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에 대한 기사를 찾고 있습니까 “라면 두개 물량“? 웹사이트에서 이 주제에 대한 전체 정보를 제공합니다 https://c2.chewathai27.com/ 탐색에서: https://c2.chewathai27.com//blog. 바로 아래에서 이 주제에 대한 자세한 답변을 찾을 수 있습니다. 찾고 있는 주제를 더 잘 이해하려면 끝까지 읽으십시오. 더 많은 관련 검색어: 라면 두개 물량 라면 두개 물량 종이컵, 진라면 두개 물량, 500ml 라면 2개 물, 라면 두개 시간, 라면 두개 스프, 500ml 라면 3개 물, 라면 2개 물 컵, 라면 5개 물양
라면 1개를 끓일 때 필요한 물이 550㎖라면, 2개를 끓일 때는 880㎖, 3개를 끓일 때는 1400㎖ 식이었죠.라면은 포장지 뒷면 조리예를 정확히 지켜서 끓이면 가장 맛있다고 하죠. 물론 개인에 따라 기호가 다르기는 합니다. 신라면 포장지 뒷면을 보시면 라면 1개를 끓이기 위한 물의 양이 나와 있습니다. 바로 “550ml” 이 550ml가 라면 1개를 끓이기 위한 물의 표준량이죠.조리 방법을 설명하자면 내열 용기에 물, 라면을 넣고 돌리면 되는데 조리 시간은 찬 물인 경우 7분에서 8분 45초 사이, 뜨거운 물인 경우 3분에서 4분 정도. 이때 주의할 점은 물을 평소에 라면을 끓일 때처럼 넣으면 싱거워지니 평소보다 물을 조금 적게 넣어야 한다.
‘라면 2개=물 2배’ 공식 맞나요? – 비즈니스워치
먼저 물부터 끓여봤습니다. 팔팔 끓는 시점부터 4분간 물을 증발시켰습니다. 550㎖를 끓인 후 물의 양은 425㎖였습니다. 125㎖ 줄었습니다. 1100㎖를 같은 조건으로 끓여봤습니다. 130㎖가 증발됐습니다. 큰 차이가 없습니다. 열이 가해지는 표면적이 같기 때문입니다. 라면을 실제로 끓여보면 어떨까요. 면발과 건더기를 체로 거르고 국물의 양만을 측정해 보니 275㎖였습니다. ‘425㎖-275㎖=150㎖’이니 면발과 건더기가 흡수한 물의 양이 약 150㎖ 수준인 셈입니다.
이제 어느 정도 실험의 결과가 나왔다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라면 2개를 끓일 때 물의 양은 한개를 끓일 때의 2배가 아닙니다. 그렇다고 라면 한개의 면발과 건더기 소스가 흡수하는 양 만큼의 물만을 추가해도 안 됩니다. 분말 소스가 있기 때문에 너무 짭니다. 국물도 적어집니다. 인덕션과 일반적 라면 냄비를 사용해 라면 2개를 끓일 때는 표준 조리법의 2배에서 약 15%정도의 물을 덜어내면 됩니다. 그러면 1개를 끓일 때와 비슷한 맛의 라면 2개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라면을 만드는 사람들이 생각하는 ‘가장 맛있게 라면 2개를 만들 수 있는 조리법’은 뭘까요. 농심·오뚜기 등 라면 제조사에 문의했습니다. 하지만 아쉽게도 시원한 답변은 듣지 못했습니다. “라면 2개를 가장 맛있게 먹는 방법은 냄비 2개로 표준 조리법에 맞춰 끓여 먹는 것”이라는 답변도 있었습니다. 틀린 말은 아닙니다. 하지만 모두가 라면용 냄비를 두 개씩 가지고 있는 건 아니죠. 답을 찾고 싶었습니다. 그래서 직접 끓여보기로 했습니다.
- Source: news.bizwatch.co.kr
- Views: 42714
- Publish date: 10 minute ago
- Downloads: 85648
- Likes: 19
- Dislikes: 6
- Title Website: ‘라면 2개=물 2배’ 공식 맞나요? – 비즈니스워치
- Description Website:
- Source: Youtube
- Views: 30318
- Date: 51 minute ago
- Download: 77938
- Likes: 8855
- Dislikes: 5
‘라면 2개=물 2배’ 공식 맞나요?
[食스토리]는 평소 우리가 먹고 마시는 다양한 음식들과 제품, 약(藥) 등의 뒷이야기들을 들려드리는 코너입니다. 음식과 제품이 탄생하게 된 배경부터 모르고 지나쳤던 먹는 것과 관련된 모든 스토리들을 풀어냅니다. 읽다 보면 어느새 음식과 식품 스토리 텔러가 돼 있으실 겁니다. 재미있게 봐주세요. [편집자]자취를 하고 있는 20대 대학생 K씨는 최근 들어 라면을 부쩍 자주 먹습니다. 수업이 죄다 온라인이라 집 밖에 나갈 일이 많지 않습니다. 밥을 해먹자니 설거지가 귀찮습니다. 친구들도 마찬가지입니다. 집으로 놀러와 K씨와 함께 라면을 먹곤 하죠. 그런데 이상하게 둘이 함께 끓여 먹는 라면은 맛이 없습니다. 라면 봉지에 써 있는 조리법에 맞춰 물을 2배 넣어 끓였는데 어딘지 모르게 밍밍합니다.
과거 라면 봉지에는 라면을 2개 이상 끓일 때 필요한 물의 양이 적혀있었습니다. 라면 1개를 끓일 때 필요한 물이 550㎖라면, 2개를 끓일 때는 880㎖, 3개를 끓일 때는 1400㎖ 식이었죠. 하지만 이런 표기는 언제부턴가 사라졌습니다. 그와 함께 라면 여러 개를 끓일 때 필요한 물의 양은 정답이 없는 문제가 됐죠. 마땅한 설명이 없으니 논쟁(?)도 활발합니다. 모두가 자신이 좋아하는 스타일로 끓이는 게 정답이라고 말합니다.
라면 봉지에서 여러 개를 조리하는 방법은 왜 사라진 걸까요. 농심에 물어봤습니다. 라면을 끓여 먹는 방법이 다양해져서 삭제했다는 답변이 돌아왔습니다. 과거 라면은 흔히 볼 수 있는 스테인리스 냄비와 가스레인지를 사용해 끓이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조리 조건이 비슷했죠. 가족 구성원이 많아 한 번에 끓이는 양도 많았습니다. 제조사 입장에서는 여러 개를 한 번에 조리하는 상황을 고려해야만 했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흐르며 가족의 인원이 자연스럽게 줄었습니다. 많아봐야 2개 정도만 한 번에 끓이게 됐죠. 조리 방법도 바뀌었습니다. 가장 특이한 점은 ‘인덕션’의 보급입니다. 인덕션은 가스레인지와 달리, 바닥만을 가열해 요리합니다. 인덕션의 화력을 넓은 면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개발된 다양한 냄비들도 시장에서 판매되기 시작됐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표준 조리법을 찾는 것은 사실상 어려운 일이라는 설명입니다.
농심 연구소 관계자는 “1인용 냄비는 어느정도 정량화된 사이즈라고 볼 수 있지만, 2~3인용으로 넘어가면 소비자가 사용하는 냄비의 크기가 제각각”이라며 “냄비 크기가 다른 만큼 화력도 달라서 표준 조리법을 제공하기 어렵다”고 설명했습니다.
제조사를 통해 정보를 얻지 못해 직접 라면을 끓여보기로 했습니다. /사진=이현석 기자 [email protected]
그렇다면 라면을 만드는 사람들이 생각하는 ‘가장 맛있게 라면 2개를 만들 수 있는 조리법’은 뭘까요. 농심·오뚜기 등 라면 제조사에 문의했습니다. 하지만 아쉽게도 시원한 답변은 듣지 못했습니다. “라면 2개를 가장 맛있게 먹는 방법은 냄비 2개로 표준 조리법에 맞춰 끓여 먹는 것”이라는 답변도 있었습니다. 틀린 말은 아닙니다. 하지만 모두가 라면용 냄비를 두 개씩 가지고 있는 건 아니죠. 답을 찾고 싶었습니다. 그래서 직접 끓여보기로 했습니다.
실험에는 직경 20cm, 깊이 12cm의 냄비를 사용했습니다. 화력은 총 9단짜리 인덕션에서 7단으로 진행했습니다. 사용한 라면은 진라면 순한맛 6개입니다. 이 라면의 표준 조리법은 550㎖의 물로 4분간 끓이는 것입니다. 라면을 버리지 않기 위해 퇴근 후 친구 3명을 집으로 초대했습니다. 이상한 사람을 보는 듯 한 눈빛을 뒤로 한 채 실험을 시작했습니다.
먼저 물부터 끓여봤습니다. 팔팔 끓는 시점부터 4분간 물을 증발시켰습니다. 550㎖를 끓인 후 물의 양은 425㎖였습니다. 125㎖ 줄었습니다. 1100㎖를 같은 조건으로 끓여봤습니다. 130㎖가 증발됐습니다. 큰 차이가 없습니다. 열이 가해지는 표면적이 같기 때문입니다. 라면을 실제로 끓여보면 어떨까요. 면발과 건더기를 체로 거르고 국물의 양만을 측정해 보니 275㎖였습니다. ‘425㎖-275㎖=150㎖’이니 면발과 건더기가 흡수한 물의 양이 약 150㎖ 수준인 셈입니다.
이번에는 라면 두 개를 1100㎖의 물로 끓여봤습니다. 중간에 국물이 조금 넘치기는 했지만, 만들어진 국물의 양은 700㎖였습니다. 2로 나누면 라면 1개당 국물의 양은 350㎖입니다. 표준조리법에 따라 끓인 것에 비해 30%가까이 많은 양입니다. 맛이 밍밍해지는 건 당연한 일입니다. 2개를 끓였으니 국물의 양은 550㎖가 돼야 합니다.
‘1100㎖:700㎖=x:550㎖’라는 비례식을 세워 적절한 물의 양을 추측해 봤습니다. 계산해 보니 x는 약 865㎖정도입니다. 직전 실험에서 끓어 넘친 물의 양을 고려해 총 950㎖의 물을 넣고 라면 2개를 다시 한 번 끓여봤습니다. 표준 조리법의 2배가 1100㎖였으니, 약 13.6%의 물을 덜 넣은 셈입니다.
완성된 라면 2개 국물의 양은 575㎖였습니다. 1개당 287.5㎖인 셈입니다. 1개를 조리했을 때에 비해 국물이 4%정도만 많았습니다. 세 번의 실험 끝에 목표 수치에 근접했습니다. 물을 조금만 덜어낸다면 ‘완성’에 가까워 질 수 있겠네요. 맛도 한 개를 끓였을 때와 비슷했습니다. 만족스럽게 배불리 먹었습니다. 실험 내내 저를 이상한 사람으로 보던 실험 참가자들의 의심은 이제 확신이 됐습니다.
950mL를 넣고 라면 2개를 끓였을 때 한개와 가장 유사한 국물 양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그래픽=김용민 기자 [email protected]
라면 2개를 끓일 때 물의 양을 약간 줄여야 하는 것은 진라면에만 해당되는 일은 아니었습니다. 팔도가 만드는 틈새라면은 1개당 500㎖의 물로 3분 30초간 조리해야 합니다. 이 라면의 면발은 진라면에 비해 조금 얇아 조리 시간이 짧습니다. 이 틈새라면 두 개를 끓일 경우 물의 양은 1000㎖가 아닌 900㎖를 사용할 때 가장 맛있다고 합니다.
현주환 팔도 연구원은 “틈새라면 빨개떡을 농심라면을 두개 끓이는 기준으로 조리한다면 물 830㎖에 스프 1과 3분의 2개를 넣을 때 가장 맛있는 라면을 조리할 수 있는것을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제 어느 정도 실험의 결과가 나왔다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라면 2개를 끓일 때 물의 양은 한개를 끓일 때의 2배가 아닙니다. 그렇다고 라면 한개의 면발과 건더기 소스가 흡수하는 양 만큼의 물만을 추가해도 안 됩니다. 분말 소스가 있기 때문에 너무 짭니다. 국물도 적어집니다. 인덕션과 일반적 라면 냄비를 사용해 라면 2개를 끓일 때는 표준 조리법의 2배에서 약 15%정도의 물을 덜어내면 됩니다. 그러면 1개를 끓일 때와 비슷한 맛의 라면 2개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다만 이번 실험은 같은 조건으로 조리할 때만 효과를 볼 수 있다는 결론입니다. 만약 바닥의 표면적이 넓은 냄비를 사용한다면 결과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증발하는 물의 양이 많아지기 때문입니다. 더 강한 화력을 사용할 때도 마찬가지입니다. 직접 라면 2개를 끓여보니 표준 조리법을 만드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 알 수 있었습니다. 오늘도 더 맛있는 라면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연구원 분들께 감사를 드립니다.
* 이번 기사는 대전에 계시는 독자 문영진 님께서 문의하신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됐습니다. 문영진 님께는 감사의 선물로 커피 키프티콘을 보내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食스토리]는 독자 여러분들과 함께 만들어가고픈 콘텐츠입니다. 평소 음식과 식품, 약에 대해 궁금하셨던 부분들을 알려주세요. 그 중 기사 소재로 채택된 분께는 커피 기프티콘을 선물로 드립니다. 기사 아래 댓글이나 해당 기자 이메일로 연락 부탁드려요.
라면 2개,3개,4개,5개 물양 맞추는 법 (종이컵) – 하늘연달 하루봉
면의 갯수 1개 2개 3개 4개 5개 스프 갯수 1개 1⅔개 2⅔개 3½개 4개 물의 양 (cc) 550 cc 880 cc 1400 cc 1800 cc 2300 cc 물의 양 (종이컵) 3 컵 5 컵 7⅔ 컵 10 컵 12½ 컵
따라서 2개 이상의 라면을 끓일 때, 라면 물의 양을 조절해야 싱겁지 않고 맛있는 라면을 먹을 수가 있습니다~!
라면을 2개 이상 끓일 때에는 증발량이 적어져 단순 계산대로 물을 넣으면 싱거운 라면이 되는 겁니다.
1 thg 5, 2020 — 단순하게 생각해서, 라면 2개의 물 양은 1100ml, 라면 3개의 물양은 1650ml,. 라면 4개의 물양은 2200ml라고 생각할 수가 있습니다. 이런 단순 계산대로 …
- Source: stickbong.tistory.com
- Views: 104363
- Publish date: 42 minute ago
- Downloads: 50507
- Likes: 329
- Dislikes: 8
- Title Website: 라면 2개,3개,4개,5개 물양 맞추는 법 (종이컵) – 하늘연달 하루봉
- Description Website: 1 thg 5, 2020 — 단순하게 생각해서, 라면 2개의 물 양은 1100ml, 라면 3개의 물양은 1650ml,. 라면 4개의 물양은 2200ml라고 생각할 수가 있습니다. 이런 단순 계산대로 …
- Source: Youtube
- Views: 22891
- Date: 11 hours ago
- Download: 88470
- Likes: 704
- Dislikes: 2
라면 2개,3개,4개,5개 물양 맞추는 법 (종이컵)
《라면 2개 이상 물양 맞추는 법》
안녕하세요~ 하루봉입니다~!
한국인들 뿐만 아니라 전 세계인들이 즐겨먹는 식품이 있는데요,
그것은 바로 라면입니다!
라면은 조리방법이 간단하고 보관이 용이하며 맛이 아주 좋아 출시부터
지금까지 많은 사랑을 받아왔습니다.
이 라면을 더 맛있게 먹는 방법이 있습니다.
바로 물 양을 잘 맞추는 것입니다!
그래서 라면봉지 뒤에는 라면을 끓이는 방법과 물양을 알려주고 있습니다~
신라면 기준으로 라면 1개를 끓일 때 적합한 물 양은 550ml입니다.
그런데 라면 2개, 3개, 4개, 5개의 물양은 어떻게 맞춰야 할까요?
단순하게 생각해서, 라면 2개의 물 양은 1100ml, 라면 3개의 물양은 1650ml,
라면 4개의 물양은 2200ml라고 생각할 수가 있습니다.
이런 단순 계산대로 라면 2개에 물 1100ml를 넣고 끓여 먹어보면
살짝 싱거운 라면 을 맛보게 됩니다. 왜 그럴까요?
그것은 바로 라면을 끓일 때 물이 증발 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라면이 짜지는 게 아닌가?라고 생각할 수가 있는데요, 그렇지 않습니다.
물의 증발량은 냄비의 깊이와 물의 양이 많아질수록 더 적게 증발되기 때문에
라면을 2개 이상 끓일 때에는 증발량이 적어져 단순 계산대로 물을 넣으면 싱거운 라면이 되는 겁니다.
따라서 2개 이상의 라면을 끓일 때, 라면 물의 양을 조절해야 싱겁지 않고 맛있는 라면을 먹을 수가 있습니다~!
그렇다면 라면 2개 이상의 물 양 조절은 어떻게 해야 할까요?
이는 아래의 도표를 보시면 알 수가 있습니다.
면의 갯수 1개 2개 3개 4개 5개 스프 갯수 1개 1⅔개 2⅔개 3½개 4개 물의 양 (cc) 550 cc 880 cc 1400 cc 1800 cc 2300 cc 물의 양 (종이컵) 3 컵 5 컵 7⅔ 컵 10 컵 12½ 컵
농심에서는 신라면을 2개 이상 끓일 경우 물을 얼마나 넣어야 하는지를
도표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라면 2개일 경우 물의 양은 880ml, 스프는 1개와 2/3개를 넣으면
라면 1개를 끓일 때와 같이 맛있는 라면을 드실 수가 있습니다.
라면 3개를 드실 경우 물의 양은 1400ml, 스프는 2개와 2/3개를 넣으면
라면 1개를 끓일 때와 같이 맛있는 라면을 드실 수가 있습니다.
라면 4개와 라면 5개를 드실 때에도 위의 도표에 따라 넣으시면
라면 1개를 끓일 때와 똑같이 맛있게 라면을 드실 수가 있습니다.
집에 계량기가 없는 분들은 물 양을 어떻게 조절할지 감이 안잡히실 수가 있는데요,
그래서 도표에 나와있듯이 종이컵을 이용하여 물양을 조절할 수가 있습니다!
종이컵의 용량은 184ml 이기 때문에 라면 1개의 물 양은 종이컵 3컵,
라면 2개의 물양은 종이컵 5컵 등으로 다소 정확히 계량할 수가 있습니다!
또, 생수 500ml 페트병이 집에 있다면, 이를 이용해서도 라면의 물 양을 맞추기가 용이합니다.
이렇게 오늘은 라면 2개, 3개, 4개, 5개를 끓일 때의 물양을 알아봤습니다.
도표를 보시고 라면 물양을 맞춰 드시면 좀 더 맛있는 라면을 드실 수가 있습니다.
오늘의 포스팅은 여기서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공식만 알면 라면이 더 맛있어진다!!!
라면과 물의 양에 대한 공식을 소개합니다. 라면을 맛있게 끓이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공식이니 꼭 암기해 두시길 바랍니다.(돼지꼬리 땡야~) 대한민국 대표라면 신라면을 예로 들죠. 라면은 포장지 뒷면 조리예를 정확히 지켜서 끓이면 가장 맛있다고 하죠. 물론 개인에 따라 기호가 다르기는 합니다. 신라면 포장지 뒷면을 보시면 라면 1개를 끓이기 위한 물의 양이 나와 있습니다. 바로 “550ml” 이 550ml가 라면 1개를 끓이기 위한 물의 표준량이죠.550ml x 2 = 1,100ml? 저도 그렇게 생각했습니다만 정답은 880ml입니다. 1100ml보다 적은 양이죠. 신기합니다.^^ 라면 3개를 끓일 때엔 1,400ml, 4개를 끓이기 위해선 1,800ml, 자취생들의 특식인 5개짜리 멀티팩 하나를 몽땅 끓이기 위해선 2,300ml가 필요합니다. 결코 550ml의 배수가 아니죠^^입니다. 이들의 노력에 박수를..^^;;
550ml x 2 = 1,100ml? 저도 그렇게 생각했습니다만 정답은 880ml입니다. 1100ml보다 적은 양이죠. 신기합니다.^^ 라면 3개를 끓일 때엔 1,400ml, 4개를 끓이기 위해선 1,800ml, 자취생들의 특식인 5개짜리 멀티팩 하나를 몽땅 끓이기 위해선 2,300ml가 필요합니다. 결코 550ml의 배수가 아니죠^^ 이 수치는 농심 연구원들이 스프량을 적당히 조절해가면서 가장 최적의 맛을 찾아내기 위해 발견한 물의 기준입니다. 이들의 노력에 박수를..^^;;
라면과 물의 양에 대한 공식을 소개합니다. 라면을 맛있게 끓이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공식이니 꼭 암기해 두시길 바랍니다.(돼지꼬리 땡야~) 대한민국 대표라면 신라면을 예로 들죠. 라면은 포장지 뒷면 조리예를 정확히 지켜서 끓이면 가장 맛있다고 하죠. 물론 개인에 따라 기호가 다르기는 합니다. 신라면 포장지 뒷면을 보시면 라면 1개를 끓이기 위한 물의 양이 나와 있습니다. 바로 “550ml” 이 550ml가 라면 1개를 끓이기 위한 물의 표준량이죠.
24 thg 3, 2010 — 물론 개인에 따라 기호가 다르기는 합니다. 신라면 포장지 뒷면을 보시면 라면 1개를 끓이기 위한 물의 양이 나와 있습니다. 바로 “550ml” 이 550ml가 …
- Source: blog.nongshim.com
- Views: 46092
- Publish date: 13 hours ago
- Downloads: 15266
- Likes: 2715
- Dislikes: 7
- Title Website: 공식만 알면 라면이 더 맛있어진다!!!
- Description Website: 24 thg 3, 2010 — 물론 개인에 따라 기호가 다르기는 합니다. 신라면 포장지 뒷면을 보시면 라면 1개를 끓이기 위한 물의 양이 나와 있습니다. 바로 “550ml” 이 550ml가 …
라면 두 개, 물 양의 비밀
- Source: Youtube
- Views: 34057
- Date: 22 hours ago
- Download: 42831
- Likes: 6951
- Dislikes: 2
공식만 알면 라면이 더 맛있어진다!!!
1 = 1
1 + 1 ≠ 2
1 + 1 + 1 ≠ 3
지니어스입니다.
이게 무슨 뚱땅지같은 공식이냐구요? 네.. 저도 이해가 안됩니다.;; 하나일 땐 분명 하난데, 하나씩 증가할 때에는 그게 배수로 늘어나지 않는 희한한 공식… 1 더하기 1이 2가 아닌 것에는 나름 이유가 있답니다. 저는 이 공식에 이름을 붙였습니다. 이름하여 “라면의 공식(rule of ramen)” . 라면과 물의 양을 과학적인 근거에 의해 조절하는 공식이죠.
라면과 물의 양에 대한 공식을 소개합니다. 라면을 맛있게 끓이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공식이니 꼭 암기해 두시길 바랍니다.(돼지꼬리 땡야~) 대한민국 대표라면 신라면을 예로 들죠. 라면은 포장지 뒷면 조리예를 정확히 지켜서 끓이면 가장 맛있다고 하죠. 물론 개인에 따라 기호가 다르기는 합니다. 신라면 포장지 뒷면을 보시면 라면 1개를 끓이기 위한 물의 양이 나와 있습니다. 바로 “550ml” 이 550ml가 라면 1개를 끓이기 위한 물의 표준량이죠.
라면 2개를 끓이려면 물이 얼마나 필요할까요?
550ml x 2 = 1,100ml? 저도 그렇게 생각했습니다만 정답은 880ml입니다. 1100ml보다 적은 양이죠. 신기합니다.^^ 라면 3개를 끓일 때엔 1,400ml, 4개를 끓이기 위해선 1,800ml, 자취생들의 특식인 5개짜리 멀티팩 하나를 몽땅 끓이기 위해선 2,300ml가 필요합니다. 결코 550ml의 배수가 아니죠^^ 이 수치는 농심 연구원들이 스프량을 적당히 조절해가면서 가장 최적의 맛을 찾아내기 위해 발견한 물의 기준입니다. 이들의 노력에 박수를..^^;;
라면과 물의 양에 대한 공식을 소개합니다. 라면을 맛있게 끓이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공식이니 꼭 암기해 두시길 바랍니다.(돼지꼬리 땡야~) 대한민국 대표라면 신라면을 예로 들죠. 라면은 포장지 뒷면 조리예를 정확히 지켜서 끓이면 가장 맛있다고 하죠. 물론 개인에 따라 기호가 다르기는 합니다. 신라면 포장지 뒷면을 보시면 라면 1개를 끓이기 위한 물의 양이 나와 있습니다. 바로 “550ml” 이 550ml가 라면 1개를 끓이기 위한 물의 표준량이죠.550ml x 2 = 1,100ml? 저도 그렇게 생각했습니다만 정답은 880ml입니다. 1100ml보다 적은 양이죠. 신기합니다.^^ 라면 3개를 끓일 때엔 1,400ml, 4개를 끓이기 위해선 1,800ml, 자취생들의 특식인 5개짜리 멀티팩 하나를 몽땅 끓이기 위해선 2,300ml가 필요합니다. 결코 550ml의 배수가 아니죠^^입니다. 이들의 노력에 박수를..^^;;
라면1개 끓인땐 정확히 물 550ml가 맛있습니다^^
그렇다면 왜 이런 공식이 나온 것일까요? 면개발팀 K과장의 답변입니다. 그렇다면 왜 이런 공식이 나온 것일까요? 면개발팀 K과장의 답변입니다.
” 물의 증발 때문입니다. 냄비에 물이 적을 수록 빨리, 그리고 많이 증발하잖아요? 물의 높이가 낮을 수록 냄비 전체에 열이 그만큼 많이 전달되어 수증기로 빨리 날아가버립니다. 그 원리를 착안한 것이죠. 라면 1개를 끓을 때에는 물이 많이 증발하기 때문에 550ml넣지만, 2개를 끓일 때에는 물이 덜 증발하기 때문에 그만큼의 물을 뺀 880ml를 넣는 것이죠. 이 물에 맞는 스프량도 함께 고려한 것이 바로 이 표입니다.”
예전에는 신라면 포장지 뒷면에 이런 조리기준을 적어놨지만 현재는 포장지가 바뀌어 찾아볼 순 없습니다. 하지만 이 글을 보신 분들께선 한번쯤 시도해볼만 하죠. 저는 얼마전 라면 2개를 정확하게 물 880ml에 맞게 시간까지 재어 끓여 먹어봤습니다. 참..예술입디다.
정확히 4분30초를 기다리는 센스!
예전에는 신라면 포장지 뒷면에 이런 조리기준을 적어놨지만 현재는 포장지가 바뀌어 찾아볼 순 없습니다. 하지만 이 글을 보신 분들께선 한번쯤 시도해볼만 하죠. 저는 얼마전 라면 2개를 정확하게 물 880ml에 맞게 시간까지 재어 끓여 먹어봤습니다. 참..예술입디다.
posted by 지니어스
농심의 ‘Genius’ 천재하입니다. 홍보팀에서 사내 홍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사진과 글로 많은 분들과 소통하며 사내 곳곳을 취재하는 재미로 신나게 회사를 다니고 있답니다. 농심과 농심인에 대한 재미있는 이야기들을 함께 나눌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라면 2개 물양(라면물 종이컵) – 청영
이외에도 라면 봉지를 잘 활용하면 다른 도구 없이도 맛있는 라면을 끓일 수 있다. 라면 봉지에서 면과 수프 등 내용물을 전부 빼낸 후 빈 봉지를 가로로 반을 접는다. 반으로 접어 생긴 눈금 선까지 물을 받으면 물양이 거의 500ml 정도가 된다. 단, 라면 종류에 따라 라면 봉지의 크기 및 용량에 차이가 있으므로 이점은 주의가 필요하다.
물은 냄비가 작을수록, 물이 적을수록 끓을 때 증발량이 많아진다. 반대로 물의 양이 많아지면 끓더라도 증발량이 상대적으로 적은데, 이를 간과하고 라면 두개를 끊이는데 550mL의 2배인 1,100mL의 물을 넣고 끊이면 물의 증발량이 적어져 라면이 싱거워질 수 밖에 없다.
시중에서 파는 종이컵 한 컵의 용량은 대부분 185ml이다. 라면 1개를 끊일 때 필요한 물양은 종이컵 기준 3컵 정도다. 라면 두개 물양인 880mL는 4컵에다 2/3컵 가량을 추가하면 되고, 라면 3개는 7컵에 1/2컵 가량의 물을 추가하면 대충 물양이 맞다.
패트병으로 라면 물양을 맞출 수도 있다. 작은 생수 패트병의 용량은 보통 500ml인 경우가 많은데, 패트병에 물을 가득 담으면 라면 1개를 끊일 수 있는 물양이 된다.
시중에서 파는 종이컵 한 컵의 용량은 대부분 185ml이다. 라면 1개를 끊일 때 필요한 물양은 종이컵 기준 3컵 정도다. 라면 두개 물양인 880mL는 4컵에다 2/3컵 가량 …
- Source: motioneffect.tistory.com
- Views: 12660
- Publish date: 50 minute ago
- Downloads: 5689
- Likes: 8251
- Dislikes: 2
- Title Website: 라면 2개 물양(라면물 종이컵) – 청영
- Description Website: 시중에서 파는 종이컵 한 컵의 용량은 대부분 185ml이다. 라면 1개를 끊일 때 필요한 물양은 종이컵 기준 3컵 정도다. 라면 두개 물양인 880mL는 4컵에다 2/3컵 가량 …
라면 무조건 잘 끓이는 법
- Source: Youtube
- Views: 52723
- Date: 19 minute ago
- Download: 84022
- Likes: 2564
- Dislikes: 6
라면 2개 물양 맞추는 팁!!(라면 두개 물양 라면 2개 3개 물양 종이컵 라면물 종이컵)
물은 냄비가 작을수록, 물이 적을수록 끓을 때 증발량이 많아진다. 반대로 물의 양이 많아지면 끓더라도 증발량이 상대적으로 적은데, 이를 간과하고 라면 두개를 끊이는데 550mL의 2배인 1,100mL의 물을 넣고 끊이면 물의 증발량이 적어져 라면이 싱거워질 수 밖에 없다.
시중에서 파는 종이컵 한 컵의 용량은 대부분 185ml이다. 라면 1개를 끊일 때 필요한 물양은 종이컵 기준 3컵 정도다. 라면 두개 물양인 880mL는 4컵에다 2/3컵 가량을 추가하면 되고, 라면 3개는 7컵에 1/2컵 가량의 물을 추가하면 대충 물양이 맞다.
패트병으로 라면 물양을 맞출 수도 있다. 작은 생수 패트병의 용량은 보통 500ml인 경우가 많은데, 패트병에 물을 가득 담으면 라면 1개를 끊일 수 있는 물양이 된다.
이외에도 라면 봉지를 잘 활용하면 다른 도구 없이도 맛있는 라면을 끓일 수 있다. 라면 봉지에서 면과 수프 등 내용물을 전부 빼낸 후 빈 봉지를 가로로 반을 접는다. 반으로 접어 생긴 눈금 선까지 물을 받으면 물양이 거의 500ml 정도가 된다. 단, 라면 종류에 따라 라면 봉지의 크기 및 용량에 차이가 있으므로 이점은 주의가 필요하다.
[생활Tip] 라면 여러 개 끓일 때 ‘라면 물 맞추기’ – 데일리팝
물이 끓으면 라면스프를 넣기 전에 면을 먼저 넣어보고 물 양을 가늠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물이 적으면 물을 더 넣으면 되지만 물이 많으면 이미 돌이킬 수 없는 강을 건너게 된다.
아직 물 조절이 두렵다면 물을 적게 넣고 물 양의 감을 잡아가는 것도 하나의 요령이다!
5 thg 1, 2021 — 은 어느정도일까? 조리물량 550ml 기준 (라면 종류 : 진라면, 오동통면, 진짬뽕 등) 1개 550ml 2개 1,050ml
- Source: www.dailypop.kr
- Views: 95367
- Publish date: 23 minute ago
- Downloads: 28156
- Likes: 6175
- Dislikes: 6
- Title Website: [생활Tip] 라면 여러 개 끓일 때 ‘라면 물 맞추기’ – 데일리팝
- Description Website: 5 thg 1, 2021 — 은 어느정도일까? 조리물량 550ml 기준 (라면 종류 : 진라면, 오동통면, 진짬뽕 등) 1개 550ml 2개 1,050ml
- Source: Youtube
- Views: 84465
- Date: 10 minute ago
- Download: 91108
- Likes: 576
- Dislikes: 7
[생활Tip] 라면 여러 개 끓일 때 ‘라면 물 맞추기’
라면 물 한강으로 만드는 사람들 필독!
라면 여러 개 끓일 때 물 맞추는 건 항상 어렵다.
친구가 놀러 와서 라면을 끓여주면 물을 얼마나 잡아야 하는지 감이 안 잡힌다.
라면 물 완전 정복! 오뚜기의 공식 입장을 들어보았다.
오뚜기 라면 연구소에서 석·박사님들의 테스트를 거친 최적의 물 양!은 어느정도일까?
조리물량 550ml 기준
(라면 종류 : 진라면, 오동통면, 진짬뽕 등)
1개 550ml
2개 1,050ml
3개 1,550ml
4개 2,050ml
조리물량 500ml 기준
(라면 종류 : 참깨라면, 스낵면, 열라면, 쇠고기미역국라면, 굴진짬뽕 등)
1개 500ml
2개 950ml
3개 1,400ml
4개 1,850ml
출처: 과나님 유튜브에 달린 오뚜기 유튜브 공식 계정 댓글
왜 양을 두 배로 끓이는데 물은 더 줄어들까?
라면을 여러 개를 끓이면 물양 X 라면의 개수라고 생각하기가 쉽다.
하지만 여러 개를 끓일수록 오히려 물의 양은 줄어든다. 이유가 무엇일까?
비밀은 물의 증발에 담겨있다.
냄비에 물이 적을수록 물은 빠르게, 더 많이 증발한다.
냄비 안에 담겨 있는 물의 높이가 낮기 때문에 증발하는 면적이 더 많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물의 양이 많아질수록 같은 시간 동안 물이 증발하는 양은 상대적으로 줄어든다.
물의 증발을 고려하여 라면을 여러 개 끓일 수록 물 양이 적어지는 것이다!
물이 많은 것보다 적게 넣는 것이 실패할 확률을 줄이는 핵심!
물이 적으면 물을 더 넣으면 되지만 물이 많으면 이미 돌이킬 수 없는 강을 건너게 된다.
아직 물 조절이 두렵다면 물을 적게 넣고 물 양의 감을 잡아가는 것도 하나의 요령이다!
물이 끓으면 라면스프를 넣기 전에 면을 먼저 넣어보고 물 양을 가늠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저작권자 © 데일리팝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공식! 라면 2개이상 끓일때 정확한 물의 양입니다 – 알고사
0 · 에어팟 2세대 쿠폰가 $159.7 에어팟2 나온지는 꽤 됐습니다 아직 정식 출시는 안되서 직구 해야죠. 쿠폰 꼭 적용하세요 상품 링크 : https://www.qoo10.com/g/525605323 앱쿠폰 : : https://…
0 · http://wizu.co.kr/event/promotion.php 위쥬라는 창업커뮤니티에서 하는 이벤트 공유해요 커뮤니티 가입해서 게시글,댓글 5개 이상 작성하면 자동 응모되고, 추첨을 통해서 스타벅스 기프티콘…
0 · 에어팟 2세대 쿠폰가 $179 에어팟2 나온지는 꽤 됐습니다 아직 정식 출시는 안되서 직구 해야죠. 쿠폰 받으시면 유선케이스 기준 $18 추가 할인되서 $179 나오네요 상품 링크 : https://www.qo…
… 이 없어서 라면 2개에 물 880cc 스프 1개하고 2/3개 넣으니 맛있게 잘됐네요 하지만 먹은건 진라면이라는…; p.s. 라면 끓여 드실때 양은 냄비에 끓이지 마세요.
- Source: rgo4.com
- Views: 88964
- Publish date: 47 minute ago
- Downloads: 41253
- Likes: 5586
- Dislikes: 4
- Title Website: 공식! 라면 2개이상 끓일때 정확한 물의 양입니다 – 알고사
- Description Website: … 이 없어서 라면 2개에 물 880cc 스프 1개하고 2/3개 넣으니 맛있게 잘됐네요 하지만 먹은건 진라면이라는…; p.s. 라면 끓여 드실때 양은 냄비에 끓이지 마세요.
참신한 라면물조절, 실패없는 방법 Best5(라면2개 물)
- Source: Youtube
- Views: 50435
- Date: 9 hours ago
- Download: 29651
- Likes: 1203
- Dislikes: 8
공식! 라면 2개이상 끓일때 정확한 물의 양입니다
기타정보 알리익스프레스 정보 공유 66552 ·
66552 19.10.13. ·
조회 수 10932 ·
0 · 알리에서 구매 많이 하시는 분들 디스풋이나 판매자와 분쟁시 처음해보신분들은 힘드시죠. 정보 공유 네이버 카페 있습니다. 여기서 배송이나 다른 문제들 질문하면 다 해결 가능합니다. 또, 정…
기타정보 애플 에어팟 2세대 (모든 비용 포함 $159.7) kkiikk ·
kkiikk 19.05.18. ·
조회 수 2681 ·
0 · 에어팟 2세대 쿠폰가 $159.7 에어팟2 나온지는 꽤 됐습니다 아직 정식 출시는 안되서 직구 해야죠. 쿠폰 꼭 적용하세요 상품 링크 : https://www.qoo10.com/g/525605323 앱쿠폰 : : https://…
기타정보 애플 에어팟 2세대 최저가 구매방법 꿀팁 kkiikk ·
kkiikk 19.05.03. ·
조회 수 2920 ·
0 · 에어팟 2세대 쿠폰가 $179 에어팟2 나온지는 꽤 됐습니다 아직 정식 출시는 안되서 직구 해야죠. 쿠폰 받으시면 유선케이스 기준 $18 추가 할인되서 $179 나오네요 상품 링크 : https://www.qo…
기타정보 에어비앤비 숙박 무료 5만원 받고 시작하기 할인코드 미라쥐 ·
미라쥐 19.02.19. ·
조회 수 2961 ·
0 · 에어비앤비 쓰시는분들이 많은신 것으로 아는데요. 아시는 분은 아시겠지만 국내에서 다른분 할인코드 링크로 가입시 대략 32.000원정도 무료 크레딧을 받을수 있습니다. 가입하시지 마시고 …
기타정보 혜택꿀인 배달앱 이벤트 모르시는분을 위해서! 갓규 ·
갓규 19.01.26. ·
조회 수 2896 ·
0 · 지금 TV에서 많이 나오는 선미광고 아시나용? 요기요에서 댄스 이벤트를 하고있다는데 당첨확률이 꽤 높아서 한번씩 해보셔도 좋을 것 같아요! 상금이 500만원 + TV광고라는데 기간도 얼마 안남…
기타정보 국내최저가 공동구매 쇼핑몰 ‘주부상식’ 우키누끼 ·
우키누끼 18.11.09. ·
조회 수 3003 ·
0 · 국내최저가 공동구매 쇼핑몰 ‘주부상식’ 설치하기 : http://dolwe.me/t5m9m3v88m 깜짝 공동구매! 최저가 공구 이제 놓치지 마세요! 150만 대한민국 주부들의 선택! (카카오스토리·밴드·페…
기타정보 앱 가입하시면 100프로 문상 1천원 지급 [5] 코미니 ·
코미니 18.07.01. ·
조회 수 4191 ·
0 · [짤-문상이 내꺼되는 시간 1분!] 문상내낳 님이 친구분께 문상 1장을 선물로 보내셨습니다! 하단 링크로 앱 설치 후 실행하시면 지금 바로 사용하실 수 있는 문상 1장을 즉시 지급해 드립니다. (…
기타정보 위쥬(창업커뮤니티) 기프티콘 증정 [4] woddl2486 ·
woddl2486 17.12.12. ·
조회 수 4021 ·
0 · http://wizu.co.kr/event/promotion.php 위쥬라는 창업커뮤니티에서 하는 이벤트 공유해요 커뮤니티 가입해서 게시글,댓글 5개 이상 작성하면 자동 응모되고, 추첨을 통해서 스타벅스 기프티콘…
기타정보 지에스 2000원 상품권 받아가세요~ [21] 권동인 ·
권동인 17.11.29. ·
조회 수 5346 ·
3 · 직방에서 설문조사 이벤트 하는데 아파트 관련 설문조사입니다. 다만 아파트 거주하지 않으셔도 주변아파트 이름대고서 설문 참여하시면 상품권 받으실수 있어요! 상품권 사용기간이 한달이내로 …
공식만 알면 라면이 더 맛있어진다!!!
라면과 물의 양에 대한 공식을 소개합니다. 라면을 맛있게 끓이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공식이니 꼭 암기해 두시길 바랍니다.(돼지꼬리 땡야~) 대한민국 대표라면 신라면을 예로 들죠. 라면은 포장지 뒷면 조리예를 정확히 지켜서 끓이면 가장 맛있다고 하죠. 물론 개인에 따라 기호가 다르기는 합니다. 신라면 포장지 뒷면을 보시면 라면 1개를 끓이기 위한 물의 양이 나와 있습니다. 바로 “550ml” 이 550ml가 라면 1개를 끓이기 위한 물의 표준량이죠.550ml x 2 = 1,100ml? 저도 그렇게 생각했습니다만 정답은 880ml입니다. 1100ml보다 적은 양이죠. 신기합니다.^^ 라면 3개를 끓일 때엔 1,400ml, 4개를 끓이기 위해선 1,800ml, 자취생들의 특식인 5개짜리 멀티팩 하나를 몽땅 끓이기 위해선 2,300ml가 필요합니다. 결코 550ml의 배수가 아니죠^^입니다. 이들의 노력에 박수를..^^;;
550ml x 2 = 1,100ml? 저도 그렇게 생각했습니다만 정답은 880ml입니다. 1100ml보다 적은 양이죠. 신기합니다.^^ 라면 3개를 끓일 때엔 1,400ml, 4개를 끓이기 위해선 1,800ml, 자취생들의 특식인 5개짜리 멀티팩 하나를 몽땅 끓이기 위해선 2,300ml가 필요합니다. 결코 550ml의 배수가 아니죠^^ 이 수치는 농심 연구원들이 스프량을 적당히 조절해가면서 가장 최적의 맛을 찾아내기 위해 발견한 물의 기준입니다. 이들의 노력에 박수를..^^;;
라면과 물의 양에 대한 공식을 소개합니다. 라면을 맛있게 끓이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공식이니 꼭 암기해 두시길 바랍니다.(돼지꼬리 땡야~) 대한민국 대표라면 신라면을 예로 들죠. 라면은 포장지 뒷면 조리예를 정확히 지켜서 끓이면 가장 맛있다고 하죠. 물론 개인에 따라 기호가 다르기는 합니다. 신라면 포장지 뒷면을 보시면 라면 1개를 끓이기 위한 물의 양이 나와 있습니다. 바로 “550ml” 이 550ml가 라면 1개를 끓이기 위한 물의 표준량이죠.
- Source: blog.nongshim.com
- Views: 71116
- Publish date: 1 minute ago
- Downloads: 64553
- Likes: 432
- Dislikes: 7
- Title Website: 공식만 알면 라면이 더 맛있어진다!!!
- Description Website:
라면 두 개는 물을 얼마나 넣어야 할까?
- Source: Youtube
- Views: 29637
- Date: 14 hours ago
- Download: 25333
- Likes: 9169
- Dislikes: 7
공식만 알면 라면이 더 맛있어진다!!!
1 = 1
1 + 1 ≠ 2
1 + 1 + 1 ≠ 3
지니어스입니다.
이게 무슨 뚱땅지같은 공식이냐구요? 네.. 저도 이해가 안됩니다.;; 하나일 땐 분명 하난데, 하나씩 증가할 때에는 그게 배수로 늘어나지 않는 희한한 공식… 1 더하기 1이 2가 아닌 것에는 나름 이유가 있답니다. 저는 이 공식에 이름을 붙였습니다. 이름하여 “라면의 공식(rule of ramen)” . 라면과 물의 양을 과학적인 근거에 의해 조절하는 공식이죠.
라면과 물의 양에 대한 공식을 소개합니다. 라면을 맛있게 끓이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공식이니 꼭 암기해 두시길 바랍니다.(돼지꼬리 땡야~) 대한민국 대표라면 신라면을 예로 들죠. 라면은 포장지 뒷면 조리예를 정확히 지켜서 끓이면 가장 맛있다고 하죠. 물론 개인에 따라 기호가 다르기는 합니다. 신라면 포장지 뒷면을 보시면 라면 1개를 끓이기 위한 물의 양이 나와 있습니다. 바로 “550ml” 이 550ml가 라면 1개를 끓이기 위한 물의 표준량이죠.
라면 2개를 끓이려면 물이 얼마나 필요할까요?
550ml x 2 = 1,100ml? 저도 그렇게 생각했습니다만 정답은 880ml입니다. 1100ml보다 적은 양이죠. 신기합니다.^^ 라면 3개를 끓일 때엔 1,400ml, 4개를 끓이기 위해선 1,800ml, 자취생들의 특식인 5개짜리 멀티팩 하나를 몽땅 끓이기 위해선 2,300ml가 필요합니다. 결코 550ml의 배수가 아니죠^^ 이 수치는 농심 연구원들이 스프량을 적당히 조절해가면서 가장 최적의 맛을 찾아내기 위해 발견한 물의 기준입니다. 이들의 노력에 박수를..^^;;
라면과 물의 양에 대한 공식을 소개합니다. 라면을 맛있게 끓이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공식이니 꼭 암기해 두시길 바랍니다.(돼지꼬리 땡야~) 대한민국 대표라면 신라면을 예로 들죠. 라면은 포장지 뒷면 조리예를 정확히 지켜서 끓이면 가장 맛있다고 하죠. 물론 개인에 따라 기호가 다르기는 합니다. 신라면 포장지 뒷면을 보시면 라면 1개를 끓이기 위한 물의 양이 나와 있습니다. 바로 “550ml” 이 550ml가 라면 1개를 끓이기 위한 물의 표준량이죠.550ml x 2 = 1,100ml? 저도 그렇게 생각했습니다만 정답은 880ml입니다. 1100ml보다 적은 양이죠. 신기합니다.^^ 라면 3개를 끓일 때엔 1,400ml, 4개를 끓이기 위해선 1,800ml, 자취생들의 특식인 5개짜리 멀티팩 하나를 몽땅 끓이기 위해선 2,300ml가 필요합니다. 결코 550ml의 배수가 아니죠^^입니다. 이들의 노력에 박수를..^^;;
라면1개 끓인땐 정확히 물 550ml가 맛있습니다^^
그렇다면 왜 이런 공식이 나온 것일까요? 면개발팀 K과장의 답변입니다. 그렇다면 왜 이런 공식이 나온 것일까요? 면개발팀 K과장의 답변입니다.
” 물의 증발 때문입니다. 냄비에 물이 적을 수록 빨리, 그리고 많이 증발하잖아요? 물의 높이가 낮을 수록 냄비 전체에 열이 그만큼 많이 전달되어 수증기로 빨리 날아가버립니다. 그 원리를 착안한 것이죠. 라면 1개를 끓을 때에는 물이 많이 증발하기 때문에 550ml넣지만, 2개를 끓일 때에는 물이 덜 증발하기 때문에 그만큼의 물을 뺀 880ml를 넣는 것이죠. 이 물에 맞는 스프량도 함께 고려한 것이 바로 이 표입니다.”
예전에는 신라면 포장지 뒷면에 이런 조리기준을 적어놨지만 현재는 포장지가 바뀌어 찾아볼 순 없습니다. 하지만 이 글을 보신 분들께선 한번쯤 시도해볼만 하죠. 저는 얼마전 라면 2개를 정확하게 물 880ml에 맞게 시간까지 재어 끓여 먹어봤습니다. 참..예술입디다.
정확히 4분30초를 기다리는 센스!
예전에는 신라면 포장지 뒷면에 이런 조리기준을 적어놨지만 현재는 포장지가 바뀌어 찾아볼 순 없습니다. 하지만 이 글을 보신 분들께선 한번쯤 시도해볼만 하죠. 저는 얼마전 라면 2개를 정확하게 물 880ml에 맞게 시간까지 재어 끓여 먹어봤습니다. 참..예술입디다.
posted by 지니어스
농심의 ‘Genius’ 천재하입니다. 홍보팀에서 사내 홍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사진과 글로 많은 분들과 소통하며 사내 곳곳을 취재하는 재미로 신나게 회사를 다니고 있답니다. 농심과 농심인에 대한 재미있는 이야기들을 함께 나눌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라면/요리법 – 나무위키
- Source: namu.wiki
- Views: 22980
- Publish date: 9 hours ago
- Downloads: 18433
- Likes: 7815
- Dislikes: 9
- Title Website: 라면/요리법 – 나무위키
- Description Website:
라면 2개라고 물도 두배 넣으면 안되는 이유!
- Source: Youtube
- Views: 94975
- Date: 48 minute ago
- Download: 61127
- Likes: 6851
- Dislikes: 2
라면은 하나만 끓여야 더 맛있다?! 라면 여러개 맛있게 끓이는 법!
▶라면 물 계산법 = 증발하는 물의 양 + 면발이 흡수하는 물의 양 + 남은 국물의 양
‘자연은맛있다(이하 자맛다)’ 면발이 흡수하는 물의 양은 대략 270~280㎖입니다.
Q. 라면 2개 끓일 때 물의 양이 다르고 3개 끓일 때 또 다르다니…!
- Source: blog.pulmuone.com
- Views: 69082
- Publish date: 51 minute ago
- Downloads: 101974
- Likes: 5733
- Dislikes: 9
- Title Website: 라면은 하나만 끓여야 더 맛있다?! 라면 여러개 맛있게 끓이는 법!
- Description Website:
라면 순삭! 협상의 달인 강호동의 5대1 라면 빨리 먹기 대결🍜 너는 천재다 천재~ 눈치빠른 승기가 귀여운 형들 [1박2일 순삭 #30-1] | KBS 080224 방송
- Source: Youtube
- Views: 18672
- Date: 10 minute ago
- Download: 63930
- Likes: 526
- Dislikes: 1
라면은 하나만 끓여야 더 맛있다?! 라면 여러개 맛있게 끓이는 법!
세상에서 가장 맛있는 라면은
남이 먹는 라면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
지금 누군가 라면 한 냄비를 들고 들어와
바로 눈앞에서 후루룩~ 한다면…
좀전에 식사를 했건 아니건 상관없이
입맛을 다시며 이렇게 속삭이게 됩니다.
“나..나도 한 젓가락만…”
한 냄비에 끓인 오붓하게 보글보글 끓여낸
하나의 라면은
(심지어 빼앗아먹을 때) 정말 기차게 맛있지 말입니다.
그런데 라면을 1개 끓였을 때 더 맛있게 느껴지는 건
희소성이나 한계효용 때문만은 아니라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실제로 한 냄비에 라면을 여러 개 넣고 끓였을 때보다
한 냄비에 라면 1개만을 끓였을 때
더 쫄깃하고 맛있을 확률이 높다는 사실을?!
아니, 왜???
궁금한 건 바로바로 풀어야하는
호기심대마왕 풀반장~
궁금하면 밤에 자다가도
이불속에서 하이킥을 날리실
풀사이 가족 여러분을 위해~
끼니보다 라면을 더 자주 먹으며
불철주야 건강한 라면 연구에 몸을 바치고 있다는
풀무원식문화연구원
라면 담당 연구원에게 물었습니다!
라면은 왜 하나만 끓여야 더 맛있는 걸까요?
라면, 여러 개를 맛있게 끓이는 방법은 없는 걸까요?
.
.
.
(*참고로 아래 풀반장과 연구원의 대화는
라면 1개를 끓는 물 550㎖에 4분 30초간 끓이는
일반적인 표준라면조리법을 기준으로 합니다.)
Q. 한 냄비에 라면을 여러 개 넣어서 끓이면
왜 라면이 덜 맛있게 느껴지는 건가요?
대체로, 한 냄비에 라면을 여럿 넣어서 끓이면
라면의 면이 불어버리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Q. 앗, 왜 라면을 여럿 한꺼번에 끓이면
면이 불어버리는 거죠?
원래 라면 면발을 쫄깃하게 하려면
최대한 빨리 익혀주어야 합니다.
라면 맛있게 끓이기 비법으로
센 불, 열전도율이 높은 얇은 냄비가 꼽히는 것도
이 때문입니다.
라면이 익는 데 걸리는 시간이 길어지면
면발은 익기도 전에
물만 한껏 빨아들여 불게 됩니다.
컵라면을 먹을 때
뜨겁지 않은 물을 부으면 익지는 않고
면만 불어버리는 현상, 겪어보셨죠?
이와 비슷한 원리입니다.
라면 1개보다 라면 2개를 끓일 때
전달되는 에너지가 더 낮고 조리시간도 더 긴데요.
라면 1개를 끓일 때 끓는 물에 면을 넣으면
약 40초 후 끓기 시작하지만
라면 2개를 끓일 때 끓는 물에 면을 넣으면
약 1분~1분 10초가 지난 후 끓기 시작합니다.
그래서 라면 2개를 끓일 때는
5분~5분 30초 정도 익혀 주어야
1개를 4분 30초 끓였을 때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끓기 시작하는 시간 : 끓는 물에 라면을 넣은 뒤부터 측정한 시간)
Q. 항상 고민이 되는 부분인데요.
라면 1개 끓일 때 물 550㎖를 붓잖아요,
그럼 라면 2개 끓일 때는 1,100㎖를 부어야 하나요?
만약 2개의 라면을 각각 별개의 냄비에서 끓인다면
물은 당연히 1,100㎖가 필요한 게 맞습니다. ㅎㅎ
하지만, 2개의 라면을 하나의 냄비에 넣고 끓이는 경우라면
물의 양은 달라집니다.
Q. 앗!! 역시! 그렇군요~!
라면 2개 끓일 때 물의 양은 달라지는 것이었군요!
그런데 얼마나 달라지나요?
라면 1개가 추가될 때 추가되는 물의 양은
550㎖보다 적어져야 합니다.
풀무원 ‘자연은맛있다’라면을 기준으로 볼까요?
(라면 봉지를 뒤적뒤적)
‘자연은맛있다’를 기준으로 했을 때
라면 1개가 추가될 때 추가되는 물의 양은 약 400~450㎖,
라면 2개째가 추가될 때 추가되는 물의 양은 그보다 적은 350㎖를
붓는 것이 좋겠군요.
아, 물론 이런 기준들은 불의 세기, 냄비 재질과 크기 등에 따라
조금 달라질 수 있어요.
Q. 라면 2개 끓일 때 물의 양이 다르고 3개 끓일 때 또 다르다니…!
도대체 그 이유가 뭐죠?
이 수치는 물을 끓일 때 증발하는 물의 양과
면발이 흡수하는 물의 양을 바탕으로 계산한 것입니다.
라면 1개를 끓일 때 증발하는 물의 양은 통상 110~150㎖,
‘자연은맛있다(이하 자맛다)’ 면발이 흡수하는 물의 양은 대략 270~280㎖입니다.
참고로 ‘자맛다’ 면발은
기름에 튀기지 않고 바람에 말린 건면이기 때문에
기름에 튀긴 유탕면보다
물을 조금 더 (약 30㎖) 흡수합니다.
‘자맛다’의 면발 속
바늘구멍보다 더 작은 무수히 많은 구멍들 안에는
바람(공기)만 있어 물을 흡수할 수 있지만
유탕면의 면발에는 기름(지방)이 있어
물을 흡수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곧, 유탕면의 면발 속 기름의 양만큼
면이 흡수하는 물의 양이 증가한 거라고 할 수 있습니다.
▶라면 물 계산법 = 증발하는 물의 양 + 면발이 흡수하는 물의 양 + 남은 국물의 양
참고로 냄비가 작을수록
물이 냄비를 통해 전달되는 열을 빨리 많이 받게 되므로
물이 더 빨리 더 많이 증발합니다.
Q. 라면 1개를 끓일 때 조리시간은 4분 30초.
라면 2개를 끓일 때도 조리시간은 4분 30초인가요? 아니면 9분인가요?
불의 세기가 같을 경우
라면이 1개 증가할 때마다
조리 시간은 약 30초씩 늘리면 됩니다.
다만, 이는 조리 관점에서만 볼 때이고
실제로 라면을 여러 개 끓이면
그릇에 나누어 담는 시간이며
모두 식탁에 모여 앉아 먹는데 걸리는 시간 등등
조리가 끝난 시간과 먹기 시작하는 시간 사이에
짧게나마 시간차가 발생할 수 있으니
불을 좀 더 빨리 꺼야
불지 않은 쫄깃한 면발의 라면을 먹을 수 있을 겁니다.
▶라면 조리시간 계산법
.
.
.
자연은맛있다
정말?!
12시간 우린 사골 국물에
표고버섯, 대파, 당근, 마늘 등의
자연 재료를 더하면?
입에 착 감기는 깊고 진한 국물~
튀기지 않고 바람에 말리면?
탱글 쫄깃 맛있는 면발~
진짜 고추가 송송~
매콤한 고추송송사골 ♪
진짜 신선한 파가 송송~
개운한 파송송사골 ♬
: )
posted by 풀반장
라면 2개,3개,4개,5개 물양 맞추는 법 (종이컵) – 하늘연달 하루봉
면의 갯수 1개 2개 3개 4개 5개 스프 갯수 1개 1⅔개 2⅔개 3½개 4개 물의 양 (cc) 550 cc 880 cc 1400 cc 1800 cc 2300 cc 물의 양 (종이컵) 3 컵 5 컵 7⅔ 컵 10 컵 12½ 컵
따라서 2개 이상의 라면을 끓일 때, 라면 물의 양을 조절해야 싱겁지 않고 맛있는 라면을 먹을 수가 있습니다~!
라면을 2개 이상 끓일 때에는 증발량이 적어져 단순 계산대로 물을 넣으면 싱거운 라면이 되는 겁니다.
- Source: stickbong.tistory.com
- Views: 37300
- Publish date: 11 hours ago
- Downloads: 77661
- Likes: 5990
- Dislikes: 5
- Title Website: 라면 2개,3개,4개,5개 물양 맞추는 법 (종이컵) – 하늘연달 하루봉
- Description Website:
- Source: Youtube
- Views: 89627
- Date: 32 minute ago
- Download: 102281
- Likes: 8411
- Dislikes: 1
라면 2개,3개,4개,5개 물양 맞추는 법 (종이컵)
《라면 2개 이상 물양 맞추는 법》
안녕하세요~ 하루봉입니다~!
한국인들 뿐만 아니라 전 세계인들이 즐겨먹는 식품이 있는데요,
그것은 바로 라면입니다!
라면은 조리방법이 간단하고 보관이 용이하며 맛이 아주 좋아 출시부터
지금까지 많은 사랑을 받아왔습니다.
이 라면을 더 맛있게 먹는 방법이 있습니다.
바로 물 양을 잘 맞추는 것입니다!
그래서 라면봉지 뒤에는 라면을 끓이는 방법과 물양을 알려주고 있습니다~
신라면 기준으로 라면 1개를 끓일 때 적합한 물 양은 550ml입니다.
그런데 라면 2개, 3개, 4개, 5개의 물양은 어떻게 맞춰야 할까요?
단순하게 생각해서, 라면 2개의 물 양은 1100ml, 라면 3개의 물양은 1650ml,
라면 4개의 물양은 2200ml라고 생각할 수가 있습니다.
이런 단순 계산대로 라면 2개에 물 1100ml를 넣고 끓여 먹어보면
살짝 싱거운 라면 을 맛보게 됩니다. 왜 그럴까요?
그것은 바로 라면을 끓일 때 물이 증발 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라면이 짜지는 게 아닌가?라고 생각할 수가 있는데요, 그렇지 않습니다.
물의 증발량은 냄비의 깊이와 물의 양이 많아질수록 더 적게 증발되기 때문에
라면을 2개 이상 끓일 때에는 증발량이 적어져 단순 계산대로 물을 넣으면 싱거운 라면이 되는 겁니다.
따라서 2개 이상의 라면을 끓일 때, 라면 물의 양을 조절해야 싱겁지 않고 맛있는 라면을 먹을 수가 있습니다~!
그렇다면 라면 2개 이상의 물 양 조절은 어떻게 해야 할까요?
이는 아래의 도표를 보시면 알 수가 있습니다.
면의 갯수 1개 2개 3개 4개 5개 스프 갯수 1개 1⅔개 2⅔개 3½개 4개 물의 양 (cc) 550 cc 880 cc 1400 cc 1800 cc 2300 cc 물의 양 (종이컵) 3 컵 5 컵 7⅔ 컵 10 컵 12½ 컵
농심에서는 신라면을 2개 이상 끓일 경우 물을 얼마나 넣어야 하는지를
도표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라면 2개일 경우 물의 양은 880ml, 스프는 1개와 2/3개를 넣으면
라면 1개를 끓일 때와 같이 맛있는 라면을 드실 수가 있습니다.
라면 3개를 드실 경우 물의 양은 1400ml, 스프는 2개와 2/3개를 넣으면
라면 1개를 끓일 때와 같이 맛있는 라면을 드실 수가 있습니다.
라면 4개와 라면 5개를 드실 때에도 위의 도표에 따라 넣으시면
라면 1개를 끓일 때와 똑같이 맛있게 라면을 드실 수가 있습니다.
집에 계량기가 없는 분들은 물 양을 어떻게 조절할지 감이 안잡히실 수가 있는데요,
그래서 도표에 나와있듯이 종이컵을 이용하여 물양을 조절할 수가 있습니다!
종이컵의 용량은 184ml 이기 때문에 라면 1개의 물 양은 종이컵 3컵,
라면 2개의 물양은 종이컵 5컵 등으로 다소 정확히 계량할 수가 있습니다!
또, 생수 500ml 페트병이 집에 있다면, 이를 이용해서도 라면의 물 양을 맞추기가 용이합니다.
이렇게 오늘은 라면 2개, 3개, 4개, 5개를 끓일 때의 물양을 알아봤습니다.
도표를 보시고 라면 물양을 맞춰 드시면 좀 더 맛있는 라면을 드실 수가 있습니다.
오늘의 포스팅은 여기서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라면 2개, 3개, 4개, 5개 물양 맞추기 – 주요정보포털 – 티스토리
라면 여러 개를 끓일수록 물의 양은 줄어들어야 한다. 냄비에 물이 적을수록 증발하는 면적이 더 많아지므로, 물은 빠르게, 더 많이 증발하기 때문이다. 물의 양이 많아질수록 같은 시간 동안 물이 증발하는 양은 상대적으로 줄어들므로, 물의 증발을 고려하면 라면을 2개, 3개, 4개, 5개로 많아지면 물양은 한 개의 배수가 아닌 점점 적게 넣어야 한다.
라면 한 개는 잘 끓이지만, 2개 이상, 3개, 4개, 5개를 끓일 때는 물양을 맞추지 못해 라면 물을 한강으로 만들거나 너무 짜게 만드는 일이 적지 않다. 1개 물양은 제조법에 상세히 적혀 있지만, 2개 이상 물양은 적혀 있지 않기 때문이다. 최적의 맛을 내는 라면 최적의 물양은 어느 정도일까?
라면 끓이는 시간은 4분~4분 30초가 정석이다. 2분을 끓이면 면이 오독오독 씹히고, 3분은 꼬들꼬들, 3분 30초 정도 끓이면 쫄깃쫄깃한 면발의 라면을 먹을 수 있다. 라면을 끓이는 시간이 5분을 넘어서면 면발이 부드러워지고, 6분~6분 30초 이상이 되면 면이 푹 퍼지고 만다.
종이컵 없이 라면 물양 맞추는 법 … ① 라면 봉지 위쪽을 뜯어낸 다음 라면과 건더기 스프를 꺼낸다. ② 라면 봉지를 3등분 한 후 접어 라면 봉지의 3/2 지점을 가위로 …
- Source: lastopportunity.tistory.com
- Views: 1203
- Publish date: 35 minute ago
- Downloads: 13161
- Likes: 4541
- Dislikes: 9
- Title Website: 라면 2개, 3개, 4개, 5개 물양 맞추기 – 주요정보포털 – 티스토리
- Description Website: 종이컵 없이 라면 물양 맞추는 법 … ① 라면 봉지 위쪽을 뜯어낸 다음 라면과 건더기 스프를 꺼낸다. ② 라면 봉지를 3등분 한 후 접어 라면 봉지의 3/2 지점을 가위로 …
#최종국 (신진서 vs 이치리키 료) 제23회 농심신라면배 세계바둑최강전 본선 제14경기 23rd Shin Ramyun Cup World Baduk Championship
- Source: Youtube
- Views: 97157
- Date: 1 minute ago
- Download: 33096
- Likes: 7869
- Dislikes: 2
라면 2개 물양 맞추는 법 [라면 2개,3개,4개,5개 물양 맞추기]
라면 한 개는 잘 끓이지만, 2개 이상, 3개, 4개, 5개를 끓일 때는 물양을 맞추지 못해 라면 물을 한강으로 만들거나 너무 짜게 만드는 일이 적지 않다. 1개 물양은 제조법에 상세히 적혀 있지만, 2개 이상 물양은 적혀 있지 않기 때문이다. 최적의 맛을 내는 라면 최적의 물양은 어느 정도일까?
라면 2개, 3개, 4개, 5개 물양 맞추기
라면 여러 개를 끓일수록 물의 양은 줄어들어야 한다. 냄비에 물이 적을수록 증발하는 면적이 더 많아지므로, 물은 빠르게, 더 많이 증발하기 때문이다. 물의 양이 많아질수록 같은 시간 동안 물이 증발하는 양은 상대적으로 줄어들므로, 물의 증발을 고려하면 라면을 2개, 3개, 4개, 5개로 많아지면 물양은 한 개의 배수가 아닌 점점 적게 넣어야 한다.
사실 라면을 여러 개 끓일 때는 물이 많은 것보다 적게 넣는 것이 실패 확률을 줄일 수 있는데, 라면 스프를 넣기 전에 면을 먼저 넣어보고 물 양을 가늠하는 것도 좋은 방법 중 하나입니다.
※ 종이컵 용량 ≒ 185ml 기준으로 환산. 표에 표기된 라면 개수에 따른 물양은 평균 용량으로, 라면 종류와 면의 굵기, 짜게 먹느냐, 싱겁게 먹느냐, 식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라면 갯수 물양 종이컵 기준 1개 550ml 3컵 2개 850ml 4컵+2/3컵 3개 1400ml 7컵+1/2컵 4개 1800ml 9컵+2/3컵 5개 2300ml 12컵+1/2컵
종이컵 없이 라면 물양 맞추는 법
① 라면 봉지 위쪽을 뜯어낸 다음 라면과 건더기 스프를 꺼낸다.
② 라면 봉지를 3등분 한 후 접어 라면 봉지의 3/2 지점을 가위로 자른다.
③ 라면 봉지에 물을 채우면 약 550ml.
라면 2개,3개,4개,5개 물양 맞추는 법
라면 종류별 물양 맞추는 법
라면 갯수 진라면, 오동통면, 진짬뽕 참깨라면, 스낵면, 열라면,
쇠고기미역국라면, 굴진짬뽕 1개 550ml 500ml 2개 1,050ml 950ml 3개 1,550ml 1,400ml 4개 2,050ml 1,850ml
라면 끓이는 시간은 4분~4분 30초가 정석이다. 2분을 끓이면 면이 오독오독 씹히고, 3분은 꼬들꼬들, 3분 30초 정도 끓이면 쫄깃쫄깃한 면발의 라면을 먹을 수 있다. 라면을 끓이는 시간이 5분을 넘어서면 면발이 부드러워지고, 6분~6분 30초 이상이 되면 면이 푹 퍼지고 만다.
라면 2개 물양 얼마일까? – 생활에 도움이 되는 블로그
적당한 물의 양은 알았지만 800ml를 도대체 어떻게 맞춰야 하는지 모르겠다면 종이컵을 이용해보세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종이컵의 용량은 가득 채웠을 때 약 180ml 정도이니 종이컵 가득 네컵 반 정도 넣으면 알맞겠습니다.
그 이유는 물을 끓일 때는 물이 끓으면서 수증기로 증발하는데, 물이 많을수록 증발하는 양이 적어지므로 수증기로 증발해 사라지는 물까지 계산하면 800~880ml 정도가 적당하기 때문입니다.
맛있고 만들기도 간편해 혼자 살면 라면을 자주 끓여 먹게 됩니다. 1개를 끓일 때는 라면 봉지에 물을 얼마나 넣어야 하는지 나와 있어 별 문제가 없는데, 두 개를 끓일 때는 어떨까요?
3 thg 6, 2021 — 입맛에 따라 다르겠지만 라면 2개 끓을 때 물을 1000ml 넣으면 너무 싱거울 수 있습니다. 라면 2개에 권장되는 물의 양은 800~880ml 정도입니다. 그 이유 …
- Source: snippet1.tistory.com
- Views: 103562
- Publish date: 19 minute ago
- Downloads: 3555
- Likes: 3940
- Dislikes: 2
- Title Website: 라면 2개 물양 얼마일까? – 생활에 도움이 되는 블로그
- Description Website: 3 thg 6, 2021 — 입맛에 따라 다르겠지만 라면 2개 끓을 때 물을 1000ml 넣으면 너무 싱거울 수 있습니다. 라면 2개에 권장되는 물의 양은 800~880ml 정도입니다. 그 이유 …
이것만 기다렸는데 영끌러가 동시에 폭발한 이유
- Source: Youtube
- Views: 58494
- Date: 12 hours ago
- Download: 92199
- Likes: 6734
- Dislikes: 4
라면 2개 물양 얼마일까?
맛있고 만들기도 간편해 혼자 살면 라면을 자주 끓여 먹게 됩니다. 1개를 끓일 때는 라면 봉지에 물을 얼마나 넣어야 하는지 나와 있어 별 문제가 없는데, 두 개를 끓일 때는 어떨까요?
ㅣ라면 2개 물양 얼마나 넣어야 할까?
라면 1개를 끓일 때 권장되는 물의 양은 보통 500ml 입니다. 라면 봉지 뒤에 라면마다 적당한 물 양이 나와 있습니다.
500ml 보다 조금 적거나 조금 더 많거나 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500ml 정도 입니다. 그러면 라면 2개를 끓일 때 물양은 간단하게 1000ml를 넣으면 될까요?
입맛에 따라 다르겠지만 라면 2개 끓을 때 물을 1000ml 넣으면 너무 싱거울 수 있습니다. 라면 2개에 권장되는 물의 양은 800~880ml 정도입니다.
그 이유는 물을 끓일 때는 물이 끓으면서 수증기로 증발하는데, 물이 많을수록 증발하는 양이 적어지므로 수증기로 증발해 사라지는 물까지 계산하면 800~880ml 정도가 적당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스프는 2개 다 넣기보다는 스프 하나는 2/3만 넣는 것이 가장 맛있다고 합니다.
적당한 물의 양은 알았지만 800ml를 도대체 어떻게 맞춰야 하는지 모르겠다면 종이컵을 이용해보세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종이컵의 용량은 가득 채웠을 때 약 180ml 정도이니 종이컵 가득 네컵 반 정도 넣으면 알맞겠습니다.
▶같이 보면 유용한 정보
2021.06.02 – [생활 정보] – 허리둘레 재는 법
2021.06.01 – [생활 정보] – 태권도 띠 순서 어떻게 될까?
2021.05.31 – [생활 정보] – 하루 이틀 사흘 나흘 닷새 엿새 순우리말 날짜 세는 법
주제에 대한 관련 정보 라면 두개 물량
Bing에서 라면 두개 물량 주제에 대한 최신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주제에 대한 기사 보기를 마쳤습니다 라면 두개 물량. 이 기사가 유용했다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이 주제와 관련하여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라면 두개 물량 라면 두개 물량 종이컵, 진라면 두개 물량, 500ml 라면 2개 물, 라면 두개 시간, 라면 두개 스프, 500ml 라면 3개 물, 라면 2개 물 컵, 라면 5개 물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