 함께 의료기관, 생활치료센터, 임시 선별검사소, 예방접종센터 등에 의사, 간호사 등 2,648명의 의료인력을 파견하여 치료와 검사를 지원하고 있다.

어제 신규 확진자 중 재택치료로 배정된 환자(10.22. 0시 기준)는 240명으로, 수도권 211명(서울 83명, 경기 115명, 인천 13명), 비수도권 29명(충남 14명, 강원 5명, 세종 4명, 대전 2명, 제주 2명, 부산 1명, 충북 1명)이다.

< 주간 신규 재택치료 현황 >

(단위 : 명)

주간 신규 재택치료 현황 >-시, 계, 10.20., 10.21, 10.22, 10.23, 10.24, 10.25, 10.26(신규, 현원) 시도 계 10.20 10.21 10.22 10.23 10.24 10.25 10.26 신규 현원 합계 1,955 289 287 311 335 276 217 240 2,088 수도권 1,876 278 276 306 323 271 211 211 1,986 비수도권 79 11 11 5 12 5 6 29 102

3. 이동량 분석 결과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본부장: 장관 권덕철)는 통계청이 제공한 휴대전화 이동량 자료*를 기초로 이동량 변동을 분석하였다.

* S이동통신사 이용자가 실거주하는 시군구 외에 다른 시군구의 행정동을 방문하여 30분 이상 체류한 경우를 이동 건수로 집계

새로운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조정 15주차 전국의 주간(10.18.~10.24.) 이동량은 2억 4,364만 건으로, 직전 주(10.11.~10.17.) 이동량(2억 3,492만 건) 대비 3.7%(873만 건) 증가하였다.

※ 코로나 이전인 2019년도 전국의 주간(2019.10.21.~10.27.) 이동량은 2억 6,955만 건이며, 2019년 대비 2021년 주간 이동량은 9.5%(2,590만 건) 감소한 수치

– 수도권의 주간(10.18.~10.24.) 이동량은 1억 2,681만 건으로, 직전 주(10.11.~10.17.) 이동량(1억 2,267만 건) 대비 3.4%(414만 건) 증가하였다.

– 비수도권의 주간(10.18.~10.24.)의 이동량은 1억 1,683만 건으로, 직전 주(10.11.~10.17.) 이동량(1억 1,225만 건) 대비 4.1%(459만 건) 증가하였다.

< 주간 이동량 추이 분석 >

(단위 : 만 건)

주간 이동량 추이 분석-굽군,0주차, 10주차, 11주차, 12주차, 13주차, 14주차, 15주차 구분 0주차 (11.9~11.15) … 10주차 (9.13.~9.19.) 11주차 (9.20~9.26.) 12주차 (9.27.~10.3.) 13주차 (10.4.~10.10.) 14주차 (10.11.~10.17.) 15주차 (10.18~10.24) 거리 두기 단계 거리두기 이전 – 수도권 4단계(7.12~), 비수도권 새로운 거리두기(7.1~) 주간 이동량 전국 24,751 – 24,569 24,993 23,929 23,873 23,492 24,364 직전 주 대비 증감 – 5.4% 1.7% ▲4.3% ▲0.2% ▲1.6% 3.7% 수도권 13,093 – 12,615 11,554 12,412 11,938 12,267 12,681 직전 주 대비 증감 – 3.0% ▲8.4% 7.4% ▲3.8% 2.8% 3.4% 비수도권 11,658 – 11,954 13,439 11,517 11,935 11,225 11,683 직전 주 대비 증감 – 8.1% 12.4% ▲14.3% 3.6% ▲6.0% 4.1%

4. 코리아세일페스타 방역관리 방안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서는 11월1일부터 15일까지 개최 예정인 코리아세일페스타(이하 ‘코세페’) 방역관리 방안에 대해 보고받고 이를 점검하였다.

코세페는 코로나19로 인한 어려운 경제여건 속에서 기업·소비자 등 전(全) 경제주체가 참여하고, 정부 부처, 17개 시·도 등이 합동 지원하여 내수 진작 및 경기 반등을 위해 추진하며, 특히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중소기업 및 지역경제 회복에 주력한다.

행사는 기획 단계부터 온라인·비대면 행사를 확대하고, 오프라인 행사가 불가피한 경우에는 방역상황에 따라서 행사규모 축소, 방역수칙 강화 등을 통해 진행한다.

또한, 기관·지자체의 상시 연락체계 및 대응 체계를 강화하고, 행사장별 방역관리 상황 점검과 유사시 신속한 상황 전파와 보고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관리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올해 코리아세일페스타는 정부의 “단계별 일상회복” 시행 시기와도 맞물리는 대단히 중요한 시점에 개최되므로,

현장의 소비 분위기는 살리면서도, 방역관리에 대한 경각심도 놓는 일이 없도록 각별히 노력하여, 안전한 소비행사가 되도록 만전을 기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5. 자가격리자 관리현황 및 사회적 거리두기 이행상황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자가격리자 관리현황 및 사회적 거리두기 이행상황’을 점검하였다.

10월 25일(월) 18시 기준 자가격리 관리 대상자는 총 7만 9497명으로, 이 중 해외 입국 자가격리자는 1만 5320명, 국내 발생 자가격리자는 6만 4177명이다.

전체 자가격리자는 전일 대비 2,435명 증가하였다.

10월 25일(월)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식당‧카페(4,526개소), 실내체육시설(869개소) 등 23종 시설 총 11,678개소를 점검하여, 방역수칙 미준수 6건에 대해 현장 지도하였다.

클럽·감성주점 등 유흥시설 2,071개소를 대상으로 경찰청 등과 합동(119개 반, 352명)으로 심야시간 특별점검을 실시하였다.

10월 24일(일), 종교시설 15,591개소*를 대상으로 점검을 실시(점검인력 7,348명) 하였다.

* 현장활동 12,755개소(82%), 비대면활동 300개소(2%), 미실시 2,536개소(16%)

< 붙임 > 1.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별 수칙(10.18. 기준)2. 사회적 거리두기 개편안 관련 Q&A (10.18. 기준)3. 감염병 보도준칙

삼바 위탁생산하는 모더나 백신 243만회분, 국내 첫 공급 – 한겨레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지난 25일 국내 생산 모더나 백신에 대한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GMP) 인증을 마쳤고, 이어 긴급 사용까지 승인했다. 이미 국내에서 접종하고 있는 모더나 백신과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위탁생산한 모더나는 식약처로부터 받아야 하는 허가의 종류가 다르다. 국외에서 수입해 들어오는 모더나 백신은 수입품목 허가를 받은 것이고, 삼성바이오로직스 백신은 위탁생산이라고 해도 국내 공장에서 만든 것이기 때문에 국내 제조품목 허가를 별도로 받아야 한다. 김상봉 식약처 바이오생약국장은 “도입이 확정된 234만5천회분은 긴급 사용 승인된 물량으로, 삼성바이오로직스에서 정확한 수량은 알지 못하나 추가 생산을 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말했다.

See also  베스트 364 대패 삼겹살 된장 찌개 업데이트 84 분 전

지난 8월 모더나사는 제조소 실험실에 문제가 생겼다면서 한국으로 도입이 예정됐던 물량 850만회분의 절반 이하만 보내겠다고 통보하는 등 여러 차례 공급 차질을 빚었다. 앞으로 모더나 백신이 국내에서 위탁생산되는 만큼 국내 공급 안정성은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정은영 중앙사고수습본부 백신도입사무국장은 “백신이 국내에서 생산되면 생산과 공급 상황을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어 공급 안정성을 높여준다”며 “정부는 백신 공급의 안정성 확보와 유통 과정의 효율화 측면에서 국내 위탁생산 물량의 국내 도입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고, 그 부분에 모더나사도 공감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도입은 에스케이(SK)바이오사이언스의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이후 국내 기업이 생산한 코로나19 백신을 국민들에게 접종하는 두 번째 사례다. 국내에선 아스트라제네카, 노바백스, 스푸트니크 브이(V)에 이어 네 번째로 생산되는 코로나19 백신으로, 엠아르엔에이(nRNA)와 합성항원, 바이러스벡터 등 다양한 플랫폼의 백신을 생산하게 됐다.

26 thg 10, 2021 —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위탁생산한 모더나의 코로나19 백신 243만5천회분이 처음으로 국내에 도입된다. 국내에서 생산한 코로나19 백신을 국내에서 사용 …

  • Source: www.hani.co.kr
  • Views: 72582
  • Publish date: 36 minute ago
  • Downloads: 58133
  • Likes: 7470
  • Dislikes: 7
  • Title Website: 삼바 위탁생산하는 모더나 백신 243만회분, 국내 첫 공급 – 한겨레
  • Description Website: 26 thg 10, 2021 —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위탁생산한 모더나의 코로나19 백신 243만5천회분이 처음으로 국내에 도입된다. 국내에서 생산한 코로나19 백신을 국내에서 사용 …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모더나 \”아시아 백신 생산 거점 일본으로\” / SBS / #D리포트

  • Source: Youtube
  • Views: 50869
  • Date: 20 hours ago
  • Download: 23464
  • Likes: 1985
  • Dislikes: 3

삼바 위탁생산하는 모더나 백신 243만회분, 국내 첫 공급

식약처, 25일 긴급 사용 승인

위탁생산 계약 5개월만…공급 안정성 기대

지난 2월17일 미국 코네티컷 웨스트 헤이븐에 위치한 월마트에서 약사가 모더나 백신을 들어보이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위탁생산한 모더나의 코로나19 백신 243만5천회분이 처음으로 국내에 도입된다. 국내에서 생산한 코로나19 백신을 국내에서 사용하게 된 두 번째 사례로, 정부는 공급 불안 문제가 있던 모더나 백신의 공급 안정성을 높여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류근혁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제1총괄조정관은 26일 브리핑에서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위탁생산한 모더나 백신 초도물량 243만5천회분이 금주 중에 국내에 도입될 계획”이라며 “이번에 도입되는 모더나 백신은 2차 접종 및 고위험군 대상 추가접종 등에 폭넓게 활용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지난 5월22일 문재인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삼성바이오로직스와 모더나사 사이에 백신 위탁생산 계약이 체결된 지 5개월여만이다. 계약 체결 이후 정부는 백신 공급 안정성과 유통 비용·기간 단축을 위해 국내 생산 백신을 국내에 공급할 수 있도록 모더나사와 협의해왔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지난 25일 국내 생산 모더나 백신에 대한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GMP) 인증을 마쳤고, 이어 긴급 사용까지 승인했다. 이미 국내에서 접종하고 있는 모더나 백신과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위탁생산한 모더나는 식약처로부터 받아야 하는 허가의 종류가 다르다. 국외에서 수입해 들어오는 모더나 백신은 수입품목 허가를 받은 것이고, 삼성바이오로직스 백신은 위탁생산이라고 해도 국내 공장에서 만든 것이기 때문에 국내 제조품목 허가를 별도로 받아야 한다. 김상봉 식약처 바이오생약국장은 “도입이 확정된 234만5천회분은 긴급 사용 승인된 물량으로, 삼성바이오로직스에서 정확한 수량은 알지 못하나 추가 생산을 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도입은 에스케이(SK)바이오사이언스의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이후 국내 기업이 생산한 코로나19 백신을 국민들에게 접종하는 두 번째 사례다. 국내에선 아스트라제네카, 노바백스, 스푸트니크 브이(V)에 이어 네 번째로 생산되는 코로나19 백신으로, 엠아르엔에이(nRNA)와 합성항원, 바이러스벡터 등 다양한 플랫폼의 백신을 생산하게 됐다.

지난 8월 모더나사는 제조소 실험실에 문제가 생겼다면서 한국으로 도입이 예정됐던 물량 850만회분의 절반 이하만 보내겠다고 통보하는 등 여러 차례 공급 차질을 빚었다. 앞으로 모더나 백신이 국내에서 위탁생산되는 만큼 국내 공급 안정성은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정은영 중앙사고수습본부 백신도입사무국장은 “백신이 국내에서 생산되면 생산과 공급 상황을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어 공급 안정성을 높여준다”며 “정부는 백신 공급의 안정성 확보와 유통 과정의 효율화 측면에서 국내 위탁생산 물량의 국내 도입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고, 그 부분에 모더나사도 공감하고 있다”고 말했다.

류근혁 조정관은 “코로나19 장기화 상황에서 국내에 안정적인 백신 생산 기반을 마련하는 한편, 우리나라가 전 세계 백신 공급에 기여하는 백신 허브로 자리매김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김지훈 기자 [email protected]

삼성바이오 ‘위탁생산’ 모더나 백신 국내 공급 – KTV 국민방송

“아스트라제네카, 노바백스, 스푸트니크V에 이어 국내에서 네 번째로 생산되는 코로나19 백신으로 우리나라에서 mRNA, 바이러스 벡터 등 다양한 플랫폼의 백신을 생산하게 되었다는 데 의의가 있습니다.”

See also  베스트 1980 유리 전이 온도 새로운 업데이트 210 시간 전

열에 쉽게 파괴되는 mRNA 백신의 특성을 감안해 원액 혼합조제부터 충전, 밀봉까지 전 공정 무균상태 유지 등을 평가해 의약품 제조와 품질관리기준, 즉 ‘GMP 인증’을 받았습니다.

“국내에서 생산이 되면 국내에서 생산이나 공급상황을 저희가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공급 안정성을 그런 측면에서 높여준다고 말씀드릴 수 있겠습니다.”

26 thg 10, 2021 — 박천영 앵커> 국내 제약 업체에서 위탁받아 생산한 모더나 백신의 초도 물량 243만5천회 분량이 우리나라로 도입됩니다. 코로나19 백신 수급의 안정성 …

  • Source: www.ktv.go.kr
  • Views: 39215
  • Publish date: 10 hours ago
  • Downloads: 55976
  • Likes: 1608
  • Dislikes: 4
  • Title Website: 삼성바이오 ‘위탁생산’ 모더나 백신 국내 공급 – KTV 국민방송
  • Description Website: 26 thg 10, 2021 — 박천영 앵커> 국내 제약 업체에서 위탁받아 생산한 모더나 백신의 초도 물량 243만5천회 분량이 우리나라로 도입됩니다. 코로나19 백신 수급의 안정성 …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완벽한 계약! 모더나CEO.\”한국이 생산거점 될 것\” 한국을 생산거점으로 지목한 상황. 한국이 이득만 취하는 제안 내건 모더나CEO. 공급시기 단축까지 파격적인 상황

  • Source: Youtube
  • Views: 101118
  • Date: 57 minute ago
  • Download: 59183
  • Likes: 2364
  • Dislikes: 3

KTV 국민방송

박천영 앵커>

국내 제약 업체에서 위탁받아 생산한 모더나 백신의 초도 물량 243만5천회 분량이 우리나라로 도입됩니다.

코로나19 백신 수급의 안정성이 한층 높아졌다는 평가입니다.

이수복 기자가 보도합니다.

이수복 기자>

국내 제약업체인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생산한 모더나 백신이 국내에 도입됩니다.

도입 물량은 처음 생산된 243만5천 회분입니다.

이번 주 내 삼성바이오로직스 백신 공장에서 출하됩니다.

이번 도입 물량은 SK바이오사이언스의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이후 국내 기업이 생산한 네 번째 코로나19 백신입니다.

국내에 도입된 국산 백신으로 따지면 두 번째 사례입니다.

녹취> 류근혁 / 보건복지부 2차관

“아스트라제네카, 노바백스, 스푸트니크V에 이어 국내에서 네 번째로 생산되는 코로나19 백신으로 우리나라에서 mRNA, 바이러스 벡터 등 다양한 플랫폼의 백신을 생산하게 되었다는 데 의의가 있습니다.”

앞서 한미정상회담 기간인 지난 5월 22일,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모더나와 백신 위탁생산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국내에서 처음 생산되는 mRNA 백신인 만큼 도입 전 식약처의 꼼꼼한 평가를 거쳤습니다.

열에 쉽게 파괴되는 mRNA 백신의 특성을 감안해 원액 혼합조제부터 충전, 밀봉까지 전 공정 무균상태 유지 등을 평가해 의약품 제조와 품질관리기준, 즉 ‘GMP 인증’을 받았습니다.

이어 어제(25일) 식약처의 긴급사용승인을 받아 위탁 생산된 모더나 백신의 도입이 결정된 겁니다.

이로써 지난 8월 모더나 백신 수급 지연 사태처럼 해외 현지 공장 사정에 의해 수급이 어려워지는 불안정성을 해소하게 됐습니다.

녹취> 정은영 / 중수본 백신도입사무국장

“국내에서 생산이 되면 국내에서 생산이나 공급상황을 저희가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공급 안정성을 그런 측면에서 높여준다고 말씀드릴 수 있겠습니다.”

이번에 도입된 모더나 백신은 4분기 신규 접종과 2차 접종, 고위험군 추가 접종에 사용됩니다.

(영상취재: 안은욱 / 영상편집: 진현기)

이후 도입물량은 모더나와 협의할 계획입니다.

KTV 이수복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모더나 COVID-19 mRNA 백신 스파이크박스주, 식약처 품목 …

존림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는“한국 정부와 모더나의 신속한 대응과 긴밀한 협업으로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생산한 제품이 국내 첫 mRNA 백신 품목허가를 받게 된 것은 또 하나의 의미 있는 이정표를 세운 것이다”라고 말했다. 이어 “프로세스 전반에 걸쳐 품질과 스피드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우리의 약속을 입증할 수 있어 자랑스럽고, COVID-19 팬데믹과의 전쟁에서 백신 공급에 대한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안정적인 백신 공급을 위해 정부 및 고객사와 지속적으로 협력해 나갈 것이다”라고 덧붙였다.

모더나와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지난 5월 COVID-19 백신 완제 위탁생산 계약을 체결했다. 이후 삼성바이오로직스는 기술 혁신을 통해 생산 소요 기간을 대폭 단축했고, 계약 체결 후 5개월만에 초도생산 물량을 국내에 출하해 백신 수급을 확대했다. 모더나코리아는 11월 초 스파이크박스주 라는 제품명으로 식약처에 정식 품목허가를 신청했고, 한달 여 만에 품목허가를 획득했다.

스티븐 방셀 모더나 최고경영자(CEO)는 “한국 식약처의 신속한 품목허가 결정에 대해 감사하게 생각한다. 삼성바이오로직스와의 모더나 COVID-19 백신 완제품 생산 파트너십은 모더나가 미국 이외 지역에서 생산능력을 높이는 데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모더나는 생산 파트너들과 함께 COVID-19 팬데믹 종식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 Source: samsungbiologics.com
  • Views: 77523
  • Publish date: 14 hours ago
  • Downloads: 68722
  • Likes: 581
  • Dislikes: 7
  • Title Website: 모더나 COVID-19 mRNA 백신 스파이크박스주, 식약처 품목 …
  • Description Website: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모더나 백신 한국서 위탁 생산하면 구매 우선권 있나 [MBN 종합뉴스]

  • Source: Youtube
  • Views: 94562
  • Date: 2 hours ago
  • Download: 64703
  • Likes: 65
  • Dislikes: 1

국내 생산 모더나 COVID-19 mRNA 백신 스파이크박스주, 식약처 품목허가 획득

COMPANY NEWS Moderna’s COVID-19 vaccine manufactured by Samsung Biologics obtains drug authorization from Korea’s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 삼성바이오로직스 생산 모더나 백신 정식 품목허가…국내 포함 전 세계 수출 가능성 열어

– 식약처의 신속 승인, 글로벌 레퍼런스 활용…전 세계 모더나 백신 공급 가속화 기대

모더나코리아(대표이사 손지영)는 삼성바이오로직스(대표이사 존림)가 완제 위탁생산한 모더나 COVID-19 mRNA 백신 ‘스파이크박스주 (Spikevax®, mRNA-1273)’가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로부터 품목허가를 받았다고 14일 밝혔다.

모더가코리아가 획득한 식약처의 품목허가는 삼성바이오로직스의 국내 의약품 제조공장에서 생산된 모더나 mRNA 백신의 정식 품목허가로 국내 판매 및 해외 수출이 가능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 계약부터 품목허가까지 7개월…엄격한 심사에도 기간 단축

모더나와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지난 5월 COVID-19 백신 완제 위탁생산 계약을 체결했다. 이후 삼성바이오로직스는 기술 혁신을 통해 생산 소요 기간을 대폭 단축했고, 계약 체결 후 5개월만에 초도생산 물량을 국내에 출하해 백신 수급을 확대했다. 모더나코리아는 11월 초 스파이크박스주 라는 제품명으로 식약처에 정식 품목허가를 신청했고, 한달 여 만에 품목허가를 획득했다.

국내에서 처음 완제 생산되는 mRNA 백신 스파이크박스주의 안정적인 공급을 위해 모더나, 삼성바이오로직스, 정부가 신속하고 긴밀하게 협업하여 빠른 시간 내 모든 절차를 완료, 제품승인을 획득하게 되었다.

□ 식약처의 신속 승인, 전 세계 모더나 백신 공급 가속화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생산한 모더나 mRNA 백신은 필리핀(11월 26일)과 콜롬비아(12월 2일)에서도 긴급사용 승인을 받았다.

스티븐 방셀 모더나 최고경영자(CEO)는 “한국 식약처의 신속한 품목허가 결정에 대해 감사하게 생각한다. 삼성바이오로직스와의 모더나 COVID-19 백신 완제품 생산 파트너십은 모더나가 미국 이외 지역에서 생산능력을 높이는 데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모더나는 생산 파트너들과 함께 COVID-19 팬데믹 종식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존림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는“한국 정부와 모더나의 신속한 대응과 긴밀한 협업으로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생산한 제품이 국내 첫 mRNA 백신 품목허가를 받게 된 것은 또 하나의 의미 있는 이정표를 세운 것이다”라고 말했다. 이어 “프로세스 전반에 걸쳐 품질과 스피드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우리의 약속을 입증할 수 있어 자랑스럽고, COVID-19 팬데믹과의 전쟁에서 백신 공급에 대한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안정적인 백신 공급을 위해 정부 및 고객사와 지속적으로 협력해 나갈 것이다”라고 덧붙였다.

삼성바이오로직스 위탁생산 모더나 백신 긴급사용 승인

  • Source: www.medicaltimes.com
  • Views: 32615
  • Publish date: 1 hours ago
  • Downloads: 18052
  • Likes: 3169
  • Dislikes: 10
  • Title Website: 삼성바이오로직스 위탁생산 모더나 백신 긴급사용 승인
  • Description Website: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삼바 생산’ 모더나, 100만+α 우선 공급…이르면 9월부터 / JTBC 뉴스룸

  • Source: Youtube
  • Views: 92096
  • Date: 53 minute ago
  • Download: 89732
  • Likes: 6582
  • Dislikes: 5

주제에 대한 관련 정보 모더 나 생산

Bing에서 모더 나 생산 주제에 대한 최신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주제에 대한 기사 보기를 마쳤습니다 모더 나 생산. 이 기사가 유용했다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이 주제와 관련하여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모더 나 생산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