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에 대한 기사를 찾고 있습니까 “결로 방지 대책“? 웹사이트에서 이 주제에 대한 전체 정보를 제공합니다 https://c2.chewathai27.com/ 탐색에서: https://c2.chewathai27.com//blog/. 바로 아래에서 이 주제에 대한 자세한 답변을 찾을 수 있습니다. 찾고 있는 주제를 더 잘 이해하려면 끝까지 읽으십시오. 더 많은 관련 검색어: 결로 방지 대책 결로방지 테이프, 결로 해결방안, 결로방지단열재, 하계 표면 결로방지 조치, 창문 결로 방지, 내부결로, 결로 원인, 결로현상 원리
- 벽체내부로 수증기의 침입을 억제.
- 벽체내부 온도가 노점온도 이상 되도록 단열.
- 단열공법은 가급적 외단열
- 방습층은 온도가 높은 단열재의 실내측에 위치
- 내부벽체 단열재 실외측에 공기층을 두어 통기 시킨다.
구조물 결로현상 part2 결로의 종류 방지대책 – 네이버블로그
표면결로는 건물의 표면온도가 접촉하고 있는 공기의 포화상태온도 (노점온도,)보다 낮은 경우에 그 표면에 수증기막이나 물방울이 나타나는 현상
내부 결로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열관류의 온도구배식에서 구한 구조체 내부의 온도가 그 지점에서의 노점온도를 초과하여야 한다.
내부결로(interstitial Condensation)는 구조체 내 경계면이나 재료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결로를 말한다.
- Source: blog.naver.com
- Views: 59366
- Publish date: 6 hours ago
- Downloads: 73938
- Likes: 1700
- Dislikes: 2
- Title Website: 구조물 결로현상 part2 결로의 종류 방지대책 – 네이버블로그
- Description Website:
- Source: Youtube
- Views: 64455
- Date: 20 hours ago
- Download: 36062
- Likes: 9051
- Dislikes: 9
구조물 결로현상 part2 결로의 종류 방지대책
구조물 결로현상 part2 결로의 종류 방지대책
결로의 종류
1) 표면결로
표면 결로 (Surface Condensation)는 벽, 유리창, 천정 및 바닥의 표면에 발생하는 결로를 말한다.
표면결로는 건물의 표면온도가 접촉하고 있는 공기의 포화상태온도 (노점온도,)보다 낮은 경우에 그 표면에 수증기막이나 물방울이 나타나는 현상
2) 내부결로
내부결로(interstitial Condensation)는 구조체 내 경계면이나 재료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결로를 말한다.
내부결로는 구조체 내부의 다공질 재료에 함유되어 있는 수증기압이 그 온도에 대한 포화 수증기압 이상으로
될 떄, 즉 재료의 내부 온도가 노점 온도보다 낮을 때에는 그 재료 내부의 수증기압이나 물방울이 나타나는 현상
결로의 발생부위
1) 벽체와 지붕과의 접합부
2) 벽체와 바닥 슬래브와의 접합부
3) 창문의 상하 인방
4) 창틀주위 및 벽의 모서리 부위
5) 건물 테두리 부위
6) 발코니 돌출 부위
7) 슬래브 지붕 위 단열 취약부위
8) 드라이비트 건물의 모서리부위
9) 발코니 바닥과 벽쪽 및 발코니 천정부위
10) 다세대주택의 옆집과 인접하지 않은 외부온도와 직접 닿는 외벽 부위
11) 1층이 주차장이고 2층부터 주택인 경우 2층세대 방이나 거실벽면 아랫부분
결로 방지대책
결로의 필요조건은 공기 중의 수분과 수증기가 포화하는 결로온도보다 낮은 표면온도의 두가지 이므로 두가지중에서
어떤 것을 제거하면 결로는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즉 건물부위의 표면온도를 단열화 난방 등에 의해 공기가 포화하여
결로하는 노점 온도 이상으로 유지하고 있든지 역으로 환기가 제습에 의해
근방 공기의 습도를 내려서 노점 온도를 표면온도 이하로 유지 하는 것이다.
결로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크게 실내공기를 자주 환기 시켜주는 사용상 방지와 단열보완 공사를 시행하는
기술상 방지방법 두가지고 나눌 수 있다.
첫째로 환기를 통해 습한 공기를 제거하여 실내의 결로를 억제 할 수 있으며
특히 수증기 발생이 많은 부엌이나 욕실 및 화장실에 배기구나 배기팬을 설치.
단열을 통해 구조체의 열손실 방지와 보온의 역활을 하도록 한다.
표면결로 방지대책
실내 표면온도가 실내공기의 노점온도를 초과하기 위한 표면결로의 방지대책
1) 실내에서 발생하는 수증기를 억제
2) 환기에 의해 실내 절대습도를 저하
3) 단열강화에 의해 실내 측 표면온도를 상승
4) 직접가열이나 기류촉진에 의해 표면온도 상승
내부결로의 방지
내부 결로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열관류의 온도구배식에서 구한 구조체 내부의 온도가 그 지점에서의 노점온도를 초과하여야 한다.
이에 따른 내부결로 방지대책
1) 벽체내부로 수증기의 침입을 억제.
2) 벽체내부 온도가 노점온도 이상 되도록 단열.
3) 단열공법은 가급적 외단열
4) 방습층은 온도가 높은 단열재의 실내측에 위치
5) 내부벽체 단열재 실외측에 공기층을 두어 통기 시킨다. 단열 성능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단열재 외기측 표면에 방풍충을 설치
환기는 특히 겨울철에 매우 번거롭고 사용상 및 편의상 불편하므로 결로에 대한 확실하고
근본적인 대책은 효과적인 기술적 단열 보완공사를 통해서 건물의 단열 취약 부위에 열손실 방지와 보온을 강화해주는 것이다.
결로현상(표면결로, 내부결로) 발생원인 및 방지대책
1)단열시공 바탕은 단열재료 또는 방습층 설치에 지장이 없도록 못, 철선, 모르타르 등의 돌출물을 제거하여
4)단열재를 접착제로 바탕에 붙이고자 할 때에는 바탕면을 평탄하게 한 후 밀착시여 시공하되, 초기 박리를
6)경질이나 반경질의 단열판으로 처리할 수 없는 틈새 및 구멍에는 단열재를 채워 넣어야 하며, 통산 최대
30 thg 1, 2020 — 결로현상 방지대책. 1)벽체의 표면온도를 실내공기의 노점온도 보다 높게 설계한다. 2)난방기기를 이용하여 벽체의 실내 측 표면온도를 높인다.
- Source: blog.naver.com
- Views: 84767
- Publish date: 58 minute ago
- Downloads: 94332
- Likes: 7900
- Dislikes: 6
- Title Website: 결로현상(표면결로, 내부결로) 발생원인 및 방지대책
- Description Website: 30 thg 1, 2020 — 결로현상 방지대책. 1)벽체의 표면온도를 실내공기의 노점온도 보다 높게 설계한다. 2)난방기기를 이용하여 벽체의 실내 측 표면온도를 높인다.
마감21.결로 방지 대책 시공 방법
- Source: Youtube
- Views: 16439
- Date: 3 hours ago
- Download: 9911
- Likes: 6123
- Dislikes: 5
결로현상(표면결로, 내부결로) 발생원인 및 방지대책
결로현상(표면결로, 내부결로) 발생원인 및 방지대책
결로현상은 공기 중의 수증기에 의해 벽이나 천장 등에 물방울이 맺히는 현상으로
실내공기 중의 습한 공기가 실내의 벽이나 천장, 마룻바닥 등의 표면에 접촉할 때 표면온도가
실내공기의 노점온도 보다 낮으면 공기 중의 수증기가 물방울이 되어 표면에 이슬로 맺혀지는 현상입니다.
결로현상은 단열공사가 잘 되어 있지 않은 주택의 북벽 또는
동벽, 가구의 뒷면, 천장 등에 발생가능성이 높다.
1.결로현상 종류
1)표면결로
건물의 표면온도가 접촉하고 있는 공기의 노점온도 보다 낮을 때 건물의 벽체나 천장 등의 표면에서 발생
하는 결로를 말한다.
2)내부결로
구조체의 내부 어느 부분의 온도가 노점온도 보다 낮을 때 구조체 내부에 수증기가 발생하는 결로를 말한
다.
2.결로현상 발생원인
1)열관류율이 클수록, 실내의 온도 차이가 클수록 많이 발생한다.
2)내부벽체 표면온도가 노점온도 보다 낮을 때 발생한다.
3)생활습관에 의한 환기가 부족할 때 발생한다.
4)단열시공이 불량할 때 발생한다.
5)구조재의 열적 특성(단열의 취약부위)으로 발생한다.
6)실내습기의 과다발생이나 내부습도가 높을 때 발생한다.
3.결로현상 방지대책
1)벽체의 표면온도를 실내공기의 노점온도 보다 높게 설계한다.
2)난방기기를 이용하여 벽체의 실내 측 표면온도를 높인다.
3)벽체의 단열강화로 열관류저항을 크게 하고, 실내 측 표면온도를 높인다.
4)실내수증기의 발생원인을 억제한다.
5)환기계획을 잘하여 실내에 발생하는 수증기를 줄이고, 실내의 절대습도를 낮춘다.
6)각 실 산의 온도차가 작은 난방방식을 채택한다.
7)창문의 결로를 막기 위해서는 유리의 복층화와 창틀의 단열이 중요하다.
4.단열재 설치시 고려사항
1)단열시공 바탕은 단열재료 또는 방습층 설치에 지장이 없도록 못, 철선, 모르타르 등의 돌출물을 제거하여
평탄하게 정리 및 청소한다.
2)현장절단시에는 절단기를 사용하여 정교하게 일직선이 되도록 절단한다.
3)전체 두께가 특별히 각 구성요소의 합으로 표시되거나 별도로 요구되지 않은 경우에는 소정의 두께를
지닌 홑겹의 단열재로 설치하여야 한다.
4)단열재를 접착제로 바탕에 붙이고자 할 때에는 바탕면을 평탄하게 한 후 밀착시여 시공하되, 초기 박리를
방지하기 위해 완전히 접착될 때까지 압착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초기 접착 후 30분 이내에 재압착
한다.
5)단열재의 이음부는 틈새가 생기지 않도록 접착제, 테이프를 사용하거나 공사시방에 따라 접합하며, 부득
이 단열재를 설치할 수 없는 부분에는 적절한 단열보강을 한다.
6)경질이나 반경질의 단열판으로 처리할 수 없는 틈새 및 구멍에는 단열재를 채워 넣어야 하며, 통산 최대
체적의 40%(기준밀도 40kg/m2)정도까지 다져야 한다.
결로의 종류와 발생원인, 방지대책 – 한솥마을
가. 초기 결로 : 준공 후 1~2년 내에 발생하며, 건자재의 함수율이 높은 상태에서 발생, 일반적으로 시간이 지나면서 해소됨
2) 실내습기의 과다 : 실내 거주자의 활동(요리, 세탁, 목욕 등)으로 인해 실내 상대습도가 높을 수록 결로발생
1) 실내외 온도차 : 겨울철의 과도한 난방으로 실내외 온도차가 커질수록 냉교부위에서 결로가 발생
16 thg 11, 2021 — 4. 결로 방지대책 · 1) 수증기 발생 억제 · 2) 외벽에 면한 가구는 벽체와 이격거리 유지 · 3) 코너부위 및 창호 주변 등 단열취약부위 단열시공 철저 · 4) …
- Source: conpass.tistory.com
- Views: 5363
- Publish date: 38 minute ago
- Downloads: 37189
- Likes: 7106
- Dislikes: 2
- Title Website: 결로의 종류와 발생원인, 방지대책 – 한솥마을
- Description Website: 16 thg 11, 2021 — 4. 결로 방지대책 · 1) 수증기 발생 억제 · 2) 외벽에 면한 가구는 벽체와 이격거리 유지 · 3) 코너부위 및 창호 주변 등 단열취약부위 단열시공 철저 · 4) …
결로방지 공사 맡기지 마세요! 칠만해서 100만원 절약하세요~ (칠만표 결로방지제 원리, 실험, 드레스룸 시공)
- Source: Youtube
- Views: 18743
- Date: 19 minute ago
- Download: 67585
- Likes: 1300
- Dislikes: 6
결로의 종류와 발생원인, 방지대책
1. 개요
1) 결로란 표면온도가 노점온도 이하일 때 발생하는 이슬을 말함
2) 실내외 온도차가 클 때 주로 발생하며, 습기로 인해 다양한 피해를 끼침
2. 결로의 원인
1) 실내외 온도차 : 겨울철의 과도한 난방으로 실내외 온도차가 커질수록 냉교부위에서 결로가 발생
2) 실내습기의 과다 : 실내 거주자의 활동(요리, 세탁, 목욕 등)으로 인해 실내 상대습도가 높을 수록 결로발생
3) 환기부족
4) 시공 불량 : 단열 시공불량으로 인해 취약부위 결로 발생
3. 결로의 분류
1) 발생시기에 따른 분류
가. 초기 결로 : 준공 후 1~2년 내에 발생하며, 건자재의 함수율이 높은 상태에서 발생, 일반적으로 시간이 지나면서 해소됨
나. 일반 결로 : 계절에 따라 실내외 높은 습도에 의해 발생
2) 결로 발생부위에 따른 분류
가. 표면결로 : 단열성능 부족으로 표면온도가 노점온도 이하가 되는 부위의 표면에서 발생하는 결로
나. 내부결로 : 차습층의 미확보로 구조체 내부온도가 낮은 부위에 수증기가 침투할 경우 발생
4. 결로 방지대책
1) 수증기 발생 억제
2) 외벽에 면한 가구는 벽체와 이격거리 유지
3) 코너부위 및 창호 주변 등 단열취약부위 단열시공 철저
4) 적절한 환기
5) 방습층 설치 : 틈새없이 밀실하게 시공하고, 침투된 습기를 배출할 수 있는 방법을 고려
건축물에서의 결로의 발생과 방지 대책
내부결로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서는 ① 통기공법, ② 투습벽공법 등이 적용되고 있으며 벽체 전체 공기를 강제. 순환시키는 방법에 의하여 남측과 북측벽 내부의 온도 …
- Source: www.codil.or.kr
- Views: 57059
- Publish date: 8 minute ago
- Downloads: 101943
- Likes: 6227
- Dislikes: 2
- Title Website: 건축물에서의 결로의 발생과 방지 대책
- Description Website: 내부결로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서는 ① 통기공법, ② 투습벽공법 등이 적용되고 있으며 벽체 전체 공기를 강제. 순환시키는 방법에 의하여 남측과 북측벽 내부의 온도 …
- Source: Youtube
- Views: 93343
- Date: 19 hours ago
- Download: 82366
- Likes: 4059
- Dislikes: 5
Condensation(결로)
(2) 내부 결로 방지 대책. – 구조체의 온도가 노점온도보다 높게. – 외단열로 시공해야 결로를 방지. (3) 기계환기장치를 이용한 결로 방지대책.
- Source: contents.kocw.or.kr
- Views: 102615
- Publish date: 4 minute ago
- Downloads: 7919
- Likes: 5647
- Dislikes: 2
- Title Website: Condensation(결로)
- Description Website: (2) 내부 결로 방지 대책. – 구조체의 온도가 노점온도보다 높게. – 외단열로 시공해야 결로를 방지. (3) 기계환기장치를 이용한 결로 방지대책.
단열 #1 / (내)단열에 결로가 생기는 과정 / 건축공학 / 토목 / 구조 설계
- Source: Youtube
- Views: 87551
- Date: 22 hours ago
- Download: 17649
- Likes: 3984
- Dislikes: 7
결로현상의 원인, 피해 및 방지대책
매년 겨울철 발생하는 결로(結露)현상, 내부 ㆍ 외부의 기온 차이에 의하여 이슬이 맺히는 것으로, 지속될 경우 곰팡이 증식을 통해 마감재 훼손, 주택의 성능 저하와 함께 비염 및 천식 등의 호흡기 질환과 피부 질환의 원인으로 작용하는 등의 피해를 발생한다.
[결로(結露)현상] : 내부의 수증기 등이 온도가 낮은 벽면 및 창문에 접촉하였을 때, 내부의 수증기량과 각 부분의 온도저하에 의해 온도가 낮은 면에 물방울처럼 부착하는 현상이다. 표면결로, 내부결로 등이 있다.① 표면결로 : 천장ㆍ벽ㆍ마루 등 물체의 표면에 생기는 결로현상으로 물체의 표면 온도가 표면에 접하는 젖은 공기의 노점 이하일 때 일어나는 현상
27 thg 7, 2018 — 결로현상의 원인, 피해 및 방지대책 · 1. 결로현상의 원인 ① 물체온도(표면온도)가 노점온도 이하일 때 ② 내부ㆍ외부의 온도차이, 내부 상대습도 높을 때
- Source: pjwoo84-1.tistory.com
- Views: 19193
- Publish date: 5 hours ago
- Downloads: 51738
- Likes: 6275
- Dislikes: 5
- Title Website: 결로현상의 원인, 피해 및 방지대책
- Description Website: 27 thg 7, 2018 — 결로현상의 원인, 피해 및 방지대책 · 1. 결로현상의 원인 ① 물체온도(표면온도)가 노점온도 이하일 때 ② 내부ㆍ외부의 온도차이, 내부 상대습도 높을 때
겨울철 결로현상 1초 해결방법 [1 second solution to winter condensation]
- Source: Youtube
- Views: 47009
- Date: 13 minute ago
- Download: 5804
- Likes: 4513
- Dislikes: 8
결로현상의 원인, 피해 및 방지대책
매년 겨울철 발생하는 결로(結露)현상, 내부 ㆍ 외부의 기온 차이에 의하여 이슬이 맺히는 것으로, 지속될 경우 곰팡이 증식을 통해 마감재 훼손, 주택의 성능 저하와 함께 비염 및 천식 등의 호흡기 질환과 피부 질환의 원인으로 작용하는 등의 피해를 발생한다.
결로현상은 내부 ㆍ 외부의 기온 차이에 의하여 발생하는 자연적인 현상이지만, 건축물의 단열시공의 부실 등에 의해 발생한다.
[결로(結露)현상] : 내부의 수증기 등이 온도가 낮은 벽면 및 창문에 접촉하였을 때, 내부의 수증기량과 각 부분의 온도저하에 의해 온도가 낮은 면에 물방울처럼 부착하는 현상이다. 표면결로, 내부결로 등이 있다.① 표면결로 : 천장ㆍ벽ㆍ마루 등 물체의 표면에 생기는 결로현상으로 물체의 표면 온도가 표면에 접하는 젖은 공기의 노점 이하일 때 일어나는 현상
② 내부결로 : 천장 ㆍ 벽 ㆍ 바닥 등 구조체 내부에서 생기는 결로현상
매년 겨울철 반복하는 결로현상의 원인, 피해 및 대책에 대하여 살펴보고자한다.
1. 결로현상의 원인
① 물체온도(표면온도)가 노점온도 이하일 때
② 내부 ㆍ 외부의 온도차이, 내부 상대습도 높을 때
③ 열관류율이 높을 때
④ 생활습관의 문제 : 환기 ㆍ 통풍부족
⑤ 적절하기 못한 건축, 단열공사의 부족 등
2. 결로현상의 피해
① 얼룩 ㆍ 때(오염) : 벽면 및 천장에 얼룩발생
② 곰팡이 피해 : 결로 면에 발생한 물방울에 의해 곰팡이를 증식
③ 기관지 질환의 원인 : 증식된 곰팡이에 의하여 내부에 확산, 공기오염 등을 통해 비염 및 천식 의 호흡기 질환과 피부 질환의 원인
3. 결로현상의 대책
① 표면결로의 방지대책
ㄱ. 흡습기 ㆍ 제습기 등을 설치, 내부의 상대습도 감소
ㄴ. 벽과 가구 등을 대략 10cm 이격
ㄷ. 지속적인 환기 ㆍ 통풍 등
ㄹ. 일정한 내부온도 유지
ㅁ. 단열재 등을 이용하여 열관류율 저하, 물체온도(표면온도)를 노점온도 이상으로 유지
② 내부결로의 방지대책
ㄱ. 이중벽, 방습층 및 통기층 설치 ㆍ 마련
ㄴ. 빗물의 역류방지
ㄷ. 통기성 있는 외벽 재료(다공질 벽돌 등)
③ 냉교현상의 의한 결로의 방지대책
ㄱ. 전기설비 : 금속관 사용을 피하고 VE관 및 CD관 등 합성수지재 전선관 사용
겨울에도 탄탄한 우리 집, 결로 방지 대책을 갖추자. – 호미파이
시공에 문제가 없었다고 하더라도 지속해서 관리해줘야 하는 게 습기 문제다. 특히 난방을 켜는 겨울 동안에는 조금 더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 날이 춥더라도 주기적으로 환기해줘야 한다. 결로 현상의 주범은 습기이기 때문이다. 환기하면 내부의 높아진 온도와 습도를 잠깐씩 낮출 수 있다.
영국의 건축 회사 THOMAS & SPIERS ARCHITECTS 에서 설계한 주택이다.
겨울에도 탄탄한 우리 집, 결로 방지 대책을 갖추자. · 1. 단열재 확인. 軽井沢K邸, 株式会社山崎屋木工製作所 Curationer事業部 株式会社山崎屋木工 · 2. 뽁뽁이, 단열 필름.
- Source: www.homify.co.kr
- Views: 84888
- Publish date: 5 hours ago
- Downloads: 1538
- Likes: 2098
- Dislikes: 8
- Title Website: 겨울에도 탄탄한 우리 집, 결로 방지 대책을 갖추자. – 호미파이
- Description Website: 겨울에도 탄탄한 우리 집, 결로 방지 대책을 갖추자. · 1. 단열재 확인. 軽井沢K邸, 株式会社山崎屋木工製作所 Curationer事業部 株式会社山崎屋木工 · 2. 뽁뽁이, 단열 필름.
겨울철 결로 방지, 이렇게 하면 OK! / YTN
- Source: Youtube
- Views: 17517
- Date: 11 hours ago
- Download: 20033
- Likes: 2262
- Dislikes: 10
겨울에도 탄탄한 우리 집, 결로 방지 대책을 갖추자.
시공에 문제가 없었다고 하더라도 지속해서 관리해줘야 하는 게 습기 문제다. 특히 난방을 켜는 겨울 동안에는 조금 더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 날이 춥더라도 주기적으로 환기해줘야 한다. 결로 현상의 주범은 습기이기 때문이다. 환기하면 내부의 높아진 온도와 습도를 잠깐씩 낮출 수 있다.
영국의 건축 회사 THOMAS & SPIERS ARCHITECTS 에서 설계한 주택이다.
결로현상 안내,방지대책 – (주)에스아이이엔지
결로현상은 있지만 물방울이 맺히지 않고 약간 축축한 정도라면 벽지를 제거하고 곰팡이 살균제거작업을 한 후에 벽면이나 천정의 상태에 따라서 균열이나 박리된 부분 등을 보수하고 건조시킨 후에 인슐래드 결로방지 단열도료로 2~3회 칠 해주고 건조 후에 벽지로 마감하면 해결이 가능합니다.
우선 벽지를 제거하고 벽면이나 창호, 천정 및 외벽마감상태 등을 종합적으로 점검하여 진단한 다음에 단열공사를 어떻게 할 것인지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창호나 외벽에 문제가 있어서 누수가 있을 경우에는 원인에 따라 창호주위나 외벽의 코킹작업 및 외벽방수시공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 장마철에 통풍 및 제습기로 습기를 제거함. … 결로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단열, 방습 생활습관 등이 매우 중요합니다. 예를 들면, 결로현상이 생기는 경우에 실, 내외의 …
- Source: sieng.modoo.at
- Views: 37322
- Publish date: 5 minute ago
- Downloads: 54151
- Likes: 3792
- Dislikes: 6
- Title Website: 결로현상 안내,방지대책 – (주)에스아이이엔지
- Description Website: * 장마철에 통풍 및 제습기로 습기를 제거함. … 결로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단열, 방습 생활습관 등이 매우 중요합니다. 예를 들면, 결로현상이 생기는 경우에 실, 내외의 …
베란다 결로방지에 돈쓰면 호구 | 베란다 창을 1센치 열었더니 결로가 싹 사라졌어요.
- Source: Youtube
- Views: 48898
- Date: 21 hours ago
- Download: 69729
- Likes: 1248
- Dislikes: 5
결로현상 안내,방지대책
결로현상이 아니고 단순한 습기로 인한 벽면의 곰팡이는 평상시에 창문을 매일 열어서 환기를 시켜주면 많이 완화될 수 있습니다.
결로현상은 있지만 물방울이 맺히지 않고 약간 축축한 정도라면 벽지를 제거하고 곰팡이 살균제거작업을 한 후에 벽면이나 천정의 상태에 따라서 균열이나 박리된 부분 등을 보수하고 건조시킨 후에 인슐래드 결로방지 단열도료로 2~3회 칠 해주고 건조 후에 벽지로 마감하면 해결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결로현상이나 곰팡이가 심하여 벽이나 창호, 천정쪽에 문제가 있을 경우에는 문제가 좀 복잡해 질 수 있습니다.
우선 벽지를 제거하고 벽면이나 창호, 천정 및 외벽마감상태 등을 종합적으로 점검하여 진단한 다음에 단열공사를 어떻게 할 것인지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최상층의 천정에서 물방울이 떨어지는 경우에는 결로인지 누수인지를 정확히 확인해야만 됩니다.
비가 올 때마다 물방울이 떨어지는 경우에는 누수로 볼 수 있고, 겨울철에만 물방울이 떨어진다면 결로현상으로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창호나 외벽에 문제가 있어서 누수가 있을 경우에는 원인에 따라 창호주위나 외벽의 코킹작업 및 외벽방수시공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결로원인분석자료 – 선경하우징
3-2. 결로의 종류와 결로의 피해 (1) 결로의 종류 결로의 종류는 결로의 발생부위와 발생시기에 따라 분류된다. 가. 결로의 발생부위 ① 표면결로 표면결로(Surface condensation)는 벽, 유리창, 천장 및 바닥의 표면에 발생하는 결로를 말한다. 표면결로는 건물의 표면온도가 접촉하고 있는 공기의 포화상태 온도(노점온도)보다 낮을 때에 그 표면에 수증기막이나 물방울이 나타나는 현상이다. 예를 들면 욕실에서 거울위에 서리는 김이나 물방울, 난방 된 실내에서 유리창의 내표면에 생기는 물기, 여름철에 흙에 접한 지하실의 실내표면에 물방울이 발생한다. 표면결로 발생이 우려되는 곳은 벽체의 연결부위인 모서리 부분과 창의 상인방 등 단열이 어려운 부분들이다. 특히 모서리 부분은 단열성능을 3배로 강화하여 시공하도록 한다. ② 내부결로 내부결로(Interstitial condensation)는 구조체내 경계면이나 재료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결로를 말한다. 내부결로는 건물의 구조체 내부의 다공질 재료에 함유되어 있는 수증기압이 그 온도에 대한 포화수증기압 이상으로 될 때, 즉 재료의 내부온도가 노점온도보다 낮을 때에 그 재료 내부에 수증기막이나 물방울이 나타나는 현상이다. 단열재와 같이 공극을 다량 함유한 재료에 내부결로가 발생하면 단열성능이 저하되고 썩게된다. 또한 결로된 부분의 온도가 0℃ 이하로 되면 팽창되어 구조를 파괴할 수 있다.
3-4. 결로의 방지대책 결로의 발생원인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에는 크게 환기, 난방, 단열의 세 가지로 분류된다. 첫째, 환기를 통해 습한 공기를 제거하여 실내의 결로를 방지한다. 수증기 발생이 많은 부엌이나 화장실에 배기구나 배기팬을 설치한다. 둘째, 난방을 통해 건물내부의 표면온도를 올리고 실내온도를 노점온도 이상으로 유지시킨다. 난방방법은 낮은 온도로 난방시간을 길게 하는 것이 높은 온도로 난방시간을 짧게 하는 것보다 유리하다. 셋째, 단열을 통해 구조체의 열손실 방지와 보온의 역할을 하도록 한다. (1) 표면결로의 방지대책 실내표면온도가 실내공기의 노점온도를 초과하기 위한 표면결로의 방지대책은 다음과 같다. 1) 실내에서 발생하는 수증기를 억제한다. 2) 환기에 의해 실내 절대습도를 저하한다. 3) 단열강화에 의해 실내측 표면온도를 상승시킨다. 4) 직접가열이나 기류촉진에 의해 표면온도를 상승시킨다.
표면결로(Surface condensation)는 벽, 유리창, 천장 및 바닥의 표면에 발생하는 … 실내표면온도가 실내공기의 노점온도를 초과하기 위한 표면결로의 방지대책은 …
- Source: s-k.co.kr
- Views: 7930
- Publish date: 29 minute ago
- Downloads: 59130
- Likes: 1615
- Dislikes: 2
- Title Website: 결로원인분석자료 – 선경하우징
- Description Website: 표면결로(Surface condensation)는 벽, 유리창, 천장 및 바닥의 표면에 발생하는 … 실내표면온도가 실내공기의 노점온도를 초과하기 위한 표면결로의 방지대책은 …
- Source: Youtube
- Views: 65338
- Date: 1 hours ago
- Download: 2541
- Likes: 2668
- Dislikes: 3
결로원인분석자료 > 선경하우징
습기와 결로 1. 습기의 기초사항 (1) 수증기압 수증기는 눈으로 볼 수 없으나 눈으로 볼 수 있는 안개나 발생 증기는 공기중에 떠다니는 물방울이다. 수증기의 분자는 주어진 공간을 빠르게 차지한 후 접촉표면의 각 부분으로 수증기압을 작용하게 한다. 수증기 분자에 의한 수증기압(Vapour pressure)은 수증기량이 증가할수록 커진다. 공기 중에 포함된 수증기압은 건축재료를 통과하는 수증기의 양을 계산하는데 사용된다. 수증기압(f)의 단위는㎜Hg 또는 ㎏/㎠, Pa(파스칼)이 사용된다. 1.0 Pa= 1.0 N/㎡, 1.0 ㎏/㎠=735.56 ㎜Hg, 1.0 ㎜Hg= 133.32 Pa (2) 포화수증기압 포화수증기압(Saturated vapour pressure)은 어떤 공기가 주어진 온도에서 액체가 증발하는 분자의 수와 응축하는 분자의 수가 같아지는 상태로 공기가 포함할 수 있는 최대한의 수증기압을 말한다. 즉 어떤 온도상태 하에서 공기가 더 이상의 수증기를 함유할 수 없어 기체상태에서 액체상태로 변화하기 직전까지의 수증기압을 말한다. 표 5-1 수증기의 포화수증기압 온도[℃] 포화수증기압[㎜Hg] 온도[℃] 포화수증기압[㎜Hg] 온도[℃] 포화수증기압[㎜Hg] 0 1 2 3 4 5 6 7 8 9 4.58 4.93 5.29 5.68 6.10 6.54 7.01 7.51 8.04 8.61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9.21 9.85 10.52 11.23 11.99 12.79 13.64 14.53 15.48 16.48 20 25 30 40 50 60 70 80 90 99 17.66 23.77 31.85 55.38 92.63 149.59 234.00 355.62 526.39 733.95 (3) 노점온도 어떤 불포화된 습공기를 계속 냉각하면 일정온도에 도달하여 그 공기는 포화상태가 된다. 포화상태란 건구온도와 습구온도가 동일한 상태인 상대습도가 100%가 되는 것으로 더 이상의 수증기를 포함하지 않고 응축되어 이슬이 맺혀지는 상태를 말한다. 즉 공기중의 수증기가 응축되어 이슬이 형성되는 온도가 노점온도(Dew point temperature)이다. 노점온도 이하에서 건축재료의 표면과 접촉하여 얇은 액체막이 생성되는 것을 결로(Condensation)라고 한다. 2. 습기와 열전도율의 관계 각종 건축재료의 열전도율은 습기 함유상태에 따라 열전도 성능이 변화한다. 일반적으로 건축재료는 평균 평형함수상태의 열전도율 값을 사용하나 결로 등과 같이 습기량의 변화가 생기면 열전도율은 수정된 값을 사용해야한다. 무기질 재료의 습기함유량이 1%, 3%, 5%에 따라 증가할 때 열전도율은 32%, 75%, 144% 정도로 증가한다. 즉 습기의 함유량이 많을수록 열전도율은 높다.
표 5-2 습기함유량에 따른 건축재료의 열전도율 재료명 습기함유량 열전도율 증가율[%] 무게비[%] 체적비[%] 벽돌 성형벽돌 콘크리트 플라스터 판 섬유질 단열재 광물질 단열재 성형 프라스틱 재료 – – – – 20 5 5 1 2 5 2 – – – 20 12.5 12 12.5 1 2 2
3. 결로 3-1. 결로의 원인 어떤 습공기가 그 공기의 노점온도 이하가 되는 구조체와 접촉할 때 구조체 내부 또는 구조체 실내표면에서 발생하는 것을 결로라 한다. 결로의 원인으로는 다음과 같다. 1) 실내습기의 과다발생 2) 실내외 온도차 3) 건물의 사용패턴 변화에 의한 환기부족 4) 구조체의 열적특성 5) 시공불량 6) 시공직후 미건조 상태
(1) 실내습기의 과다발생
표 5-3 실내의 습기 발생요인과 발생량 습기발생요인 요리와 접시닦기 운동 집안청소 샤워 식물성장 습기량 2.7㎏/day 2.3㎏/인·day 0.15㎏/㎡·회 0.23㎏/회 0.9㎏/㎡·day
표 5-4 작업상태별 인체의 수분 발생량[g/h] 수분발생량 작업상태 [g/h] 실내온도[℃] 5 10 15 20 25 30 35 취침(就寢) 정좌(靜坐) 경동작(輕動作) 중동작(中動作) 중동작(重動作) – 28 41 48 96 – 28 45 66 141 45 28 73 107 190 55 34 109 158 270 67 57 162 252 324 81 94 206 266 363 – 132 250 311 385
(2) 실내외 온도차 건물내에서 결로발생은 동계에 극심하며 그 원인은 난방에 따른 실내외의 높은 온도차 때문이다. 더운 공기는 찬 공기보다 더 많은 수증기를 포함하므로 그 자체는 결로가 발생되지 않는다. 그러나 더운 공기중에 과대하게 들어있는 수증기는 공기가 냉각하면서 결로를 유발한다.
(3) 구조체의 열적특성 구조체에 의해 발생하는 결로의 원인은 크게 구조체의 열용량과 열교현상으로 구분된다. ① 열용량 구조체의 열용량에 의해 온도가 변화하는 속도는 결로발생에 영향을 미친다. 열용량이 큰 벽돌벽이나 콘크리트 바닥과 같은 중량구조체는 경량구조체보다 난방에 대한 반응이 늦기 때문에 난방하는 도중에 잠시 동안 결로가 발생할 수 있다. ② 열교현상 건물의 테두리보, 슬래브지붕, 발코니의 돌출부위 등은 단열을 연속적으로 할 수 없는 단열의 취약부위에서 열의 출입에 의한 열교현상에 의해 결로가 발생할 수 있다.
3-2. 결로의 종류와 결로의 피해 (1) 결로의 종류 결로의 종류는 결로의 발생부위와 발생시기에 따라 분류된다. 가. 결로의 발생부위 ① 표면결로 표면결로(Surface condensation)는 벽, 유리창, 천장 및 바닥의 표면에 발생하는 결로를 말한다. 표면결로는 건물의 표면온도가 접촉하고 있는 공기의 포화상태 온도(노점온도)보다 낮을 때에 그 표면에 수증기막이나 물방울이 나타나는 현상이다. 예를 들면 욕실에서 거울위에 서리는 김이나 물방울, 난방 된 실내에서 유리창의 내표면에 생기는 물기, 여름철에 흙에 접한 지하실의 실내표면에 물방울이 발생한다. 표면결로 발생이 우려되는 곳은 벽체의 연결부위인 모서리 부분과 창의 상인방 등 단열이 어려운 부분들이다. 특히 모서리 부분은 단열성능을 3배로 강화하여 시공하도록 한다. ② 내부결로 내부결로(Interstitial condensation)는 구조체내 경계면이나 재료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결로를 말한다. 내부결로는 건물의 구조체 내부의 다공질 재료에 함유되어 있는 수증기압이 그 온도에 대한 포화수증기압 이상으로 될 때, 즉 재료의 내부온도가 노점온도보다 낮을 때에 그 재료 내부에 수증기막이나 물방울이 나타나는 현상이다. 단열재와 같이 공극을 다량 함유한 재료에 내부결로가 발생하면 단열성능이 저하되고 썩게된다. 또한 결로된 부분의 온도가 0℃ 이하로 되면 팽창되어 구조를 파괴할 수 있다.
3-3. 결로의 판정 구조체의 결로여부를 판정하는 방법에는 노점온도를 구한 후 전열과정과 온도구배에 의하여 판정하는 방법과 전습과정(傳濕過程)에 의한 구조체의 투습량과 투습구배에 의하여 결로여부를 판정하는 방법이 있다. (1) 투습량 구조체를 통과하는 수증기의 이동량인 투습량(ω)을 구하는 식은 열의 전열과정의 식과 동일하다. 즉 구조체내 수증기는 열의 이동에서의 실내외 온도차(Δt)와 마찬가지로 실내외 수증기압차(Δf)에 의해 비례하여 이동한다. 투습량을 구하는 식은 다음과 같다.
omega =K’ TIMES A TIMES (f_i -f_o )&[g/h] K’=&{1over{{ 1over {alpha_i ‘}}+ SUM d over {lambda’} +{1over {alpha_o ‘}}}} 표 5-5 각종 재료의 투습저항 재료 두께[㎜] 투습저항[㎡h㎜Hg/g] 재료 두께[㎜] 투습저항[㎡h㎜Hg/g] 셀로판 폴리스틸렌 아스팔트 펠트 아스팔트 루핑 폴리에틸렌 시트 플라스터 에나멜 2회마감칠 0.1 1.0 0.7 – 0.05 19 – 3.13∼1.92 33.333 4.65 300 263∼227 2.47 83.3∼43.5 콘크리트 1:2:4 모르타르 1:4 라왕합판 암면 기밀공기층 외기측 벽면공기 실내측 벽면공기 100 21 2.8 25∼50 〉20 – – 44.8 4.25 1.85 0.38∼0.76 0.267 0.02 0.01
(2) 투습구배 어떤 구조체내 재료층에서의 수증기 이동에 의한 수증기압의 변화, 즉 투습구배(Vapour gradient)도 각 재료층을 통과하는 열의 이동에 대한 온도구배와 동일하다. 구조체 표면에서부터 x 지점까지의 수증기압을 구하는 식은 다음과 같다. {DELTA f} over {DELTA f_T}={DELTA R_V} over { R_VT} DELTA f= f_i – f_x ={ DELTA R_V} over {R_VT } TIMES DELTA f_T THEREFORE & f_x =f_i -{ DELTA R_V}over{ R_VT } TIMES (f_i -f_o )
3-4. 결로의 방지대책 결로의 발생원인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에는 크게 환기, 난방, 단열의 세 가지로 분류된다. 첫째, 환기를 통해 습한 공기를 제거하여 실내의 결로를 방지한다. 수증기 발생이 많은 부엌이나 화장실에 배기구나 배기팬을 설치한다. 둘째, 난방을 통해 건물내부의 표면온도를 올리고 실내온도를 노점온도 이상으로 유지시킨다. 난방방법은 낮은 온도로 난방시간을 길게 하는 것이 높은 온도로 난방시간을 짧게 하는 것보다 유리하다. 셋째, 단열을 통해 구조체의 열손실 방지와 보온의 역할을 하도록 한다. (1) 표면결로의 방지대책 실내표면온도가 실내공기의 노점온도를 초과하기 위한 표면결로의 방지대책은 다음과 같다. 1) 실내에서 발생하는 수증기를 억제한다. 2) 환기에 의해 실내 절대습도를 저하한다. 3) 단열강화에 의해 실내측 표면온도를 상승시킨다. 4) 직접가열이나 기류촉진에 의해 표면온도를 상승시킨다.
(2) 내부결로의 방지 내부결로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열관류의 온도구배식에서 구한 구조체 내부의 온도가 그 지점에서의 노점온도를 초과해야 한다. 이에 따른 내부결로의 방지대책은 다음과 같다. 1) 벽체내부로 수증기의 침입을 억제한다. 2) 벽체내부 온도가 노점온도 이상 되도록 단열을 강화한다.(열관류율을 적게 하여 열관류저항을 높힌다) 3) 단열공법은 외단열로 한다. 4) 내부결로를 방지하기 위해 방습층은 온도가 높은 단열재의 실내측에 위치한다. 5) 벽체내부 단열재 실외측에 공기층을 두어 통기시킨다.(단, 단열성능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단열재 외기측 표면에 방풍층을 설치한다)
결로방지를 위해 고려할 사항과 결로방지 대책 – 나타
옥내수영장은 고온 다습하므로 겨울철은 외벽면, 유리창, 천정등이 외기의 영향을 받아 실내측 표면온도가 실내공기의 노점온도 이하가 되어 결로가 발생하며 여름철에는 천정의 실내측 표면온도가 냉방실이나 매설배관등의 영향으로 실내공기의 노점온도 이하가 되어 결로가 생기게 됩니다.
건축물에서 내외부 온도차와 습도 조건에 따라서 실내에 결로가 발생할수가 있습니다. 결로가 발생하게 되면 건축물에 피해를 주게됩니다.결로방지를 위해서 고려할사항과 결로방지 대책은 어떤것들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물의 증발에 의해 Pool 상부 천정부근의 수증기 분압이 높아져 결로의 우려가 되므로 기류의 유동확산과 더불어 천정의 구배를 주어 물방울 모임부를 만들고 Drain을 시킬수 있는 구조로 해야합니다.
27 thg 3, 2021 — 2. 결로방지 대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벽, 천정, 유리등 실내측 표면온도가 실내공기의 노점온도 이하로 내려가지 않도록 k값을 제한하기 위해 벽의 …
- Source: nata.kr
- Views: 76008
- Publish date: 24 hours ago
- Downloads: 91431
- Likes: 7983
- Dislikes: 2
- Title Website: 결로방지를 위해 고려할 사항과 결로방지 대책 – 나타
- Description Website: 27 thg 3, 2021 — 2. 결로방지 대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벽, 천정, 유리등 실내측 표면온도가 실내공기의 노점온도 이하로 내려가지 않도록 k값을 제한하기 위해 벽의 …
- Source: Youtube
- Views: 24261
- Date: 9 hours ago
- Download: 104856
- Likes: 4398
- Dislikes: 2
결로방지를 위해 고려할 사항과 결로방지 대책
건축물에서 내외부 온도차와 습도 조건에 따라서 실내에 결로가 발생할수가 있습니다. 결로가 발생하게 되면 건축물에 피해를 주게됩니다.결로방지를 위해서 고려할사항과 결로방지 대책은 어떤것들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결로방지를 위해 고려할 사항
결로가 생기게 되면 곰팡이가 생기게 되고 천정에 맺힌 물방울이 성장하여 낙하하게 되면 인체에 불쾌감을 주게 되며 수질오염의 원인이 될수 있습니다.
Pool의 Deck 부분은 Panel heating 으로 하고 온풍난방으로 환기와 더불어 기류를 형성하여 결로 방지를 하게 됩니다.
옥내수영장은 고온 다습하므로 겨울철은 외벽면, 유리창, 천정등이 외기의 영향을 받아 실내측 표면온도가 실내공기의 노점온도 이하가 되어 결로가 발생하며 여름철에는 천정의 실내측 표면온도가 냉방실이나 매설배관등의 영향으로 실내공기의 노점온도 이하가 되어 결로가 생기게 됩니다.
물의 증발에 의해 Pool 상부 천정부근의 수증기 분압이 높아져 결로의 우려가 되므로 기류의 유동확산과 더불어 천정의 구배를 주어 물방울 모임부를 만들고 Drain을 시킬수 있는 구조로 해야합니다.
2. 결로방지 대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주제에 대한 관련 정보 결로 방지 대책
Bing에서 결로 방지 대책 주제에 대한 최신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주제에 대한 기사 보기를 마쳤습니다 결로 방지 대책. 이 기사가 유용했다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이 주제와 관련하여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결로 방지 대책 결로방지 테이프, 결로 해결방안, 결로방지단열재, 하계 표면 결로방지 조치, 창문 결로 방지, 내부결로, 결로 원인, 결로현상 원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