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에 대한 기사를 찾고 있습니까 “명함 디자인 사이즈“? 웹사이트에서 이 주제에 대한 전체 정보를 제공합니다 https://c2.chewathai27.com/ 탐색에서: 457+ 당신을 위한 팁. 바로 아래에서 이 주제에 대한 자세한 답변을 찾을 수 있습니다. 찾고 있는 주제를 더 잘 이해하려면 끝까지 읽으십시오. 더 많은 관련 검색어: 명함 디자인 사이즈 명함 사이즈 픽셀, 명함 사이즈 cm, 명함 사이즈 포토샵, 세로 명함 디자인, 명함 비율, 명함 도안, 명함사진 사이즈, 명함 디자인 샘플
일반적으로 대한민국의 표준 명함 규격은 90mm x 50mm입니다.
전문적인 디자인으로 셀프 명함 만들기 완벽 가이드
여기서 말하는 이미지는 일러스트나 사진이 될 수도 있고, 때에 따라 아이콘이나 패턴이 될 수도 있습니다. 각 이미지의 용도가 약간씩 다르지만 내 브랜드에 관심을 유도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은 동일합니다. 예를 들어, 제빵사의 명함에 딸기를 흩뿌려놓은 마카롱 일러스트를 삽입하거나 빵 반죽을 손으로 치대는 모습의 사진을 흑백으로 삽입하는 것이죠.
• 바깥 여백: 명함을 종이에 인쇄할 때 재단할 것을 고려하여 실제 디자인보다 더 넓은 영역까지 디자인 요소를 적용하는 공간을 뜻합니다. 바깥 여백 영역을 적용함으로써 명함을 인쇄한 후 깔끔하게 재단할 때 재단선을 빗겨나가도 디자인에 영향을 미치는 확률을 최소화합니다. 일반적으로 여백 영역의 범위는 3mm ~ 6mm 정도이며, 인쇄기에 따라 달라집니다.
• 인쇄 옵션 점검하기: 내가 인쇄를 맡길 업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인쇄 후가공 옵션을 살펴보고 가격과 서비스를 비교해보세요. 인쇄 옵션을 다 선택한 후에는 담당자에게 인쇄용지 및 인쇄 방식에 대해 문의하세요. 인쇄 업체에 직접 방문하면 각 인쇄용지들을 살펴보고 선택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해당 인쇄 업체가 선호하는 파일 형식이 무엇인지 물어보세요.
- Source: ko.wix.com
- Views: 41400
- Publish date: 19 hours ago
- Downloads: 38270
- Likes: 4852
- Dislikes: 8
- Title Website: 전문적인 디자인으로 셀프 명함 만들기 완벽 가이드
- Description Website:
- Source: Youtube
- Views: 100305
- Date: 10 hours ago
- Download: 43000
- Likes: 9057
- Dislikes: 3
전문적인 디자인으로 셀프 명함 만들기 완벽 가이드
명함을 디자인하는 방법
사람들의 의사소통 수단이 점점 디지털화되고 있음에도 인쇄한 종이 명함은 여전히 그 자리를 지키고 있는데요. 그 이유는 생각보다 단순합니다. 정보를 빠르고 비용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는 것이 이유입니다. 그 동시에 명함을 전달받은 잠재 고객들은 나와 내 비즈니스에 대한 가시적인 기억을 갖게 됩니다.
명함이란 쉽게 말하면 내 연락처 정보를 담은 작은 종이인데요. 내 이름, 브랜드 로고를 포함하여 내 웹사이트 주소, 핸드폰 번호, SNS 주소 등의 연락처 세부사항을 한 곳에 편리하게 정리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명함은 언제든지 연락해도 괜찮다는 것을 암시하는 일종의 초대장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전문 디자이너에게 의뢰하여 명함을 제작할 수도 있고, Wix 명함 만들기와 같은 디자인 소프트웨어나 온라인 도구를 사용하여 독자적으로 제작할 수도 있습니다.
이번 아티클에서는 명함을 직접 디자인하기 위해 알아야 할 모든 것들을 몇 단계로 정리해보았습니다.
1. 명함 사이즈 선택
표준 명함 사이즈는 국가별로 상이합니다. 지금부터 소개하는 명함 규격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이즈를 소개한 것으로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대한민국의 표준 명함 규격은 90mm x 50mm입니다.
한국 표준: 90mm × 50mm
미국 및 캐나다 표준 규격: 89mm × 51mm (여백 포함: 95.25mm × 57.15 mm)
서유럽 표준: 85mm × 55mm (여백 포함: 91mm × 61 mm)
동유럽 표준: 90mm × 50mm
오세아니아 표준: 90mm × 55mm
일본 표준: 91mm × 55mm
명함 디자인에 있어서 표준 규격 외에도 몇 가지 중요한 인쇄 용어가 있습니다.
• 바깥 여백: 명함을 종이에 인쇄할 때 재단할 것을 고려하여 실제 디자인보다 더 넓은 영역까지 디자인 요소를 적용하는 공간을 뜻합니다. 바깥 여백 영역을 적용함으로써 명함을 인쇄한 후 깔끔하게 재단할 때 재단선을 빗겨나가도 디자인에 영향을 미치는 확률을 최소화합니다. 일반적으로 여백 영역의 범위는 3mm ~ 6mm 정도이며, 인쇄기에 따라 달라집니다.
• 재단선: 재단선은 명함 가장자리에 칼날로 재단해야 할 위치를 알려주는 선입니다.
• 안전 여백: 안전 여백은 명함 인쇄가 밀렸을 경우를 대비해서 재단선 내부에 있는 디자인 요소(텍스트나 로고)가 위치하지 말아야 할 공간을 뜻합니다. 일반적으로 안전 여백은 재단선으로부터 안쪽으로 약 4mm입니다. 이렇게 여백을 두고 디자인을 하는 이유는 재단 칼날재단선을 정확하게 자르는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 오차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2. 브랜딩 자산 계획하기
브랜딩 에셋을 차근차근 계획하세요. 명함을 통해 내 브랜드의 본질과 아이덴티티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명함 디자인을 이야기하기에 앞서 명함에 들어갈 요소들이 확실하게 준비되었는지 생각해보세요.
• 로고: 로고는 명함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내 브랜드의 로고가 아직 없다면 전문 디자이너에게 의뢰하거나 Wix 로고 메이커와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직접 제작할 수 있습니다. 이 로고 디자인 가이드를 사용하면 로고 제작 방향을 정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비즈니스명: 비즈니스명을 정할 때는 내 비즈니스가 무엇에 관한 것인지 드러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 브랜드 색상 계획: 색은 사람의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요소로써 내 브랜드 특유 분위기를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명함과 내 웹사이트 등 모든 브랜딩 에셋에 동일한 색상 배열을 사용하세요.
• 브랜드 이미지: 내 브랜드는 전문적이고 신뢰가 가는 이미지인가요? 혹은 발랄하고 역동적인 이미지인가요? 아직 내 브랜드의 이미지를 정하지 않았다면 사람들에게 내 브랜드가 어떤 이미지로 보이는 것이 좋을지 생각해보세요. 내 브랜드의 명함과 디자인, 글을 통해 브랜드 이미지 및 가치가 엿보일 수 있어야 합니다.
3. 명함의 방향성을 결정하기
명함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작은 크기의 종이 안에 원하는 것을 마음껏 표현할 수 있지만, 디자인적으로 접근하기 위해서는 결정해야 할 것들이 많습니다.
• 형태: 명함은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모양이지만 독특한 형태로 제작할 수도 있습니다. 실제 명함 제작 사례를 보면 정사각형이나 원형으로 만든 명함도 있고, 직사각형 형태는 유지하되 모서리를 둥글게 만든 명함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또한 대부분의 명함은 가로로 디자인하지만 세로 명함 디자인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 요소 배치: 일반적으로 명함은 앞, 뒷면에 디자인을 적용하는 형태를 가지고 있지만, ‘텐트 명함’이라고도 알려진 반으로 접혀 있는 명함 디자인도 있습니다. 어떤 형태의 명함을 선택하든 각 요소를 어느 쪽에 배치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로고는 앞면에 배치하고, 비즈니스명과 연락처 세부사항은 뒷면에 배치할 수 있습니다.
• 스타일: 이전 섹션에서 언급했던 브랜딩 에셋을 고려하여 명함이 브랜드의 스타일을 표현하는지 확인하세요. 비슷한 업종의 경쟁 브랜드에서는 명함 디자인을 어떻게 했는지 살펴보고, 미니멀 디자인에서부터 볼드 디자인까지, 유행을 타지 않는 디자인에서부터 최신 트렌드 디자인까지 다양하게 알아보세요.
4. 사람들이 흔히 하는 실수를 피하기
• 바깥 여백을 적용한 디자인: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명함 디자인 바깥쪽에 여백을 적용했는지확인하세요. 그리고 안전 여백 영역에는 중요한 정보를 배치하지 않아야 해당 부분이 재단 칼날에 의해 잘리는 일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 CMYK 색상 모드: 인쇄 작업에 사용되는 CMYK 모드로 설정하여 디자인 작업을 해야 합니다. RGB 모드는 화면 디스플레이에서 사용되는 색상 모드입니다.
• 고해상도 작업: 명함 디자인 요소들이 픽셀로 깨지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300dpi 이상의 고해상도 파일로 작업했는지 반드시 확인하세요. 명함에 들어가는 로고, 아이콘, 이미지와 같은 모든 디자인 요소 역시 고해상도 파일이어야 합니다.
• 가독성 유지: 명함에 들어가는 글은 8포인트 이상의 크기로 작성해야 명확하게 보이고 가독성이 좋습니다. 같은 이유로 디자인에 색상 대비를 적절하게 사용해야 요소들이 눈에 잘 들어옵니다. 색의 명확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다양한 온라인 색상 팔레트 도구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5. 명함 디자인에 들어가야 할 요소 선택
가장 잘 만든 명함은 불필요한 세부사항을 너무 많이 넣지 않고, 중요한 정보만을 빠르고 쉽게 전달할 수 있는 명함입니다. 다음의 요소들은 중요한 정보에 속하는 가장 관련성이 높은 요소들입니다:
로고: 기업 로고는 반드시 명함에 들어가야 할 요소로 전문적인 이미지와 신뢰를 더해줍니다. 명함에서 제일 잘 보이는 곳에 로고를 배치하여 눈에 띄게 만드세요.
내 이름: 명함의 용도는 다른 사람들이 나에게 연락을 취하도록 만드는 것이기 때문에 내 이름이 반드시 들어가야 합니다.
직함: 내 명함을 본 사람들이 기업 내에서의 내 역할을 쉽게 기억할 수 있도록 ‘CEO 및 담당자’나 ‘디자이너’와 같이 한 단어 또는 두 단어로 직함을 기재하세요.
기업명: 로고에 기업명이 따로 명시되어 있거나 기업명이 내 이름과 같지 않은 이상 반드시 기업명을 표시해야 합니다.
태그라인: 태그라인은 반드시 삽입해야 할 요소는 아닌 선택사항이지만, 브랜드에서 하는 일에 대한 부가적인 설명이 필요하기 위해 쓸 수 있고, 짧은 기업 슬로건을 삽입할 수도 있습니다.
웹사이트: 내 브랜드 홈페이지의 웹 주소를 추가하세요. ‘https://’나 ‘www’는 생략해도 괜찮습니다.
연락처: 연락처는 일반적으로 내 핸드폰 번호와 이메일 주소를 포함합니다. 오프라인 사업장을 운영하고 있다면 사업장 주소도 추가할 수 있습니다. 운영하는 SNS가 브랜드와 관련이 있다면 해당 SNS 주소도 추가하세요.
6. 눈길을 사로잡는 이미지 추가
명함에 시각적인 요소들을 사용함으로써 많은 사람이 연락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물론 색상 배열이나 2개 이상의 글꼴 사용, 레이아웃 등의 기본적인 디자인 방식으로도 가능한 일입니다. 하지만 이미지를 사용하면 시각적인 가치를 더 높일 수 있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이미지는 일러스트나 사진이 될 수도 있고, 때에 따라 아이콘이나 패턴이 될 수도 있습니다. 각 이미지의 용도가 약간씩 다르지만 내 브랜드에 관심을 유도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은 동일합니다. 예를 들어, 제빵사의 명함에 딸기를 흩뿌려놓은 마카롱 일러스트를 삽입하거나 빵 반죽을 손으로 치대는 모습의 사진을 흑백으로 삽입하는 것이죠.
하지만 너무 일반적인 사진을 사용하는 것은 피해야 하며, 이미지가 명함의 전체적인 분위기에 영향을 끼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아티스트의 명함을 제작한다면 평범한 페인트 붓 아이콘보다는 해당 아티스트의 작품 하나를 삽입하는 것이 더 나은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7. 돋보일 수 있도록 독특한 감성을 활용
특별한 후가공을 더하여서 나만의 독특한 명함을 제작할 수 있습니다. 비용이 더 많이 들긴 하지만 고급스러운 느낌과 섬세한 감촉을 표현할 수 있다는 큰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명함 하나에 특별한 후가공을 너무 많이 추가하게 되면 오히려 디자인이 복잡해질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 박 작업 또는 메탈 잉크: CMYK 인쇄 방식으로는 실버, 구리, 골드 등의 색상을 표현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박 작업이나 메탈 잉크를 사용하면 금속 느낌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 엠보싱 및 형압: 이 두 가지의 인쇄 기술은 내가 원하는 부분이 종이 앞쪽으로 볼록하게 튀어나오게 하거나 혹은 반대로 안쪽으로 살짝 들어가게 만들어서 입체적인 효과를 주는 것입니 다.
• 부분 UV 코팅: 로고와 같이 특정 인쇄한 부분을 투명하게 코팅하여 반짝이는 효과를 주는 후 가공입니다.
• 레이저 커팅: 레이저로 복잡한 형태를 커팅하는 후가공입니다. 명함의 요소들을 모양대로 잘라내어 흥미로운 결과물을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 특이한 재료: 명함은 보통 도톰한 종이 위에 인쇄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그 외에도 나무나 금속, 자석 위에 인쇄하여 명함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명함을 인쇄하기 전에 마지막으로 확인할 사항
명함 제작이 거의 다 완료됐습니다! 디자인한 명함을 인쇄하기만 하면 멋진 명함을 제작하여서 동료들과 고객들에게 나누어 줄 수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인쇄 작업에 들어가기에 앞서 잘못된 부분이 없는지 마지막으로 반드시 확인하세요. 인쇄하기 위해 일단 작업 파일을 보내고 나면 수정하기 어렵습니다.
• 교정: 틀린 글자는 없는지, 정보들이 모두 최신이며 정확한지, 내가 의도한 대로 디자인이 잘 되었는지 꼼꼼하게 여러 번 확인하세요.
• 시각 요소들을 잘 살펴보기: 삽입한 이미지가 고해상도 이미지가 맞는지, 해당 이미지 사용에 있어서 저작권 문제는 없는지 확인하세요.
• 인쇄 옵션 점검하기: 내가 인쇄를 맡길 업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인쇄 후가공 옵션을 살펴보고 가격과 서비스를 비교해보세요. 인쇄 옵션을 다 선택한 후에는 담당자에게 인쇄용지 및 인쇄 방식에 대해 문의하세요. 인쇄 업체에 직접 방문하면 각 인쇄용지들을 살펴보고 선택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해당 인쇄 업체가 선호하는 파일 형식이 무엇인지 물어보세요.
이제 명함 디자인 작업 파일을 인쇄 업체로 보내는 일만 남았습니다. 제작한 명함이 도착하면 따끈따끈하게 갓 인쇄한 명함 종이 냄새를 즐겨보세요!
By 조윤정
SEO & 블로그 전문가
명함의 3대 요소 – 브런치
신용카드 사이즈는 86 x 54 mm이며, (정확히는 85.60 x 53.98 mm, 출처: 위키피디아) 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명함은 신용카드 사이즈보다, 가로가 4mm 길고, 세로가 4mm 짧다.
명함의 재질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중 가장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사항은 두께와 질감(Texture)이라 생각한다. (여기에서는 종이 명함에 대해서만 이야기하려 한다.)
회사 로고, 이름, 직위, 핸드폰, 회사 전화, 팩스, 주소, 메일 주소 등 많은 요소가 있지만 레이아웃 구성은 좌측 정렬 or 가운데 정렬 , 이렇게 크게 두 가지 로 나눌 수 있다.
- Source: brunch.co.kr
- Views: 5473
- Publish date: 6 hours ago
- Downloads: 71598
- Likes: 8334
- Dislikes: 1
- Title Website: 명함의 3대 요소 – 브런치
- Description Website:
#1 명함 디자인하는 방법 – 일러스트레이터 강좌
- Source: Youtube
- Views: 14302
- Date: 18 hours ago
- Download: 22029
- Likes: 9943
- Dislikes: 8
명함의 3대 요소
부제: 디자이너의 명함 사이즈는 다르다!
어떤 명함이 더 좋아 보이나요?
명함의 3대 요소를 아는가?
바로 크기, 재질, 디자인이다.
(사실 내가 정했다ㅎ…)
이 3가지로 대부분의 명함을 분류할 수 있다.
1. 크기
우리나라의 명함 표준 사이즈는 90 x 50 mm이다.
딱히 국제 표준이 있는 것도 아니고, 누가(Who) 왜(Why) 어떻게(How) 정했는지는 모르겠지만 우리나라에서 대부분 명함집들의 통상적으로 약속한 사이즈다.
자, 위 2가지 네모들이 명함 종이라고 한다면, ①번과 ②번 중에 어떤 사이즈가 좋아 보이는가?
①번은 90 x 50 mm, ②번은 87 x 52mm이다.
①번이 우리가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사이즈이며
②번은 내가 명함 디자인할 때 주로 사용하는 사이즈이다.
그렇다면 왜 ②번일까?
이유가 그냥 예뻐서라고 대답하기엔 설득력이 좀 부족한 것 같고, 디자이너라면 왜(Why)를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다음은 내가 디자인 스튜디오를 운영하면서 클라이언트들에게 ②번 명함사이즈가 왜 좋은지 설명한 내용이다.
첫째로, 지갑에서 넣고 빼기 좋아야 한다.
한 번쯤은 명함을 상대방에게 급하게 전달할 때, 지갑 깊숙이 꽉 낀 내 명함이 잘 빠지지 않아 당황한 적이 있을 것이다(있어야 한다).
겨우 꺼낸 명함은 꺼내는 과정에서 구겨졌다는 일화…ㅠ
신용카드 사이즈
지갑의 섹션은 보통 신용카드를 고려한 사이즈다.
신용카드 사이즈는 86 x 54 mm이며, (정확히는 85.60 x 53.98 mm, 출처: 위키피디아) 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명함은 신용카드 사이즈보다, 가로가 4mm 길고, 세로가 4mm 짧다.
신용카드가 들어가야 할 공간에, 4mm가 넓은 명함을 넣으니 당연히 넣고 빼기가 힘들다.
대게 명함은 4-5장씩 지갑에 보관하는데, 한 장만 넣는 신용카드에 비해 보관하는 개수에 많아지면 차지하는 두께도 두꺼워지면서 빼기는 더욱 힘들어진다;;
따라서 명함 사이즈는 신용카드와 ①번 명함의 중간인 ②번 명함이 사용자 입장(UX)에서 사용하기 적절해 보인다.
*참고로 세로 길이가 52mm 보다 길어지면 명함집에 넣기 힘들다.*
두 번째로, 여백 활용이 좋다.
명함에 들어갈 내용으로는
회사 로고, 이름, 직위, 핸드폰, 회사 전화, 팩스, 주소, 메일 주소 등 많은 요소가 있지만 레이아웃 구성은 좌측 정렬 or 가운데 정렬 , 이렇게 크게 두 가지 로 나눌 수 있다.
좌측정렬 레이아웃
좌측 정렬일 때는 같은 레이아웃일 때 ①번 명함이 위아래 여백이 좁아 상대적으로 답답함을 줄 수 있다.
가운데 정렬 레이아웃
가운데 정렬일 때도 마찬가지로 같은 레이아웃일 때 ①번 명함처럼 광활한 여백이 상대적으로 부담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명함에 들어갈 항목은 들어갈 항목이 많을수록, 위에서 아래로 쌓이면서
②번 명함의 비율이 ①번 보다 상대적으로 여백 활용이 용이하다는 것이다.
즉, 여백의 밸런스가 좋다.
2~3mm 차이가 뭐 그리 대수냐 하시면
“작은 차이가 명품을 만든다!”
2~3mm 차이도 명함 사이즈같이 작은 사이즈에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래서 내가 디자인일을 하며 먹고살고 있…)
아래는 내가 87 x 52 mm 사이즈로 제작한 명함들 예시다.
2. 재질
명함의 재질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중 가장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사항은 두께와 질감(Texture)이라 생각한다. (여기에서는 종이 명함에 대해서만 이야기하려 한다.)
명함의 재질은 수많은 두께와 질감에 따라 결정된다. 그래서 클라이언트의 비즈니스 분야에 따라 적합한 재질을 찾는 것이 중요하겠다.
사람을 많이 만나며 명함 사용할 일이 많은 영업직 같은 경우, 두께가 너무 두껍지 얇은 명함을 추천한다.
경험상 명함 두께가 두껍다면, 부피를 많이 차지하므로 많이 들고 다니기가 힘들다.
(물론 명함지갑을 따로 들고 다니면 문제 x)
간혹 미팅이 많은 날 중요한 자리에서, 명함이 떨어지는 불상사가 발생할 수 있다ㅠ
나는 개인적으로 명함이 떨어졌다는 표현이, 당신을 만날 때 준비가 덜 되어 만났다고 말하는 것 같아, 좋은 인상을 주기 힘들다고 생각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두께’는 가격’에 비례하므로, 명함 사용량이 많다면 두꺼운 명함은 금액적인 부분에서 부담이 될 수도 있다.
보통 명함은 200 ~ 250g/m² 종이를 많이 사용하며, 나는 너무 얇지도 않으면서 부담스럽지도 않은 두께인 300 ~ 350g/m² 종이를 선호한다.
특별하고 고급스러운 명함을 만들고 싶다면 400 ~ 450g/m² 두께의 명함을 추천한다. (종이의 무게가 정확히 두께를 의미하진 않는다.)
3. 디자인
명함은 내가 속해있는 회사와 자신을 상대방에게 소개하는 첫인상이다.
같은 내용이라도 어떻게 디자인하느냐에 따라 센스 있는 명함이 될 수도 있고 평범한 명함이 될 수도 있다.
이 작은 명함 하나에 또 얼마나 많은 정보들이 들어가 있는가.
우리는 무엇을 만드는 회사이며, 어떤 것을 중요시하는 회사고 ~ Blah Blah ~
‘God in the details’가 아니라 바로 ‘God in the 명함’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디자인은 기본,
한 단계 더 나아가 내가 하는 비즈니스를 이해하고, 브랜딩의 방향에서 접근한다면 더욱더 좋은 명함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by Jeil
명함 작업 시 주의 사항 – 이프린트랜드
- Source: www.eprint.land
- Views: 88562
- Publish date: 7 hours ago
- Downloads: 98812
- Likes: 5814
- Dislikes: 4
- Title Website: 명함 작업 시 주의 사항 – 이프린트랜드
- Description Website:
명함디자인 잘 하는 방법
- Source: Youtube
- Views: 70012
- Date: 5 hours ago
- Download: 10561
- Likes: 907
- Dislikes: 4
OPM사이즈 명함 – 오프린트미
- Source: m.ohprint.me
- Views: 27662
- Publish date: 2 hours ago
- Downloads: 88826
- Likes: 4953
- Dislikes: 1
- Title Website: OPM사이즈 명함 – 오프린트미
- Description Website:
포토샵 명함 만들기! (명함 디자인하기)
- Source: Youtube
- Views: 82356
- Date: 1 minute ago
- Download: 5005
- Likes: 3566
- Dislikes: 7
편집 디자인할 때 명함사이즈는? 국가별 명함크기 차이는?
위와 같이 각 나라별로 사용하는 명함의 크기가 서로 다릅니다. 따라서 국내의 경우 90x50mm 인지, 86x52mm 인지 확인을 해야 하고(별다른 요구가 없으면 90x50mm로 작업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외국의 경우 위의 사이즈대로 작업해야 하는지 아니면 우리나라 일반적인 사이즈로 작업할지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인쇄 디자인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그 시장규모가 가장 큰 분야는 아마도 ‘명함’일 것입니다. 요즘은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인해 명함을 보관하거나 정리하는 일이 적어졌지만, 아직도 처음 비즈니스관계로 만나는 사람과 명함을 교환하는것은 기본중의 기본이 되어 있습니다.
명함은 보통 재단물림 여분은 사방 1mm 씩 주게 됩니다. 즉 재단되는 실사이즈의 가로, 세로 각 2mm 씩 크게 편집하면 사방 1mm씩 재단되어 원하는 사이즈의 인쇄물이 나오게 되는 것입니다.
- Source: foxcg.com
- Views: 47281
- Publish date: 14 hours ago
- Downloads: 96235
- Likes: 3488
- Dislikes: 3
- Title Website: 편집 디자인할 때 명함사이즈는? 국가별 명함크기 차이는?
- Description Website:
일러스트 기본 강좌(가장 많이 사용하는 명함 크기 알아보기)
- Source: Youtube
- Views: 65340
- Date: 16 minute ago
- Download: 79078
- Likes: 7661
- Dislikes: 5
편집 디자인할 때 명함사이즈는? 국가별 명함크기 차이는?
“편집 디자인할 때 명함사이즈는? 국가별 명함크기 차이는?”
인쇄 디자인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그 시장규모가 가장 큰 분야는 아마도 ‘명함’일 것입니다. 요즘은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인해 명함을 보관하거나 정리하는 일이 적어졌지만, 아직도 처음 비즈니스관계로 만나는 사람과 명함을 교환하는것은 기본중의 기본이 되어 있습니다.
명함은 보통 재단물림 여분은 사방 1mm 씩 주게 됩니다. 즉 재단되는 실사이즈의 가로, 세로 각 2mm 씩 크게 편집하면 사방 1mm씩 재단되어 원하는 사이즈의 인쇄물이 나오게 되는 것입니다.
– 우리나라 명함사이즈 –
가장 일반적인 사이즈는 90x50mm 사이즈로 수입지/고급지 명함에
주로 사용되는 명함크기 입니다. 편집시에는 92x52mm로 작업해야 합니다.
대량으로 배포하는 용도의명함인 코팅명함/비코팅명함 재질의
대표적인 명함크기는 86x52mm 입니다. 주로 500장 단위이며,
위아래가 두꺼워 보여 요즘은 90x50mm 사이즈로 변하는 추세 입니다.
편집시에는 88x54mm로 편집해야 합니다.
해외에서 주문되는 명함은 그 규격이 우리나라 명함과 약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습니다.
– 일본/중국 명함사이즈 –
일본, 중국에서 주로 사용하는 명함크기는 91x55mm 입니다.
편집시에는 93x57mm로 편집해야 합니다.
“편집 디자인할 때 명함사이즈는? 국가별 명함크기 차이는?”
.
미국에서 주로 사용하는 명함크기는 89x51mm 입니다.
편집시에는 91x53mm로 편집해야 합니다.
유럽/영국에서 주로 사용하는 명함크기는 86x54mm 입니다.
편집시에는 88x56mm로 편집해야 합니다.
호주/뉴질랜드에서 주로 사용하는 명함크기는 90x55mm 입니다.
편집시에는 92x57mm로 편집해야 합니다.
기타 사이즈로 가끔은 85x55mm 크기의 명함이 의뢰되기도 합니다.
편집시에는 87x57mm로 편집해야 합니다.
위와 같이 각 나라별로 사용하는 명함의 크기가 서로 다릅니다. 따라서 국내의 경우 90x50mm 인지, 86x52mm 인지 확인을 해야 하고(별다른 요구가 없으면 90x50mm로 작업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외국의 경우 위의 사이즈대로 작업해야 하는지 아니면 우리나라 일반적인 사이즈로 작업할지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인쇄소별로 외국명함사이즈를 별사이즈로 처리해서 비용이 배로 추가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인쇄의뢰 하기전에 외국명함 사이즈를 인쇄소에서 별도로 최급하는지 확인하는것이 좋습니다.
[관련글]코렐드로우(CorelDRAW)를 이용해 비트맵 이미지 벡터로 바꾸기
2017년 달력(캘린더) 디자인 무료 다운로드 #2
2017년 달력(캘린더) 디자인 무료 다운로드 #1
구로구 현수막공장에서 디자인/제작과정을 구경했습니다.
CorelDRAW VBA 매크를 이용한 재단선 그리기 다운로드
편집디자인에서 원터치재단과 투터치재단의 차이
인디자인(InDesign)을 통한 3단접지 리플렛 편집요령
둥근사각형(귀돌이) 작업하기
CorelDRAW에서 바코드 디자인 작업하기
————
이 글의 원본 주소는 http://www.foxcg.com/276 입니다.
주제에 대한 관련 정보 명함 디자인 사이즈
Bing에서 명함 디자인 사이즈 주제에 대한 최신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주제에 대한 기사 보기를 마쳤습니다 명함 디자인 사이즈. 이 기사가 유용했다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이 주제와 관련하여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명함 디자인 사이즈 명함 사이즈 픽셀, 명함 사이즈 cm, 명함 사이즈 포토샵, 세로 명함 디자인, 명함 비율, 명함 도안, 명함사진 사이즈, 명함 디자인 샘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