톱 1511 매독 초기 증상 새로운 업데이트 161 시간 전

주제에 대한 기사를 찾고 있습니까 “매독 초기 증상“? 웹사이트에서 이 주제에 대한 전체 정보를 제공합니다 c2.chewathai27.com/ 탐색에서: 새로운 상위 457 가지 팁 업데이트. 바로 아래에서 이 주제에 대한 자세한 답변을 찾을 수 있습니다. 찾고 있는 주제를 더 잘 이해하려면 끝까지 읽으십시오. 더 많은 관련 검색어: 매독 초기 증상 남자 매독 증상 사진, 여자 매독 증상 사진, 매독 반점 특징, 매독 증상 가려움, 매독 초기 사진, 매독 걸리는 이유, 매독 완치율, 매독 1기 증상

매독은 박테리아 트레포네마 담창구로 인해 발생하는 성전파 감염입니다.
  • 매독은 명확한 건강 주기별로 구분된 증상의 3단계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증상은 감염 부위의 무통 궤양에서 시작되며, 2단계에서는 발진, 열, 피로, 두통 및 식욕 부진을 일으킵니다.

매독 – 감염 – MSD 매뉴얼 – 일반인용

성병 연구 검사실(VDRL) 또는 급속 혈장 리아진(RPR) 검사 등 선별검사 를 보통 먼저 합니다. 이러한 검사는 매독을 일으키는 박테리아(트레포네마) 또는 이러한 박테리아에 반응하여 생성되는 항체를 직접 검출하지 않으므로 비트레포네마 검사라 부릅니다. 선별검사는 저렴하고 하기 쉽지만, 매독이 존재한다 하더라도 첫 감염 후 3~6주 동안은 결과가 음성일 수 있습니다. 그러한 결과를 위음성이라고 합니다. 선별검사 결과가 음성이지만 의사가 일차 매독의 가능성이 있다고 여기는 경우, 6주 후에 검사를 반복할 수 있습니다. 매독이 없는 경우 선별검사 결과가 간혹 양성(위양성)이 되는 이유는 또 다른 질환이 검사를 양성으로 만들었기 때문입니다.

보건의료인은 환자에게 일반적인 굳은 궤양이 있으면 일차 매독을 의심합니다. 환자가 손바닥과 발바닥에 일반적인 발진이 있으면 이차 매독을 의심합니다. 매독은 그 다양한 단계 동안 광범위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의사는 시력 문제를 비롯하여 가능한 증상을 경험하는 사람을 평가할 때 매독에 대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보통 양성 선별검사를 확진하려면 확인 검사를 해야 합니다. 이러한 혈액 검사는 매독을 일으키는 박테리아에 대한 반응으로 특이적으로 생성되는 항체를 측정합니다(때로는 트레포네마 검사라 부름). 초기 감염된 지 처음 몇 주 동안에는 확인 검사의 결과도 위음성으로 나올 수 있으므로 반복해야 합니다.

  • Source: www.msdmanuals.com
  • Views: 79543
  • Publish date: 19 hours ago
  • Downloads: 51027
  • Likes: 324
  • Dislikes: 7
  • Title Website: 매독 – 감염 – MSD 매뉴얼 – 일반인용
  • Description Website: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 Source: Youtube
  • Views: 81440
  • Date: 27 minute ago
  • Download: 39460
  • Likes: 4385
  • Dislikes: 10

MSD 매뉴얼

혈액, 궤양의 체액, 또는 척수액 검체에 대한 검사

보건의료인은 환자에게 일반적인 굳은 궤양이 있으면 일차 매독을 의심합니다. 환자가 손바닥과 발바닥에 일반적인 발진이 있으면 이차 매독을 의심합니다. 매독은 그 다양한 단계 동안 광범위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의사는 시력 문제를 비롯하여 가능한 증상을 경험하는 사람을 평가할 때 매독에 대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진단을 확진하려면 실험실 검사가 필요합니다. 다음과 같은 2가지 유형의 혈액 검사를 사용합니다.

성병 연구 검사실(VDRL) 또는 급속 혈장 리아진(RPR) 검사 등 선별검사 를 보통 먼저 합니다. 이러한 검사는 매독을 일으키는 박테리아(트레포네마) 또는 이러한 박테리아에 반응하여 생성되는 항체를 직접 검출하지 않으므로 비트레포네마 검사라 부릅니다. 선별검사는 저렴하고 하기 쉽지만, 매독이 존재한다 하더라도 첫 감염 후 3~6주 동안은 결과가 음성일 수 있습니다. 그러한 결과를 위음성이라고 합니다. 선별검사 결과가 음성이지만 의사가 일차 매독의 가능성이 있다고 여기는 경우, 6주 후에 검사를 반복할 수 있습니다. 매독이 없는 경우 선별검사 결과가 간혹 양성(위양성)이 되는 이유는 또 다른 질환이 검사를 양성으로 만들었기 때문입니다.

보통 양성 선별검사를 확진하려면 확인 검사를 해야 합니다. 이러한 혈액 검사는 매독을 일으키는 박테리아에 대한 반응으로 특이적으로 생성되는 항체를 측정합니다(때로는 트레포네마 검사라 부름). 초기 감염된 지 처음 몇 주 동안에는 확인 검사의 결과도 위음성으로 나올 수 있으므로 반복해야 합니다.

전통적으로 선별검사를 먼저 실시하고, 양성 결과는 확인(트레포네마) 검사로 확진합니다. 때때로 의사들은 트레포네마 검사를 먼저 실시합니다. 결과가 양성일 경우, 신속 혈장 리아진 검사(선별검사)를 실시합니다.

검사 결과가 양성일 경우, 의사는 현재 매독이 있는지 혹은 과거에 있었는지 판별하기 위해 이전의 성 파트너, 이전의 실험실 검사 결과, 이전의 치료에 대해 질문할 수 있습니다.

치료가 성공한 후에는 선별검사 결과가 느리게(수개월 내지 수년에 걸쳐) 음성이 될 수도 있지만, 확인 검사 결과는 보통 계속 양성으로 유지됩니다.

일차 또는 이차 단계에서는 암시야 현미경법으로 매독을 진단할 수도 있습니다. 피부 궤양 또는 림프절에서 체액 검체를 채취하여 특수 장착된 광 현미경으로 검사합니다. 박테리아는 어두운 배경에 대비되어 밝게 나타나므로 쉽게 식별할 수 있습니다.

잠복 단계에서는, 동일한 혈액 검사(트레포네마 및 비트레포네마)를 사용하여 매독을 진단합니다. 또한 의사들은 철저한 신체검사 및 이전 검사 결과 검토를 비롯한 평가 결과를 토대로 단계가 조기-잠복 단계인지 후기-잠복 단계인지 판별하려 합니다.

삼차 단계에서는 증상과 항체 검사 결과를 기준으로 진단합니다. 어떤 증상이 있는지에 따라 다른 검사를 합니다. 예를 들어, 흉부 X-레이나 또 다른 진단 영상 촬영으로 대동맥 내 동맥류를 검사할 수도 있습니다.

매독 – 서초구 보건소

A. VDRL은 매독의 1차 검사로 가장 흔히 시행되는 검사로 Venereal Disease Research Laboratory test의 약자이다. 감염이 의심되는 환자의 피를 가지고 매독균 감염 후 생기는 항체를 이용하여 검사하는 방법이다. 매독의 집단 검진에는 가장 간편하고 유용한 검사임에는 틀림이 없지만 이 검사법의 매독 진단 능력은 병의 진행 정도에 따라 달라진다. 일차 매독의 경우 이 검사법의 진단율은 60% 정도이며, 후기로 갈수록 증가하여 이차 매독의 경우 진단율은 90~100%까지 높아진다. 하지만 마지막 단계인 삼차 매독의 경우 진단율은 60% 정도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 검사는 이차 매독과 잠복 매독의 진단에 가장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단순 VDRL 검사는 위양성률, 즉 실제로는 매독이 아닌데 매독으로 진단되는 경우가 꽤 있다.

Q. VDRL이란 검사는 무엇인가요?

두통, 고열, 인후통, 임파선의 종창, 간∙비장비대 등의 증상이 올 수 있고 매독진(Syphilid)이라고 불리는 발진이 피부나 점막에 나타나는 시기로 경성하감 발생 후 3∼6 …

  • Source: www.seocho.go.kr
  • Views: 24110
  • Publish date: 13 hours ago
  • Downloads: 73721
  • Likes: 5606
  • Dislikes: 4
  • Title Website: 매독 – 서초구 보건소
  • Description Website: 두통, 고열, 인후통, 임파선의 종창, 간∙비장비대 등의 증상이 올 수 있고 매독진(Syphilid)이라고 불리는 발진이 피부나 점막에 나타나는 시기로 경성하감 발생 후 3∼6 …
See also  베스트 1531 앵쩡 남자 친구 새로운 업데이트 50 일 전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매독 병기 및 증상 정리해보자

  • Source: Youtube
  • Views: 96513
  • Date: 21 hours ago
  • Download: 22994
  • Likes: 8841
  • Dislikes: 9

서초구 보건소

Q. VDRL이란 검사는 무엇인가요?

A. VDRL은 매독의 1차 검사로 가장 흔히 시행되는 검사로 Venereal Disease Research Laboratory test의 약자이다. 감염이 의심되는 환자의 피를 가지고 매독균 감염 후 생기는 항체를 이용하여 검사하는 방법이다. 매독의 집단 검진에는 가장 간편하고 유용한 검사임에는 틀림이 없지만 이 검사법의 매독 진단 능력은 병의 진행 정도에 따라 달라진다. 일차 매독의 경우 이 검사법의 진단율은 60% 정도이며, 후기로 갈수록 증가하여 이차 매독의 경우 진단율은 90~100%까지 높아진다. 하지만 마지막 단계인 삼차 매독의 경우 진단율은 60% 정도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 검사는 이차 매독과 잠복 매독의 진단에 가장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단순 VDRL 검사는 위양성률, 즉 실제로는 매독이 아닌데 매독으로 진단되는 경우가 꽤 있다.

매독 | 질환백과 | 의료정보 | 건강정보 – 서울아산병원

트레포네마 팔리듐균이 성기를 통해 전파되면 성기 주위에 통증이 없는 궤양이 생깁니다. 이것이 1차 매독입니다. 1차 매독은 치료하지 않아도 호전됩니다. 하지만 트레포네마 팔리듐균이 혈액을 타고 전신으로 퍼지면 발진 등의 2차 매독이 발생합니다. 2차 매독도 치료하지 않아도 호전됩니다. 2차 매독은 3차 매독으로 진행하거나, 잠복 매독 상태에서 수년, 수십 년간 증상이 없다가 3차 매독의 형태인 동맥염, 뇌 신경 매독으로 발현될 수 있습니다. 잠복 매독은 증상이 없으므로, 혈액 검사에서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콘돔 등을 사용하지 않는 보호받지 못한 성관계(unprotected sex) 등의 과거력이 있고, 매독 검사 결과 양성 판정을 받는 경우에 임상적으로 의심할 수 있습니다.

매독의 치료는 매복이 어느 단계에 해당하는지에 따라 결정됩니다. 1기, 2기, 초기 잠복은 페니실린 근육주사를 한 번 맞는 것만으로 치료할 수 있습니다. 후기 잠복 매독은 중추신경계로까지 침범되지 않았다면, 일주일에 한 번씩 페니실린을 주사하는 치료법을 3주 동안 시행하여 치료합니다. 신경 매독은 수용성 페니실린을 정맥으로 주사하는 치료법을 10~14일간 시행하여 치료합니다. 환자가 페니실린에 대한 과민 반응이 있는 경우, 적절한 대체 요법을 사용합니다.

매독은 성 접촉에 의해 전파되는 감염성 질환을 의미합니다. 매독에 감염되었을 때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몸속의 매독균이 모두 없어집니다. 하지만 치료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잠복 매독으로 남아있을 수 있습니다. 잠복 매독이 신경 매독으로 진행하는 것을 막기 위해 추가적인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매독균에 감염된 후, 10~90일 정도의 잠복기(평균 21일)가 지나면 1기 매독이 발생합니다. 1기 매독에 의한 증상은 저절로 호전되지만, 1~6개월 정도 지나면 2기 매독 증상 …

  • Source: www.amc.seoul.kr
  • Views: 71398
  • Publish date: 7 hours ago
  • Downloads: 57826
  • Likes: 2303
  • Dislikes: 3
  • Title Website: 매독 | 질환백과 | 의료정보 | 건강정보 – 서울아산병원
  • Description Website: 매독균에 감염된 후, 10~90일 정도의 잠복기(평균 21일)가 지나면 1기 매독이 발생합니다. 1기 매독에 의한 증상은 저절로 호전되지만, 1~6개월 정도 지나면 2기 매독 증상 …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매독은 어떻게 걸릴까? (매독 감염과 치료)-서울대 전문의

  • Source: Youtube
  • Views: 1626
  • Date: 38 minute ago
  • Download: 10246
  • Likes: 8775
  • Dislikes: 5

정의

매독은 성 접촉에 의해 전파되는 감염성 질환을 의미합니다. 매독에 감염되었을 때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몸속의 매독균이 모두 없어집니다. 하지만 치료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잠복 매독으로 남아있을 수 있습니다. 잠복 매독이 신경 매독으로 진행하는 것을 막기 위해 추가적인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원인

매독의 원인균은 트레포네마 팔리듐균(Treponema pallidum)입니다. 이 균은 주로 성 접촉에 의해 전파됩니다. 임신한 여성으로부터 태아에게 직접 전파될 수도 있습니다.

증상

트레포네마 팔리듐균이 성기를 통해 전파되면 성기 주위에 통증이 없는 궤양이 생깁니다. 이것이 1차 매독입니다. 1차 매독은 치료하지 않아도 호전됩니다. 하지만 트레포네마 팔리듐균이 혈액을 타고 전신으로 퍼지면 발진 등의 2차 매독이 발생합니다. 2차 매독도 치료하지 않아도 호전됩니다. 2차 매독은 3차 매독으로 진행하거나, 잠복 매독 상태에서 수년, 수십 년간 증상이 없다가 3차 매독의 형태인 동맥염, 뇌 신경 매독으로 발현될 수 있습니다. 잠복 매독은 증상이 없으므로, 혈액 검사에서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콘돔 등을 사용하지 않는 보호받지 못한 성관계(unprotected sex) 등의 과거력이 있고, 매독 검사 결과 양성 판정을 받는 경우에 임상적으로 의심할 수 있습니다.

진단

매독은 선별 검사인 혈액 검사(VDRL 검사, RPR)에서 양성 판정을 받으면, 매독균에 대한 특이 검사(FTA-ABS 검사나 TPHA)를 시행하여 확진합니다. 무증상 신경 매독을 확진하기 위해 뇌척수액 검사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치료

매독의 치료는 매복이 어느 단계에 해당하는지에 따라 결정됩니다. 1기, 2기, 초기 잠복은 페니실린 근육주사를 한 번 맞는 것만으로 치료할 수 있습니다. 후기 잠복 매독은 중추신경계로까지 침범되지 않았다면, 일주일에 한 번씩 페니실린을 주사하는 치료법을 3주 동안 시행하여 치료합니다. 신경 매독은 수용성 페니실린을 정맥으로 주사하는 치료법을 10~14일간 시행하여 치료합니다. 환자가 페니실린에 대한 과민 반응이 있는 경우, 적절한 대체 요법을 사용합니다.

경과

모든감염병|1기 매독 – 질병관리청

⊙ 1기 매독 : 경성하감(chancre)이 특징적 병변으로, 균이 침입한 부위에 통증이 없는 구진이나 궤양이 발생하여 2주 내지 6주 후에 자연 소실됨

① 1기 매독 : 경성하감(chancre)이 특징적 병변으로, 균이 침입한 부위에 통증이 없는 구진이나 궤양이 발생하여 2주 내지 6주 후에 자연

○ 후기 선천성 매독 : 생후 2년 후에 발병하며 Hutchinson 치아, 간질성 결막염, 군도 정강이 (saber shins) 등을 보임

1기 매독 · 매독균(Treponema pallidum)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성기 및 전신 질환 · 전파경로 · 성접촉, 수직감염, 혈액을 통한 감염으로 전파됨 · 기 또는 2기 매독환자의 성 …

  • Source: www.kdca.go.kr
  • Views: 71161
  • Publish date: 22 minute ago
  • Downloads: 87095
  • Likes: 8072
  • Dislikes: 10
  • Title Website: 모든감염병|1기 매독 – 질병관리청
  • Description Website: 1기 매독 · 매독균(Treponema pallidum)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성기 및 전신 질환 · 전파경로 · 성접촉, 수직감염, 혈액을 통한 감염으로 전파됨 · 기 또는 2기 매독환자의 성 …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한 번 걸리면 흔적이 무조건 남는 질병, 접촉만으로도 전염이 될 수 있다?-매독의 증상과 치료방법-

  • Source: Youtube
  • Views: 98104
  • Date: 49 minute ago
  • Download: 14154
  • Likes: 2334
  • Dislikes: 1
See also  톱 765 구글 어스 로드 뷰 업데이트 91 분 전

감염병 누리집

정의

○ 매독균(Treponema pallidum)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성기 및 전신 질환

임상적 특징

○ 전파경로

⊙ 성접촉, 수직감염, 혈액을 통한 감염으로 전파됨

⊙ 1기 또는 2기 매독환자의 성접촉시에 약 50%가 감염됨

○ 임상증상

⊙ 1기 매독 : 경성하감(chancre)이 특징적 병변으로, 균이 침입한 부위에 통증이 없는 구진이나 궤양이 발생하여 2주 내지 6주 후에 자연 소실됨

⊙ 2기 매독

○ 감염 6주 내지 6개월 후에 발생함

○ 열, 두통, 권태감, 피부병변(반점, 구진, 농포성 매독진, 편평 콘딜롬), 림프절 종대 등을 보임

⊙ 3기 매독

○ 고무종(gumma) : 피부, 뼈, 간 등을 침범함

○ 심혈관 매독 : 주로 상행 대동맥을 침범함

○ 신경 매독 : 무증상 매독, 뇌막혈관 매독, 척수로, 진행마비 등을 보임

⊙ 잠복 매독

○ 조기 잠복 매독 : 감염 후 1년 이내로 감염성이 높은 시기임

○ 후기 잠복 매독 : 감염 후 1년 이상 경과한 경우

⊙ 선천성 매독

○ 대개 임신 4개월 후에 감염이 발생함

○ 조기 선천성 매독 : 생후 2년 내에 발병하며, 성인의 2기매독과 비슷한 양상을 보임

○ 후기 선천성 매독 : 생후 2년 후에 발병하며 Hutchinson 치아, 간질성 결막염, 군도 정강이 (saber shins) 등을 보임

진단 신고 기준

▣ 신고범위 : 환자

▣ 신고를 위한 진단기준

○ 환자

– 1기 ․ 2기 매독에 부합되는 임상증상을 나타내면서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에 따라 감염병병원체 감염이 확인된 사람

– 선천성 매독에 부합되는 임상증상을 나타내면서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에 따라 감염병병원체 감염이 확인된 사람

▣ 임상증상

① 1기 매독 : 경성하감(chancre)이 특징적 병변으로, 균이 침입한 부위에 통증이 없는 구진이나 궤양이 발생하여 2주 내지 6주 후에 자연

소실됨

② 2기 매독

– 감염 6주 내지 6개월 후에 발생함

– 열, 두통, 권태감, 피부병변(반점, 구진, 농포성 매독진, 편평 콘딜롬), 림프절 종대 등을 보임

③ 선천성 매독

– 대개 임신 4개월 후에 감염이 발생함

– 조기 선천성 매독 : 생후 2년 내에 발병하며, 성인의 2기매독과 비슷한 양상을 보임

– 후기 선천성 매독 : 생후 2년 후에 발병하며 Hutchinson 치아, 간질성 결막염, 군도 정강이(saber shins) 등을 보임

▣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

○ 1기·2기 매독

­ 검체(경성하감 또는 편평콘딜롬과 같은 피부병변, 궤양부위 삼출액(농, 진물))에서 암시야현미경검사로 매독 균 검출

­ 검체(혈액, 뇌척수액)에서 트레포네마검사 양성

­ 검체(경성하감 또는 편평콘딜롬과 같은 피부병변, 궤양부위 삼출액(농, 진물), 혈액)에서 특이 유전자 검출

○ 선천성 매독

­ 검체(태반, 제대, 피부병변, 림프절, 제대혈)에서 암시야현미경검사로 매독균 검출

­ 검체(혈액, 뇌척수액)에서 트레포네마검사 양성

­ 검체(태반, 제대, 피부병변, 림프절, 제대혈)에서 특이 유전자 검출

▣ 신고시기 : 7일 이내

▣ 신고방법 : 감염병 발생 신고서를 작성하여 관할 보건소로 팩스 또는 웹(http://is.cdc.go.kr)의 방법으로 신고

* 사망(검안) 신고는 감염병환자등 사망(검안) 신고서, 병원체검사결과 신고는 병원체 검사결과 신고서를 작성하여 추가 신고

매독 – 간단한 자가검진 –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

정확한 진단은 의사에게 받으시기 바랍니다.

해당 자가진단은 참고용으로 이용하시고

검사전 증상에 대한 간단한 자가검진

매독의 임상 증상 [ 후천성 매독 ] 1. 조기 매독 1기 매독 매독의 초기증세는 피부궤양이다. 이 증세는 감염후 2-4주의 시기에 나타난다.

  • Source: www.dcmc.co.kr
  • Views: 82014
  • Publish date: 28 minute ago
  • Downloads: 27744
  • Likes: 5278
  • Dislikes: 3
  • Title Website: 매독 – 간단한 자가검진 –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
  • Description Website: 매독의 임상 증상 [ 후천성 매독 ] 1. 조기 매독 1기 매독 매독의 초기증세는 피부궤양이다. 이 증세는 감염후 2-4주의 시기에 나타난다.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성기에 구내염 같은 게 생겼어요…” 외음부에도 궤양이 생길 수 있나요? | 외음부궤양 매독

  • Source: Youtube
  • Views: 49919
  • Date: 57 minute ago
  • Download: 6272
  • Likes: 2130
  • Dislikes: 5

검사전 증상에 대한 간단한 자가검진

해당 자가진단은 참고용으로 이용하시고

정확한 진단은 의사에게 받으시기 바랍니다.

매독 Syphilis | 건강정보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3 thg 11, 2020 — 1기 매독 이후 몇 주 이내에 몸통부터 분홍빛이 도는 울퉁불퉁한 피부 발진이 나타나요. 발진이 몸 전체를 덮는 일도 있어요. 하지만 보통 가렵지는 …

  • Source: medicine.yonsei.ac.kr
  • Views: 34663
  • Publish date: 16 minute ago
  • Downloads: 19527
  • Likes: 5973
  • Dislikes: 4
  • Title Website: 매독 Syphilis | 건강정보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 Description Website: 3 thg 11, 2020 — 1기 매독 이후 몇 주 이내에 몸통부터 분홍빛이 도는 울퉁불퉁한 피부 발진이 나타나요. 발진이 몸 전체를 덮는 일도 있어요. 하지만 보통 가렵지는 …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혹시 이게 성병? 의심되신다면(성병의 증상과 검사) #요도염#에이즈#매독#HPV#헤르페스

  • Source: Youtube
  • Views: 98151
  • Date: 2 hours ago
  • Download: 12297
  • Likes: 8309
  • Dislikes: 7

[건강 Q&A] “성관계 후 매독일까 두려워…” 증상에서 검사 …

7 thg 7, 2021 — 일반적인 성병의 증상은 요도 분비물, 소변 시의 통증, 성기 궤양, 서혜부 및 회음부 불편감, …

  • Source: www.hidoc.co.kr
  • Views: 109241
  • Publish date: 26 minute ago
  • Downloads: 15628
  • Likes: 1827
  • Dislikes: 9
  • Title Website: [건강 Q&A] “성관계 후 매독일까 두려워…” 증상에서 검사 …
  • Description Website: 7 thg 7, 2021 — 일반적인 성병의 증상은 요도 분비물, 소변 시의 통증, 성기 궤양, 서혜부 및 회음부 불편감, …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성병, 매독이 무서운 이유 | 서울대병원 최평균 교수

  • Source: Youtube
  • Views: 103906
  • Date: 9 minute ago
  • Download: 24708
  • Likes: 6694
  • Dislikes: 5

매독 [syphilis] – N의학정보 | 서울대학교병원

검사 매독의 선별검사로는 비매독균 검사인 VDRL(Venereal Disease Research Laboratory) 검사와 RPR(Rapid Plasma Reagin) 검사가 있다. 이 검사들은 결과를 빨리 알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매독이 아니지만 검사 결과가 양성으로 나오는 위양성(false positive)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여러 가지 바이러스 감염증이나 임파종, 결핵, 결체조직 질환, 임신 등의 경우에서 위양성 결과가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선별 검사에 양성이 나온 경우에는 매독균에 대한 특이적 검사인 FTA-ABS(Fluorescent Treponemal Antibody Absorption) 검사나 TPHA(Treponema pallidum Hemagglutination assay) 검사로 확인을 해야 한다. 이러한 검사들은 매독이 완전히 치료되어 추가적인 치료가 필요 없는 경우에도 계속 양성으로 남아 있을 수 있다.

경과/합병증 매독균에 감염되면 10~90일 정도의 잠복기(평균 21일)가 지나면 1기 매독이 발생한다. 1기 매독에 의한 증상은 저절로 호전되지만 1~6개월 정도 지나면 2기 매독의 증상이 나타난다. 이후 매독의 증상이 겉으로 나타나지 않는 잠복 감염 상태로 진행하는데, 초기 1~2년을 초기 잠복감염, 그 이후를 후기 잠복감염이라 부른다. 시간이 경과하여 3기 또는 후발 매독의 증상이 나타나는데, 10% 정도의 환자에서 심혈관계 합병증이 발생하고 7% 정도의 환자에서 신경 매독이 나타난다.

See also  톱 122 포켓몬 소드 실드 차이 업데이트 13 일 전

치료 치료는 환자가 매독의 어느 단계에 해당하는지에 따라 결정된다. 1기, 2기, 그리고 초기 잠복매독의 경우 페니실린 근육주사를 한번 맞는 것으로 치료가 가능하다. 후기 잠복매독인 경우 중추신경계 침범이 없다면 일주일에 한번씩 페니실린을 주사하는 치료법을 3주 동안 시행한다. 뇌척수액 침범이 있는 신경 매독의 경우에는 수용성 페니실린을 정맥으로 주사하는 치료법을 10~14일간 시행한다. 환자가 페니실린에 의한 과민 반응이 있는 경우에는 적절한 대체 요법을 사용한다.

1기 매독의 주요 증상은 통증이 없는 피부궤양(chancre)이다. 대부분의 경우 한 개의 궤양만 관찰되지만 여러 개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매독균에 접촉된 후 궤양이 …

  • Source: www.snuh.org
  • Views: 7129
  • Publish date: 6 hours ago
  • Downloads: 8886
  • Likes: 3605
  • Dislikes: 8
  • Title Website: 매독 [syphilis] – N의학정보 | 서울대학교병원
  • Description Website: 1기 매독의 주요 증상은 통증이 없는 피부궤양(chancre)이다. 대부분의 경우 한 개의 궤양만 관찰되지만 여러 개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매독균에 접촉된 후 궤양이 …

세부 정보를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매독증상

  • Source: Youtube
  • Views: 74677
  • Date: 2 hours ago
  • Download: 92688
  • Likes: 5255
  • Dislikes: 7

서울대학교병원

정의 매독은 스피로헤타(spirochete)과에 속하는 세균인 트레포네마 팔리듐균(Treponema pallidum)에 의해 발생하는 성병이다. 매독균은 성관계에 의해 주로 전파되지만 모체에서 태아에게로 전파되는 경우도 있다. 병의 전파는 성관계를 통해 이루어지지만 전반적인 신체 장기에 염증성 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

증상 1기 매독의 주요 증상은 통증이 없는 피부궤양(chancre)이다. 대부분의 경우 한 개의 궤양만 관찰되지만 여러 개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매독균에 접촉된 후 궤양이 발생할 때까지는 10일에서 90일 정도의 시간이 걸린다. 궤양은 단단하고 둥글며 크기가 작고 통증이 없다.

이 궤양은 매독균이 피부접촉을 통해 들어간 그 부위에 생긴다. 주로 발생하는 곳은 성기 부위나 항문 주위 등이다. 통증이 없는 궤양은 3~6주 정도 지속되며 특별한 치료 없이도 자연적으로 호전된다. 그러나 매독에 대한 치료를 시행하지 않으면 2기 매독으로 진행하게 된다.

2기 매독은 피부의 발진과 점막의 병적인 증상을 특징으로 한다. 발진은 1기 매독의 증상인 통증이 없는 궤양이 치유되면서 나타나거나 또는 치유된 후 수주가 지난 후에 나타난다. 발진은 전신에 걸쳐 발생하는데, 특히 손바닥과 발바닥에 나타나는 발진은 매독에 특징적인 증상이다. 발진 이외에도 발열, 눌렀을 때 아프지 않은 임파절 종대, 인후통, 두통, 체중 감소, 근육통 등의 증상이 함께 나타날 수 있다.

잠복 매독은 1기와 2기 매독의 증상이 사라진 후에 시작되며 치료를 하지 않는 경우 체내에 매독균이 계속 남아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잠복 상태는 수년까지도 지속될 수 있다. 3기 또는 후발 매독의 증상은 주로 내부 장기의 손상으로 나타나며, 중추신경계, 눈, 심장, 대혈관, 간, 뼈, 관절 등 다양한 장기에 매독균이 침범하여 발생한다.

중추 신경계를 침범하는 신경매독의 경우 증상이 없거나, 뇌막 자극 증상, 뇌혈관 증상 등이 발생할 수 있다.

– 1기 매독: 세균의 침범부위에 발생하는 무통성 궤양

– 2기 매독: 피부 발진, 점막의 병적인 변화

– 3기 혹은 후발 매독: 다양한 내부 장기 침범. 눈, 심장, 대혈관, 뼈, 관절 등

– 신경매독: 뇌막 자극, 뇌혈관 침범

원인 성적 접촉에 의해 전파되는 트레포네마 팔리듐균(Treponema pallidum)이 매독의 원인균이다. 매독균으로 인해 생성된 피부궤양에 직접 접촉할 때 매독균에 감염된다. 피부궤양은 성기 부위, 질, 항문, 직장 등에 잘 발생하지만 입술, 구강 내에도 발생할 수 있다. 매독균은 임신한 여성에게서 태아로 전파될 수 있다. 그러나 화장실 사용, 문 손잡이, 수영장, 욕조, 식기 등을 통해서는 전파되지 않는다.

관련신체기관 성기, 피부, 점막 부위, 심장 및 대동맥, 눈, 뼈, 신경계, 구강 등

진단 매독의 진단을 위한 검사 방법으로는 균을 직접 관찰하는 검사 방법과 혈청 검사법이 있다. 균에 대한 검사는 무통성 궤양부위에서 얻어진 검체를 암시야 현미경으로 직접 관찰하여 매독균을 확인하는 것이다. 혈청검사는 선별검사와 매독균에 특이적인 확진검사가 있다.

검사 매독의 선별검사로는 비매독균 검사인 VDRL(Venereal Disease Research Laboratory) 검사와 RPR(Rapid Plasma Reagin) 검사가 있다. 이 검사들은 결과를 빨리 알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매독이 아니지만 검사 결과가 양성으로 나오는 위양성(false positive)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여러 가지 바이러스 감염증이나 임파종, 결핵, 결체조직 질환, 임신 등의 경우에서 위양성 결과가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선별 검사에 양성이 나온 경우에는 매독균에 대한 특이적 검사인 FTA-ABS(Fluorescent Treponemal Antibody Absorption) 검사나 TPHA(Treponema pallidum Hemagglutination assay) 검사로 확인을 해야 한다. 이러한 검사들은 매독이 완전히 치료되어 추가적인 치료가 필요 없는 경우에도 계속 양성으로 남아 있을 수 있다.

신경매독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뇌척수액 검사를 해야 한다.

치료 치료는 환자가 매독의 어느 단계에 해당하는지에 따라 결정된다. 1기, 2기, 그리고 초기 잠복매독의 경우 페니실린 근육주사를 한번 맞는 것으로 치료가 가능하다. 후기 잠복매독인 경우 중추신경계 침범이 없다면 일주일에 한번씩 페니실린을 주사하는 치료법을 3주 동안 시행한다. 뇌척수액 침범이 있는 신경 매독의 경우에는 수용성 페니실린을 정맥으로 주사하는 치료법을 10~14일간 시행한다. 환자가 페니실린에 의한 과민 반응이 있는 경우에는 적절한 대체 요법을 사용한다.

경과/합병증 매독균에 감염되면 10~90일 정도의 잠복기(평균 21일)가 지나면 1기 매독이 발생한다. 1기 매독에 의한 증상은 저절로 호전되지만 1~6개월 정도 지나면 2기 매독의 증상이 나타난다. 이후 매독의 증상이 겉으로 나타나지 않는 잠복 감염 상태로 진행하는데, 초기 1~2년을 초기 잠복감염, 그 이후를 후기 잠복감염이라 부른다. 시간이 경과하여 3기 또는 후발 매독의 증상이 나타나는데, 10% 정도의 환자에서 심혈관계 합병증이 발생하고 7% 정도의 환자에서 신경 매독이 나타난다.

예방방법 가장 확실한 방법은 매독 환자와의 성적인 접촉을 피하는 것이다. 궤양 부위를 덮을 수 있는 라텍스 콘돔을 사용하는 것이 예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주제에 대한 관련 정보 매독 초기 증상

Bing에서 매독 초기 증상 주제에 대한 최신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주제에 대한 기사 보기를 마쳤습니다 매독 초기 증상. 이 기사가 유용했다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이 주제와 관련하여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매독 초기 증상 남자 매독 증상 사진, 여자 매독 증상 사진, 매독 반점 특징, 매독 증상 가려움, 매독 초기 사진, 매독 걸리는 이유, 매독 완치율, 매독 1기 증상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