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에 대한 기사를 찾고 있습니까 “국민 지원금 대상자“? 웹사이트에서 이 주제에 대한 전체 정보를 제공합니다 https://c2.chewathai27.com/ 탐색에서: https://c2.chewathai27.com//blog/. 바로 아래에서 이 주제에 대한 자세한 답변을 찾을 수 있습니다. 찾고 있는 주제를 더 잘 이해하려면 끝까지 읽으십시오. 더 많은 관련 검색어: 국민 지원금 대상자
상생 국민지원금 대상자 96.7% 지원금 수령 – 행정안전부
홍보영상 □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사업이란? ○ 행정안전부와 지방자치단체가 함께 협력하여 지역기업의 구인난을 해소하고, 청년고용을 창출하는 사업입니다. ○ 1단계 사업기간(’18.~’21.) 동안 총 11.7만명의 청년일자리 창출을 지원하였으며, 현재는 2단계 사업기간(’22.~’24.)으로 지속가능한 청년일자리 7.8만명 이상 창출 지원을 목표하고 있습니다. □ 누가 지원할 수 있나요? ○ 전국의 만 39세 이하 미취업(또는 이에 준하는 자) 청년이 참여 가능하며, 사업기간 동안 해당 지자체의 주민등록을 유지하면 됩니다. □ 지원내용은 무엇인가요? ○ 사업유형(지역혁신형, 상생기반대응형, 지역포용형 등)에 따라 청년이 지역에서 취·창업시 인건비, 직무교육, 자격증취득비 등 다양한 방면으로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 참여방법은 어떻게 되나요? ○ 지방자치단체(시도 및 시군구) 홈페이지에서 모집공고문을 확인한 후 안내에 따라 신청하면 됩니다.
□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사업이란? ○ 행정안전부와 지방자치단체가 함께 협력하여 지역기업의 구인난을 해소하고, 청년고용을 창출하는 사업입니다. ○ 1단계 사업기간(’18.~’21.) 동안 총 11.7만명의 청년일자리 창출을 지원하였으며, 현재는 2단계 사업기간(’22.~’24.)으로 지속가능한 청년일자리 7.8만명 이상 창출 지원을 목표하고 있습니다. □ 누가 지원할 수 있나요? ○ 전국의 만 39세 이하 미취업(또는 이에 준하는 자) 청년이 참여 가능하며, 사업기간 동안 해당 지자체의 주민등록을 유지하면 됩니다. □ 지원내용은 무엇인가요? ○ 사업유형(지역혁신형, 상생기반대응형, 지역포용형 등)에 따라 청년이 지역에서 취·창업시 인건비, 직무교육, 자격증취득비 등 다양한 방면으로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 참여방법은 어떻게 되나요? ○ 지방자치단체(시도 및 시군구) 홈페이지에서 모집공고문을 확인한 후 안내에 따라 신청하면 됩니다.
KTV 뉴스 국정을 더 촘촘히 살펴봅니다. 보도자료 브리핑입니다. -이용 가능 민간인증서도 12종으로 확대- 임보라 기자> 행정안전부 소식으로 시작합니다. 카카오·네이버 등 ‘민간 인증서’가 적용되는 공공 웹사이트가 기존 55개에서 110개로 대폭 확대됩니다. 확대 적용되는 공공웹사이트 대상에는 대법원의 ‘가족관계등록시스템’, 경찰청의 ‘교통민원24’ 등이 포함돼 국민 편의성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되는데요. 선택 가능한 민간인증서도 5종에서 12종으로 다양해졌습니다. 한편, 행안부는 기관마다 간편인증 시스템을 각각 설치·운영해야 했던 ‘설치형’ 방식 외에, 하나의 간편인증시스템과 연계해주는 ‘서비스 중계형’ 방식을 추가해 기관들의 부담을 줄였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6 thg 10, 2021 — 상생 국민지원금 지급을 시작한 지 29일 만에 대상자의 96.7%가 지원금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신청 시작일인 지난달 6일부터 …
- Source: www.mois.go.kr
- Views: 93063
- Publish date: 4 hours ago
- Downloads: 79660
- Likes: 8477
- Dislikes: 6
- Title Website: 상생 국민지원금 대상자 96.7% 지원금 수령 – 행정안전부
- Description Website: 6 thg 10, 2021 — 상생 국민지원금 지급을 시작한 지 29일 만에 대상자의 96.7%가 지원금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신청 시작일인 지난달 6일부터 …
- Source: Youtube
- Views: 33519
- Date: 2 minute ago
- Download: 101987
- Likes: 1721
- Dislikes: 10
상생 국민지원금 대상자 96.7% 지원금 수령
-데이터 기반의 첨단기술을 활용한 안전하고 편안한 정부청사 구현- 임보라 기자> 올해부터 정부청사가 첨단장비와 기술을 활용해 안전하고 편리하게 바뀝니다. 행정안전부는 올해 데이터 기반 지능형 정부청사를 조성할 계획이라고 전했는데요. 먼저 모바일 공무원증과 AI 얼굴인식 기술을 연계한 출입 시스템을 구축해 청사 직원의 경우 공무원증 태그 없이 출입이 가능하도록 합니다. 방문객 스스로 무인단말기를 이용해 방문증을 발급받을 수 있게 하는 ‘무인 방문자 안내 시스템’도 시범 운영됩니다. 행안부는 청사 시설물 이용과 관련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보다 안전한 보안체계가 구축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지금까지 보도자료 브리핑이었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뉴스 -데이터 기반의 첨단기술을 활용한 안전하고 편안한 정부청사 구현- 임보라 기자> 올해부터 정부청사가 첨단장비와 기술을 활용해 안전하고 편리하게 바뀝니다. 행정안전부는 올해 데이터 기반 지능형 정부청사를 조성할 계획이라고 전했는데요. 먼저 모바일 공무원증과 AI 얼굴인식 기술을 연계한 출입 시스템을 구축해 청사 직원의 경우 공무원증 태그 없이 출입이 가능하도록 합니다. 방문객 스스로 무인단말기를 이용해 방문증을 발급받을 수 있게 하는 ‘무인 방문자 안내 시스템’도 시범 운영됩니다. 행안부는 청사 시설물 이용과 관련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보다 안전한 보안체계가 구축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지금까지 보도자료 브리핑이었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국정을 더 촘촘히 살펴봅니다. 보도자료 브리핑입니다. -이용 가능 민간인증서도 12종으로 확대- 임보라 기자> 행정안전부 소식으로 시작합니다. 카카오·네이버 등 ‘민간 인증서’가 적용되는 공공 웹사이트가 기존 55개에서 110개로 대폭 확대됩니다. 확대 적용되는 공공웹사이트 대상에는 대법원의 ‘가족관계등록시스템’, 경찰청의 ‘교통민원24’ 등이 포함돼 국민 편의성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되는데요. 선택 가능한 민간인증서도 5종에서 12종으로 다양해졌습니다. 한편, 행안부는 기관마다 간편인증 시스템을 각각 설치·운영해야 했던 ‘설치형’ 방식 외에, 하나의 간편인증시스템과 연계해주는 ‘서비스 중계형’ 방식을 추가해 기관들의 부담을 줄였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뉴스 국정을 더 촘촘히 살펴봅니다. 보도자료 브리핑입니다. -이용 가능 민간인증서도 12종으로 확대- 임보라 기자> 행정안전부 소식으로 시작합니다. 카카오·네이버 등 ‘민간 인증서’가 적용되는 공공 웹사이트가 기존 55개에서 110개로 대폭 확대됩니다. 확대 적용되는 공공웹사이트 대상에는 대법원의 ‘가족관계등록시스템’, 경찰청의 ‘교통민원24’ 등이 포함돼 국민 편의성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되는데요. 선택 가능한 민간인증서도 5종에서 12종으로 다양해졌습니다. 한편, 행안부는 기관마다 간편인증 시스템을 각각 설치·운영해야 했던 ‘설치형’ 방식 외에, 하나의 간편인증시스템과 연계해주는 ‘서비스 중계형’ 방식을 추가해 기관들의 부담을 줄였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사업이란? ○ 행정안전부와 지방자치단체가 함께 협력하여 지역기업의 구인난을 해소하고, 청년고용을 창출하는 사업입니다. ○ 1단계 사업기간(’18.~’21.) 동안 총 11.7만명의 청년일자리 창출을 지원하였으며, 현재는 2단계 사업기간(’22.~’24.)으로 지속가능한 청년일자리 7.8만명 이상 창출 지원을 목표하고 있습니다. □ 누가 지원할 수 있나요? ○ 전국의 만 39세 이하 미취업(또는 이에 준하는 자) 청년이 참여 가능하며, 사업기간 동안 해당 지자체의 주민등록을 유지하면 됩니다. □ 지원내용은 무엇인가요? ○ 사업유형(지역혁신형, 상생기반대응형, 지역포용형 등)에 따라 청년이 지역에서 취·창업시 인건비, 직무교육, 자격증취득비 등 다양한 방면으로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 참여방법은 어떻게 되나요? ○ 지방자치단체(시도 및 시군구) 홈페이지에서 모집공고문을 확인한 후 안내에 따라 신청하면 됩니다.
홍보영상 □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사업이란? ○ 행정안전부와 지방자치단체가 함께 협력하여 지역기업의 구인난을 해소하고, 청년고용을 창출하는 사업입니다. ○ 1단계 사업기간(’18.~’21.) 동안 총 11.7만명의 청년일자리 창출을 지원하였으며, 현재는 2단계 사업기간(’22.~’24.)으로 지속가능한 청년일자리 7.8만명 이상 창출 지원을 목표하고 있습니다. □ 누가 지원할 수 있나요? ○ 전국의 만 39세 이하 미취업(또는 이에 준하는 자) 청년이 참여 가능하며, 사업기간 동안 해당 지자체의 주민등록을 유지하면 됩니다. □ 지원내용은 무엇인가요? ○ 사업유형(지역혁신형, 상생기반대응형, 지역포용형 등)에 따라 청년이 지역에서 취·창업시 인건비, 직무교육, 자격증취득비 등 다양한 방면으로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 참여방법은 어떻게 되나요? ○ 지방자치단체(시도 및 시군구) 홈페이지에서 모집공고문을 확인한 후 안내에 따라 신청하면 됩니다.
‘국민지원금’ 9월 6일부터 지급…1인가구는 연소득 5800만원 …
고규창 행정안전부 차관이 30일 정부서울청사 별관 브리핑실에서 코로나 상생 국민지원금을 오는 9월 6일부터 지급을 시작한다는 코로나 상생 국민지원금 세부 시행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고규창 행정안전부 차관은 30일 정부서울청사 별관 브리핑실에서 코로나 상생 국민지원금 시행계획을 발표하며 “보다 두터운 지원을 위해 1인가구와 맞벌이 가구에 대해서는 우대 기준을 적용해 대상을 확대하는 것으로 결정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아울러 건강보험료 기준을 충족하더라도 고액의 자산을 보유한 경우에는 지원대상에서 제외하는데, 구체적으로, 가구원의 지난해 재산세 과세표준 합계액이 9억원을 초과하거나 종합소득 신고분 금융소득 합계액이 2000만원을 넘는 경우로 설정했다.
국민지원금 지급 대상자는 신용카드 및 체크카드 충전, 지역사랑상품권, 선불카드 중 선택 신청하는데, 2002년 12월 31일 이전 출생한 성인은 개인별로 신청해 역시 개인 …
- Source: www.korea.kr
- Views: 32346
- Publish date: 18 minute ago
- Downloads: 25046
- Likes: 3150
- Dislikes: 2
- Title Website: ‘국민지원금’ 9월 6일부터 지급…1인가구는 연소득 5800만원 …
- Description Website: 국민지원금 지급 대상자는 신용카드 및 체크카드 충전, 지역사랑상품권, 선불카드 중 선택 신청하는데, 2002년 12월 31일 이전 출생한 성인은 개인별로 신청해 역시 개인 …
2023년 바뀐다!! 전국민 대상 지원금•혜택•정책 20가지 중 몇개나 받나? 모르면 손해봅니다!!!
- Source: Youtube
- Views: 2009
- Date: 7 hours ago
- Download: 96420
- Likes: 2961
- Dislikes: 2
‘국민지원금’ 9월 6일부터 지급…1인가구는 연소득 5800만원 이하 대상
고규창 행정안전부 차관이 30일 정부서울청사 별관 브리핑실에서 코로나 상생 국민지원금을 오는 9월 6일부터 지급을 시작한다는 코로나 상생 국민지원금 세부 시행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정부가 오는 9월 6일부터 본인부담 건강보험료 가구별 합산액을 기준으로 코로나 상생 국민지원금(이하 ‘국민지원금’)을 1인당 25만 씩 지급한다.
고규창 행정안전부 차관은 30일 정부서울청사 별관 브리핑실에서 코로나 상생 국민지원금 시행계획을 발표하며 “보다 두터운 지원을 위해 1인가구와 맞벌이 가구에 대해서는 우대 기준을 적용해 대상을 확대하는 것으로 결정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러면서 “가구별 지원 금액의 상한을 폐지해 1인당 25만원을 지급할 계획”이라며 “올해에는 4인 가구 100만원, 5인 가구는 125만원, 6인 가구는 150만원으로 가구원 수에 따라 비례해 지급하게 된다”고 덧붙였다.
이에 따라 해당자는 오는 9월 6일부터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고, 이어 같은 달 13일부터는 읍면동 주민센터나 카드와 연계된 은행창구 방문을 통해 오프라인으로도 지원금 신청이 가능하다.
국민지원금은 2021년 6월 부과 본인부담 건강보험료 가구별 합산액이 선정기준 이하인 경우를 지원대상으로 한다.
또한 1인 가구와 맞벌이 가구는 가구별 특성을 고려해 특례를 적용, 1인 가구의 경우 고령자와 비경제활동 인구가 많은 특성을 고려해 직장가입자 기준 연소득 5800만원에 해당하는 건강보험료로 상향 조정했다.
이어 가구 내 소득원이 2인 이상인 맞벌이 가구는 가구원 수를 1명 추가한 선정기준표를 적용하되, 지역가입자는 지난해 종합소득이 300만원 이상인 경우를 소득원으로 본다.
아울러 건강보험료 기준을 충족하더라도 고액의 자산을 보유한 경우에는 지원대상에서 제외하는데, 구체적으로, 가구원의 지난해 재산세 과세표준 합계액이 9억원을 초과하거나 종합소득 신고분 금융소득 합계액이 2000만원을 넘는 경우로 설정했다.
지원대상 및 지급규모
국민지원금은은 지난 6월 30일 기준 주민등록법상 세대별 주민등록표에 함께 등재된 사람을 하나의 가구로 구성하되, 주소지가 다른 경우라도 건강보험법상 피부양자인 배우자와 자녀는 하나의 경제공동체로 보아 가입자와 동일한 가구로 본다.
다만 주소지가 다른 경우 부모는 피부양자라 하더라도 다른 가구로 보며, 맞벌이 부부는 별도의 가구로 보되 부부의 합산보험료가 유리한 경우 동일한 가구로 인정할 수 있다.
또한 국내에 거주하는 국민을 대상으로 지급하지만 재외국민은 주민등록표에 등재되어 있으면서 국민과 동일한 건강보험 자격을 보유한 경우에는 지급한다.
아울러 외국인은 내국인이 1인 이상 포함된 주민등록표에 등재돼 있고 국민과 동일한 건강보험 자격을 보유한 경우 지급대상에 포함한다.
이와 함께 의료급여 수급자도 가구원으로 포함해 판단하며, 대상 가구가 지급 제외된 경우에도 의료급여 수급자는 지급대상으로 포함한다.
한편 국민지원금 지급대상 여부와 신청방법 등에 대해 사전에 알림을 받고 싶은 국민들은 30일부터 국민비서 알림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비스를 요청한 국민에게는 신청일 하루 전날인 9월 5일 오전부터 순차적으로 안내하는데, 지급 대상 여부는 오는 9월 6일 오전 9시부터 카드사 홈페이지·앱·콜센터·ARS, 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앱 등에서 조회할 수 있다.
대상자 조회 및 알림 서비스 신청
국민지원금 지급 대상자는 신용카드 및 체크카드 충전, 지역사랑상품권, 선불카드 중 선택 신청하는데, 2002년 12월 31일 이전 출생한 성인은 개인별로 신청해 역시 개인별로 지급받는다.
신용·체크카드 충전을 원하는 국민은 9월 6일부터 본인이 사용하는 카드사의 홈페이지나 앱을 통해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으며, 13일부터는 카드와 연계된 은행에서 오프라인 신청도 가능하다.
충전은 신청일 다음날 이뤄지는데, 충전된 지원금은 기존의 카드사 포인트와는 구별되며 사용한 금액은 카드 청구액에서 자동 차감된다.
한편 지역사랑상품권 모바일형·카드형으로 받으려면 9월 6일부터 주소지를 관할하는 지자체의 지역사랑상품권 앱 또는 홈페이지에서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신청일 다음날 본인이 소지한 지역사랑상품권에 충전되며 기존의 지역사랑상품권 잔액과는 구별돼 우선 사용된다.
오는 9월 13일부터는 주소지를 관할하는 읍면동 주민센터에 방문해도 신청가능한데, 이때 읍면동 주민센터에서는 지류형 지역사랑상품권 및 선불카드가 지급된다.
특히 대상자 조회와 온·오프라인 신청 모두 시행 첫 주에는 출생년도 끝자리에 따라 요일제를 적용할 예정이며, 첫 주 이외에는 요일제와 관계없이 모두 조회 및 신청이 가능하다.
다만 읍면동 주민센터는 지자체 상황에 따라 요일제가 연장될 수 있는데, 이에 오는 10월 29일까지 두 달간 신청하면 되고 신청하지 않은 금액은 국가와 자치단체로 환수될 예정이다.
지원금 신청방법 및 일정
한편 국민지원금은 코로나 장기화에 따른 피해지원과 함께 지역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사용처와 사용기한이 정해져 있다.
이에 특별시·광역시에 주소지가 있는 국민은 이곳에 소재한 지역사랑상품권 가맹점에서, 도에 주소지가 있다면 세부 주소지에 해당하는 시·군 내의 지역사랑상품권 가맹점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전통시장·동네 슈퍼마켓·식당·미용실·약국·안경점·의류점·학원·병원·프랜차이즈 가맹점 등에서 사용이 가능한데, 지역사랑상품권 앱과 자치단체 홈페이지 또는 국민지원금 사용처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반면 백화점과 복합쇼핑몰, 대형마트 및 기업형 슈퍼마켓, 면세점, 유흥업종 및 사행산업, 대형 전자판매점과 직영매장, 프랜차이즈 직영 매장 및 대형 외국계 매장, 대형 온라인몰, 홈쇼핑, 대형 배달앱 등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하다.
국민지원금은 12월 31일까지 약 4개월간 사용할 수 있으며, 기간 내에 사용하지 않은 잔액은 국가와 자치단체로 환수될 예정이다.
아울러 정부는 지급대상자 선정결과에 이의가 있는 국민들을 위해 별도의 이의신청 절차를 운영할 예정으로, 혼인이나 출산 등으로 가족관계가 변동되었거나 건강보험료 조정이 필요한 경우 이의신청을 할 수 있다.
특히 이의신청은 지난해와 달리 온라인으로도 가능한데, 국민지원금 신청이 개시되는 오는 9월 6일부터 온라인 국민신문고 또는 주소지를 관할하는 읍면동 주민센터에서 접수를 받는다.
접수기간은 증빙 부담 등을 고려해 지원금 신청기간보다 2주 연장한 오는 11월 12일까지로 운영하고, 접수된 이의신청은 처리가 완료되면 개별적으로 통보할 계획이다.
사용기간 및 대상
이날 고 차관은 “코로나19 장기화로 고생하시는 국민들의 어려움을 조금이라도 덜어드리기 위해 국민지원금 대책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특히 지난해 긴급재난지원금을 지급받고 사용하는 과정에서 불편을 겪었던 사항들을 개선하는 데에 주안점을 두었다”며 “국민 여러분의 어려움을 조금이라도 빨리 완화할 수 있도록 신속하고, 차질없는 집행에 주력하겠다”고 강조했다.
☞ 국민지원금 사용처 누리집 https://국민지원금사용처.kr
문의 : 행정안전부 재정정책과(044-205-3724), 기획재정부 복지예산과(044-215-7511), 기획재정부 행정예산과(044-215-7411), 보건복지부 급여기준과(044-202-3145)
‘1인 25만원’ 국민지원금…대상자부터 신청방법까지 | 서울시
가구 내 소득원이 2인 이상인 맞벌이 가구는 가구원이 한 명 더 있는 것으로 간주해 선정기준표를 적용하되, 지역가입자는 2020년 종합소득이 300만 원 이상인 경우를 소득원으로 본다. 이에 따라 맞벌이 4인가구 직장가입자는 39만 원, 지역가입자는 43만 원 이하면 지급 대상이 된다.
지급 대상자 선정 단위인 가구의 구성원은 2021년 6월 30일 기준 주민등록법상 세대별 주민등록표에 함께 등재된 사람이다. 주소지가 다른 경우라도 건강보험법상 피부양자인 배우자와 자녀는 하나의 경제공동체로 보아 가입자와 동일한 가구로 본다.
재외국민은 주민등록표에 등재돼 있으면서 국민과 동일한 건강보험 자격을 보유한 경우에는 지급한다. 외국인은 내국인이 1인 이상 포함된 주민등록표에 등재돼 있고 국민과 동일한 건강보험 자격을 보유한 경우 지급대상에 포함한다.
31 thg 8, 2021 — 정부가 국민 88%에게 1인당 25만 원씩 ‘코로나 상생 국민지원금(이하 국민지원금)’을 지급하겠다고 밝혔다. 국민지원금은 가구소득 하위 80%(중위소득 180 …
- Source: mediahub.seoul.go.kr
- Views: 34410
- Publish date: 53 minute ago
- Downloads: 104468
- Likes: 7339
- Dislikes: 5
- Title Website: ‘1인 25만원’ 국민지원금…대상자부터 신청방법까지 | 서울시
- Description Website: 31 thg 8, 2021 — 정부가 국민 88%에게 1인당 25만 원씩 ‘코로나 상생 국민지원금(이하 국민지원금)’을 지급하겠다고 밝혔다. 국민지원금은 가구소득 하위 80%(중위소득 180 …
(속보) 7월 지원금 발표!! 가구당 최대 207만원 지급!! 신청방법, 대상자 확인하세요!!
- Source: Youtube
- Views: 31268
- Date: 1 hours ago
- Download: 27803
- Likes: 7193
- Dislikes: 10
내 손안에 서울
1인 가구는 직장·지역 가입자 여부와 상관없이 6월 건강보험료가 17만 원 이하면 지원금을 받는다. 이는 연소득 5,800만 원 이하인 직장 가입자에 해당하는 건강보험료다.
가구 내 소득원이 2인 이상인 맞벌이 가구는 가구원이 한 명 더 있는 것으로 간주해 선정기준표를 적용하되, 지역가입자는 2020년 종합소득이 300만 원 이상인 경우를 소득원으로 본다. 이에 따라 맞벌이 4인가구 직장가입자는 39만 원, 지역가입자는 43만 원 이하면 지급 대상이 된다.
건강보험료 기준을 충족하더라도 가구원의 2020년 재산세 과세표준 합계액이 9억 원을 초과하거나, 2020년 종합소득 신고분 금융소득 합계액이 2,000만 원을 넘으면 고액 자산가로 분류해 지원대상에서 제외한다.
지급 대상자 선정 단위인 가구의 구성원은 2021년 6월 30일 기준 주민등록법상 세대별 주민등록표에 함께 등재된 사람이다. 주소지가 다른 경우라도 건강보험법상 피부양자인 배우자와 자녀는 하나의 경제공동체로 보아 가입자와 동일한 가구로 본다.
다만, 주소지가 다른 경우 ①부모는 피부양자라 하더라도 다른 가구로 보며, ②맞벌이 부부는 별도의 가구로 보되 부부의 합산보험료가 유리한 경우 동일한 가구로 인정할 수 있다.
재외국민은 주민등록표에 등재돼 있으면서 국민과 동일한 건강보험 자격을 보유한 경우에는 지급한다. 외국인은 내국인이 1인 이상 포함된 주민등록표에 등재돼 있고 국민과 동일한 건강보험 자격을 보유한 경우 지급대상에 포함한다.
상생 국민지원금(정부 긴급재난지원금) 신청 안내
❍ 피부양자로 등록된 자녀는 건강보험상 부양관계에 따라 전 배우자와 동일한 가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자녀의 실제 부양상황과 건강보험상 부양관계가 명백히 다른 경우 이의신청을 통해 조정이 가능합니다.
❍ 피부양자로 등록된 자녀는 건강보험상 부양관계에 따라 전 배우자와 동일한 가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자녀의 실제 부양상황과 건강보험상 부양관계가 명백히 다른 경우 이의신청을 통해 조정이 가능합니다.
❍ 신용·체크카드에 지원금을 신청하고 싶은 경우, 9월 6일로부터 충전을 희망하는 카드의 카드사 홈페이지·모바일앱·콜센터·ARS 및 카카오뱅크·카카오페이 앱을 통해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 대리 신청시 ①대리인 신분증, ②위임장, ③지급대상자-대리인의 관계에 대한 증빙서류(주민등록표 등본)를 지참하셔야 합니다. ❍ 단, 동일 세대원이 아닌 배우자 및 …
- Source: www.nyj.go.kr
- Views: 2562
- Publish date: 47 minute ago
- Downloads: 63626
- Likes: 5979
- Dislikes: 6
- Title Website: 상생 국민지원금(정부 긴급재난지원금) 신청 안내
- Description Website: ❍ 대리 신청시 ①대리인 신분증, ②위임장, ③지급대상자-대리인의 관계에 대한 증빙서류(주민등록표 등본)를 지참하셔야 합니다. ❍ 단, 동일 세대원이 아닌 배우자 및 …
6차 재난지원금 ‘1인 40만원’ 이렇게 드립니다!!
- Source: Youtube
- Views: 37855
- Date: 22 minute ago
- Download: 13045
- Likes: 9196
- Dislikes: 1
상생 국민지원금(정부 긴급재난지원금) 신청 안내
1. 국민지원금은 누가 받을 수 있나요? 더보기
❍ 2021.6.30.기준으로 주민등록상 주소를 두고 있어야 하며, 건강보험료 기준(2021.6월분) 가구 소득 하위 80%이하인 경우 가능합니다.
❍ 단, 맞벌이 가구와 1인 가구는 별도 기준을 적용합니다.
2. 국민지원금 지급액은 얼마인가요? 더보기
❍ 국민지원금은 1인당 25만원입니다.
❍ 성인 개인별 지급이며, 미성년 자녀는 동일 주소지 세대주 명의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3. 국민지원금은 어떻게 지급되나요? 더보기
❍ 국민지원금은 신용·체크카드 또는 남양주 지역화폐로 지급됩니다.
4. 국민지원금을 지급받을 수 있는지 사전에 알 수 있나요? 더보기
❍ 9월 6일부터 카드사 홈페이지(PC·모바일앱), 건보공단 홈페이지, 지역상품권사(앱), 카카오뱅크· 카카오페이 앱에서도 조회가 가능합니다.
❍ 카드사의 콜센터에 전화하시거나 ARS를 이용하여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 오프라인으로는 신청일부터 카드와 연계된 은행창구 또는 읍·면·동 접수처를 방문하여 조회할 수 있습니다.
❍ 첫 주는 요일제를 적용할 예정이오니, 해당 하시는 날짜에 조회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출생연도 끝자리 / 월(1,6) / 화(2,7) / 수(3,8) / 목(4,9) / 금(5,0) / 주말(제한없음)
– 요일제 적용기간 : (온라인) 9.6. ~ 9.10. / (오프라인) 9.13. ~ 9.17.
5. 온라인 신청기간은 언제인가요? 더보기
❍ 온라인 신청은 9월 6일부터 10월 29일까지입니다.
❍ 신청 첫 주는 요일제(출생년도 끝자리)를 적용할 예정이오니, 해당 하시는 날짜에 신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출생연도 끝자리 / 월(1,6) / 화(2,7) / 수(3,8) / 목(4,9) / 금(5,0) / 주말(제한없음)
– 요일제 적용기간 : (온라인) 9.6. ~ 9.13.
❍ 마감일인 10월 29일이 지나면, 신청할 수 없으며 반드시 기간 내에 신청하셔야 합니다.
6. 오프라인 신청기간은 언제인가요? 더보기
❍ 온라인 신청은 9월 13일부터 10월 29일까지입니다.
❍ 신청 첫 주는 요일제(출생년도 끝자리)를 적용할 예정이오니, 해당 하시는 날짜에 신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출생연도 끝자리 / 월(1,6) / 화(2,7) / 수(3,8) / 목(4,9) / 금(5,0)
– 요일제 적용기간 : (오프라인) 9.13. ~ 9.17.
❍ 마감일인 10월 29일이 지나면, 신청할 수 없으며 반드시 기간 내에 신청하셔야 합니다.
7. 신용·체크카드로 국민지원금을 받으려면 어디에서 신청해야 하나요? 더보기
❍ 신용·체크카드에 지원금을 신청하고 싶은 경우, 9월 6일로부터 충전을 희망하는 카드의 카드사 홈페이지·모바일앱·콜센터·ARS 및 카카오뱅크·카카오페이 앱을 통해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 온라인 신청이 어려운 경우, 9월 13일부터 각 카드사와 연계된 은행영업점을 직접 방문하여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코로나19로 인해 은행영업점 별로 영업시간이 상이할 수 있사오니, 해당 영업점 운영시간을 반드시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신청일로부터 다음날 해당 카드에 지급되며, 지원금이 지원되면 문자 등을 통해 알려드릴 예정입니다.
8. 남양주 지역화폐로 국민지원금을 받으려면 어디에서 신청해야 하나요? 더보기
❍ 9월 6일부터 경기지역화폐 (https://gg-cdis.konacard.co.kr/4136) 또는 모바일앱에 접속하여 온라인 신청할 수 있습니다.
❍ 오프라인 신청을 할 경우 9월 13일부터 읍면동 접수처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 당일 현장수령을 계획하고 있으나, 부득이한 경우(수량 부족 등) 받으실 장소와 일시를 문자 등으로 안내해 드릴 예정입니다.
9. 국민지원금은 현금으로 지급하지 않나요? 더보기
❍ 국민지원금은 현금으로 지급하지 않습니다.
❍ 금년에는 저소득층을 두텁게 지원하기 위해 기초생활수급자·차상위계층·한부모가족 등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1인당 추가 10만원이 현금으로 지급됩니다.
10. 미성년인 자녀는 어떻게 신청해야 하나요? 더보기
❍ 성인 개인별 원칙이기 때문에 미성년인 자녀는 동일 주소지 내에 있는 세대주가 신청하여야 합니다.
❍ 성인(2002.12.31. 이전 출생자), 미성년자(2003.1.1. 이후 출생자)
11. 세대주 신청/수령이 불가한 경우 미성년자가 직접 신청할 수 있나요? 더보기
❍ 주민등록 세대 내에 ‘세대주’지위를 가진 성인이 없거나 지급대상이 아닌 경우, 다음 사유에 따라 미성년자라도 신청이 가능합니다.
❍ 미성년자 본인이 ① 주민등록상 세대주인 경우 ② 주민등록표상‘동거인’ 또는 ‘거주불명자’인 경우 ③ 의료급여 수급자인 경우 ④ 세대주가 해외체류자로서 지급대상 제외 된 경우 등에만 가능합니다.
❍ 체크카드에 지원 받는 경우 해당 카드사에 신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경기지역화폐에 지원 받는 경우 경기지역화폐 모바일앱 또는 읍면동 접수처에서 신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2. 대리신청시 대리인의 범위는 어디까지인가요? 더보기
❍ 지급대상자의 ①법정대리인, ②주민등록상 동일 세대원(동거인, 거주불명자 제외), ③ (동일 세대원이 아닌)배우자 및 직계존·비속이 인정됩니다.
13. 대리신청시 필요한 서류는 무엇인가요? 더보기
❍ 대리 신청시 ①대리인 신분증, ②위임장, ③지급대상자-대리인의 관계에 대한 증빙서류(주민등록표 등본)를 지참하셔야 합니다.
❍ 단, 동일 세대원이 아닌 배우자 및 직계 존·비속이 대리신청하는 경우에는 지급 대상자(본인)의 신분증도 지참하셔야 합니다.
14. 고령자·장애인 등 거동이 불편한 주민은 어떻게 신청해야 하나요? 더보기
❍ 지자체 ‘찾아가는 신청’을 요청 할 수 있습니다.
※ 단, 다른 가구원이 있는 경우에는 대리 신청이 가능하므로, 신청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대상자를 방문하여 신청서를 접수한 후, 지급 준비가 완료되면 재방문하여 지급하게 됩니다.
※ 고령자·장애인 거주시설의 경우 시설장이 ‘찾아가는 신청’ 요청
15. 국민지원금은 어디에서 사용할 수 있나요? 더보기
❍ 지급수단에 관계없이 남양주 지역화폐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 대기업(샤넬/이케아/애플), 프랜차이즈 직영점, 백화점·대형마트, 온라인쇼핑몰, 유흥업종, 사행업종 등에서는 사용이 불가합니다.
❍ https://국민지원금사용처.kr 에서 국민지원금 검색이 가능하며, 네이버 지도와 카카오맵 등 지도앱에서도 검색이 가능합니다.
16. 작년과 달리, 올해에는 사용이 불가한 업종이 있나요? 더보기
❍ 사용처가 소상공인·자영업자가 아닌 경우는 사용이 제한됩니다.
❍ 스타벅스 / 기업형슈퍼마켓 중 GS더프레시·이마트·노브랜드 / 대형 외국계기업(샤넬·렉서스·이케아·애플)등에서는 사용이 불가합니다.
17. 작년과 달리, 올해에는 사용 가능한 업종이 있나요? 더보기
❍ 레저업종·위생업종 등도 소상공인·자영업자인 경우는 사용이 가능합니다.
❍ 작년에 실내 골프연습장·노래방 등 레저업종, 소규모 안마원 등 위생업종은 소상공인 매장임에도 사용이 제한 되었으나, 올해 국민지원금은 사용이 가능합니다.
※ 대부분 지자체에서 가맹점으로 등록되어 있음.
18. 온라인 쇼핑몰에서 사용이 가능한가요? 더보기
❍ 온라인 결제는 원칙적으로 불가능합니다.
❍ 다만, *일부 지역온라인몰에서는 예외적으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 온통대전몰·인천직구·부산 동백몰 등
19. 배달앱에서 사용이 가능한가요? 더보기
❍ 온라인 결제는 원칙적으로 불가능합니다.
❍ 다만, *공공·지역배달앱을 사용하는 경우 예외적으로 가능합니다.
* 배달특급(경기) 등
※ 배달앱으로 주문하더라도 현장결제를 하여 매장의 자체 결제단말기를 사용하는 경우는 가능
20. 가구구성·건강보험료에 대한 이의신청은 어떻게 하나요? 더보기
❍ 이의신청은 온라인(국민신문고) 또는 오프라인(읍면동 접수처)으로 가능합니다.
❍ 이의신청 기간은 2021.9.6. ~ 11.12.이며, 시행 첫 주에는 요일제가 적용됩니다.
❍ 이의신청은 가구구성(지자체 심사) 조정 또는 건강보험료(건강보험공단 심사) 조정에 대해 가능합니다.
21. 이의신청에 대해 인용결정이 되었습니다. 그 다음 절차는 무엇인가요? 더보기
❍ 이의신청 인용결정 후 원칙적으로 오프라인 신청(읍면동 접수처)을 통해 남양주 지역화폐로만 국민지원금 지급이 가능합니다.
22. 지원대상 가구 구성의 기준일은 언제인가요? 더보기
❍ 가구 구성의 기준일은 2021.6.30.(수)입니다.
❍ 다만, 6.30.(수) 이후 이의신청 마감일인 11.12.(금)까지의 기간내에 가족관계 변경사항(혼인·이혼·출생·사망 등)이 있는 경우 이의신청을 통해 가구원 조정이 가능합니다.
23. 지급대상의 가구원 수가 실제 가족 수 또는 동거하는 가족수와 다를 수 있나요? 더보기
❍ 지급대상의 가구선정은 2021.6.30.(수) 주민등록표상의 세대를 기준으로 하되, 건강보험 피부양자 개념을 적용합니다.
❍ 따라서 건강보험 피부양자로 등록된 배우자·자녀 등의 경우에는 건강보험 가입자와 주소를 달리 해도 동일 가구로 계산될 수 있습니다.
❍ 그러나 직계존속(부모)은 건강보험법상 피부양자로 등록되었더라도 건강보험 가입자와 주소지를 달리하면 별도 가구로 구성됩니다.
24. 주소지가 다른 맞벌이 가구는 가구구성이 어떻게 되나요? 더보기
❍ 주소지를 달리하고 각각 건강보험 가입자인 맞벌이 가구인 경우 원칙에 따라 별도 가구로 구성됩니다.
❍ 다만, 이의신청을 통해 하나의 가구로 구성할 수 있습니다.
❍ 배우자(자녀 포함) 외 다른 가족(장인/장모, 배우자의 형제 등)이 있을 경우, 배우자(자녀 포함)만 이동하거나 또는 두가족 모두 합가하는 두가지 유형이 가능합니다.
25. 2021년 7월에 출산한 경우 태어난 아이는 대상자에 포함되나요? 더보기
❍ 지급대상자 기준일은 2021.6.30.(수)입니다.
❍ 6.30.(수)이후라도 이의신청 마감일인 11.12.(금)까지의 기간에 출생한 경우, 출생신고일과 무관하게 이의신청을 통해 가구원으로 포함될 수 있습니다.
26. 2021년 6월 31일 이후 가구원이 사망한 경우 어떻게 해야 하나요? 더보기
❍ 지급대상자 기준일은 2021.6.30.(수)입니다.
❍ 6.30.(수)이후라도 이의신청 마감일인 11.12.(금)까지의 기간에 세대원 중 1인이 사망한 경우, 이의신청을 통해 가구원에서 제외할 수 있습니다.
27. 지난 7월에 결혼·이혼하였습니다. 가구 구성은 어떻게 되나요? 더보기
❍ 지급대상자 기준일은 2021.6.30.(수)입니다.
❍ 6.30.(수)이후라도 이의신청 마감일인 11.12.(금)까지의 기간에 혼인(이혼)한 경우 이의신청을 통해 동일한 가구(별도의 가구)로 조정할 수 있습니다.
28. 이혼한 전 배우자가 저의 건강보험 피부양자인 경우 가구구성은 어떻게 되나요? 더보기
❍ 건강보험 피부양자 관계가 정리되지 않은 경우 이혼한 부부도 동일한 가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당초부터 각각 직장 건강보험 가입자이거나, 건강보험 피부양자 관계를 분리한 경우 이의신청을 통해 조정이 가능합니다.
29. 이혼 후, 전배우자의 피부양자로 등록된 자녀는 어느 가구에 포함되나요? 더보기
❍ 피부양자로 등록된 자녀는 건강보험상 부양관계에 따라 전 배우자와 동일한 가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자녀의 실제 부양상황과 건강보험상 부양관계가 명백히 다른 경우 이의신청을 통해 조정이 가능합니다.
30. 자녀는 실제로 조부모가 양육하고 있으나, 전 배우자의 건강보험 피부양자로 등록된 경우 어느 가구에 포함되나요? 더보기
❍ 피부양자로 등록된 자녀는 건강보험상 부양관계에 따라 전 배우자와 동일한 가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자녀의 실제 부양상황과 건강보험상 부양관계가 명백히 다른 경우 이의신청을 통해 조정이 가능합니다.
31. 재외국민 및 외국인도 지원대상에 해당하나요? 더보기
❍ 재외국민이 주민등록표에 등재되어 있고 건강보험(후납) 가입자, 피부양자, 의료급여 수급자인 경우 지원대상에 포함됩니다.
❍ 외국인은 원칙적으로 대상에서 제외하되, 내국인과 연관성이 큰 경우는 지원대상에 포함됩니다.
– 외국인이 내국인이 1인 이상 포함된 주민등록표에 등재되어 있고,
– 건강보험(후납) 가입자, 피부양자, 의료급여 수급자인 경우
32. 추가로 궁금한 사항은 어디에 문의해야하나요? 더보기
함께하면 이겨낼 수 있습니다. 코로나 상생 국민지원금
전통시장, 동네마트, 식당, 미용실, 약국, 병원, 안경점, 의류점, 학원, 프랜차이즈 가맹점 등(편의점, 빵집, 카페, 치킨집 등) *단, 지역별로 일부 사용이 제한되는 매장이 있을 수 있습니다. *대형마트 내 임대매장, 농협 하나로마트의 경우에도 지역사랑상품권 가맹점으로 등록된 매장에서는 사용 가능합니다.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대한민국 모든 국민에게 긴급재난지원금을 제공합니다 · 지원대상 기준중위소득 180% 상당 기준액과 가구별 ‘21.6월 건보료를 비교하여 대상여부 …
- Source: www.chungbuk.go.kr
- Views: 94892
- Publish date: 2 minute ago
- Downloads: 88261
- Likes: 2249
- Dislikes: 5
- Title Website: 함께하면 이겨낼 수 있습니다. 코로나 상생 국민지원금
- Description Website: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대한민국 모든 국민에게 긴급재난지원금을 제공합니다 · 지원대상 기준중위소득 180% 상당 기준액과 가구별 ‘21.6월 건보료를 비교하여 대상여부 …
☆국민지원금 총정리☆ 신청부터 지급까지 한 번에 확인하세요!
- Source: Youtube
- Views: 25640
- Date: 18 hours ago
- Download: 29784
- Likes: 5349
- Dislikes: 5
함께하면 이겨낼 수 있습니다. 코로나 상생 국민지원금
전통시장, 동네마트, 식당, 미용실, 약국, 병원, 안경점, 의류점, 학원, 프랜차이즈 가맹점 등(편의점, 빵집, 카페, 치킨집 등) *단, 지역별로 일부 사용이 제한되는 매장이 있을 수 있습니다. *대형마트 내 임대매장, 농협 하나로마트의 경우에도 지역사랑상품권 가맹점으로 등록된 매장에서는 사용 가능합니다.
상생 국민지원금 대상자 96.3% 지급 완료 – KTV 국민방송
오프라인에서 신청할 경우 신용, 체크카드로 국민지원금을 받으려면 카드와 연계된 은행을 방문하고 선불카드와 지역사랑 상품권으로 받기 위해서는 주소지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를 방문해야 합니다.
한편 정부는 지난 6일부터 국민지원금 온라인 신청을 시작으로 13일부터는 오프라인 신청을 받고 있는 가운데 신청 마감일은 오는 29일까지입니다.
소득 하위 88%의 국민에게 1인당 25만 원씩 지급하고 있는 가운데, 선정기준에 대한 이의신청은 약 35만 건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신경은 앵커> 코로나19 상생 국민지원금 지급 대상자의 96% 이상이, 지원금을 받았습니다. 전 국민 기준으로는 10명 중 8명이, 받은 겁니다. 이리나 기자입니다.
- Source: www.ktv.go.kr
- Views: 79410
- Publish date: 41 minute ago
- Downloads: 61713
- Likes: 2230
- Dislikes: 6
- Title Website: 상생 국민지원금 대상자 96.3% 지급 완료 – KTV 국민방송
- Description Website: 신경은 앵커> 코로나19 상생 국민지원금 지급 대상자의 96% 이상이, 지원금을 받았습니다. 전 국민 기준으로는 10명 중 8명이, 받은 겁니다. 이리나 기자입니다.
(속보) 한 집에 평균 100만원씩 지급!! 신청방법, 대상자, 지급금액 확인하고 받아가세요!!
- Source: Youtube
- Views: 58713
- Date: 3 minute ago
- Download: 82349
- Likes: 8926
- Dislikes: 8
KTV 국민방송
신경은 앵커>
코로나19 상생 국민지원금 지급 대상자의 96% 이상이, 지원금을 받았습니다.
전 국민 기준으로는 10명 중 8명이, 받은 겁니다.
이리나 기자입니다.
이리나 기자>
상생 국민지원금 신청 시작일인 지난 6일 이후 어제 오후 6시까지 신청을 완료한 국민은 모두 4천165만 명.
누적 지급액은 10조 4천131억 원에 이릅니다.
총 지급 대상자는 4천326만 명으로 이 중 96.3%에게 지급이 완료된 겁니다.
지급 수단별로는 신용·체크카드가 3천만여 명으로 가장 많았고 지역 사랑 상품권이 708만 명, 선불카드가 410만 명으로 뒤를 이었습니다.
지역별 신청 인원은 경기도가 1천63만 명, 서울 681만 명 경남 286만 명, 부산 280만 명 순입니다.
소득 하위 88%의 국민에게 1인당 25만 원씩 지급하고 있는 가운데, 선정기준에 대한 이의신청은 약 35만 건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의 신청 이유로는 건보료 조정과 가구 구성 변경이 대부분을 차지했습니다.
한편 정부는 지난 6일부터 국민지원금 온라인 신청을 시작으로 13일부터는 오프라인 신청을 받고 있는 가운데 신청 마감일은 오는 29일까지입니다.
오프라인에서 신청할 경우 신용, 체크카드로 국민지원금을 받으려면 카드와 연계된 은행을 방문하고 선불카드와 지역사랑 상품권으로 받기 위해서는 주소지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를 방문해야 합니다.
(영상편집: 김종석)
지급된 상생 국민지원금은 올해 연말까지 사용하지 않을 경우 국가와 지자체로 환수될 예정입니다.
KTV 이리나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제에 대한 관련 정보 국민 지원금 대상자
Bing에서 국민 지원금 대상자 주제에 대한 최신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주제에 대한 기사 보기를 마쳤습니다 국민 지원금 대상자. 이 기사가 유용했다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이 주제와 관련하여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국민 지원금 대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