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에 대한 기사를 찾고 있습니까 “국내 야구 연봉 순위“? 웹사이트에서 이 주제에 대한 전체 정보를 제공합니다 c2.chewathai27.com/ 탐색에서: https://c2.chewathai27.com//blog. 바로 아래에서 이 주제에 대한 자세한 답변을 찾을 수 있습니다. 찾고 있는 주제를 더 잘 이해하려면 끝까지 읽으십시오. 더 많은 관련 검색어: 국내 야구 연봉 순위 세계 야구 연봉 순위, 프로야구 감독 연봉, mlb 야구선수 연봉, mlb 야구선수 연봉 순위, 프로야구 2군 연봉, 프로야구 팀 연봉 순위, 김광현 연봉, MLB 야구 선수 최고 연봉
이대호, 양현종, 양의지 외에 키움 박병호 20억원, SK 이재원 13억원, LG 김현수 13억원, 삼성 강민호 12억5,000만원, KT 황재균 12억원, 한화 정우람 8억원, 두산 김재환과 김재호가 각각 6억5,000만원으로 각 구단의 최고 연봉 선수로 등록됐다.
2020 KBO 소속선수 등록 및 연봉 현황 발표
소속팀에서의 활약 뿐만 아니라 국가대표팀에서도 핵심 멤버로 자리 잡은 KBO 리그의 ‘젊은 피’ 키움 김하성과 이정후가 각각 7년차와 4년차 최고 연봉 신기록을 세웠다. 김하성은 올 시즌 5억5,000만원(2019년 3억2,000만원)에 최종 사인해, 2012년 한화 류현진과 2018년 NC 나성범의 4억3,000만원을 가뿐히 뛰어넘었다. 이정후 역시 3억9,000만원(2019년 2억3,000만원)에 도장을 찍어 4년차 최고 연봉인 2009년 류현진의 2억4,000만원을 넘어섰다.
SK 하재훈은 2019년 2,700만원에서 455.6%가 뛰어오른 1억5,000만원에 계약해 역대 최고 인상률 신기록을 작성했다. 종전 최고 인상률이었던 2007년 한화 류현진의 400%(2,000만원→1억원)의 기록을 13년만에 갈아치웠다. 데뷔 첫 해 36세이브로 역대 KBO 리그 데뷔 시즌 최다 세이브 신기록을 달성한 하재훈은 슈퍼루키 KT 강백호가 지난해 기록한 2년차 최고 연봉 1억2,000만원도 넘어섰다.
신인과 외국인선수를 제외한 소속선수 512명의 평균 연봉은 1억4,448만원으로 2019년 1억5,065만원에서 4.1% 감소했다. 2018년 리그 최초로 1억5,000만원을 돌파한 이후 2년만에 감소세로 돌아섰다. 구단 별 평균 연봉은 NC가 1억6,581만원으로 가장 높고, LG의 평균연봉은 전년대비 2,662만원, 19.7%가 증가한 1억6,148만원으로 전 구단 중 최고 인상액과 인상률을 기록했다.
- Source: www.koreabaseball.com
- Views: 50899
- Publish date: 3 hours ago
- Downloads: 95478
- Likes: 8470
- Dislikes: 6
- Title Website: 2020 KBO 소속선수 등록 및 연봉 현황 발표
- Description Website:
- Source: Youtube
- Views: 63441
- Date: 41 minute ago
- Download: 83177
- Likes: 5944
- Dislikes: 7
KBO 홈페이지
– KBO 리그 소속선수 신인 46명, 외국인선수 30명 포함 총 588명 등록, 최다 포지션은 투수 294명
– 신인, 외국인선수 제외한 리그 평균 연봉 1억4,448만원, 지난해 대비 4.1% 감소
– 1군 엔트리 등록 기준 구단 별 상위 28명 합산 평균 연봉 2억3,729만원, 지난해 대비 5.6% 감소
– SK 하재훈 연봉 지난해 대비 455.6% 인상, 역대 최고 인상률이었던 2007년 한화 류현진(400%) 기록 13년만에 경신
KBO(총재 정운찬)는 17일(월) 2020년 KBO 리그 소속선수 등록 및 연봉 현황을 발표했다.
올 시즌 KBO 리그에 등록한 선수단은 10개 구단의 감독 10명과 코치 260명, 선수 588명 등 총 858명으로, 지난해(844명) 대비 14명 늘어난 규모다.
전체 소속선수 중 투수가 294명으로 전체 포지션에서 50%를 차지했다. 뒤이어 내야수 139명(23.6%), 외야수 104명(17.7%), 포수 51명(8.7%) 순으로 등록됐다. 올해 KBO 리그에 처음 등록된 신인은 46명이며, 외국인선수는 신규계약 15명, 재계약 15명 등 총 30명이 등록을 마쳤다.
코칭스태프를 포함해 전체 선수단 규모가 가장 큰 구단은 한화가 93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뒤이어 롯데 92명, LG 90명, SK와 KT 89명, KIA 88명, 삼성 85명, 두산 84명, NC 75명 마지막으로 키움 73명 순이다.
2020년 KBO 리그에 등록된 10개 구단 선수(신인, 외국인선수 제외)들의 전체 연봉 규모는 739억7,400만원으로 2019년 754억7,800만원에 비해 15억400만원이 감소했다.
▲ 신인, 외국인 제외 선수 평균 연봉 1억4,448만원, 전년대비 4.1% 감소
신인과 외국인선수를 제외한 소속선수 512명의 평균 연봉은 1억4,448만원으로 2019년 1억5,065만원에서 4.1% 감소했다. 2018년 리그 최초로 1억5,000만원을 돌파한 이후 2년만에 감소세로 돌아섰다. 구단 별 평균 연봉은 NC가 1억6,581만원으로 가장 높고, LG의 평균연봉은 전년대비 2,662만원, 19.7%가 증가한 1억6,148만원으로 전 구단 중 최고 인상액과 인상률을 기록했다.
▲ 구단 별 연봉 상위 28명 합산 평균 연봉 2억3,729만원, 지난해보다 1,413만원 줄어
KBO 리그 엔트리 등록 기준(신인/외국인선수 제외)인 구단 별 상위 28명의 합산 평균 연봉은 2억3,729만원으로 지난해 2억5,142만원에 비해 1,413만원이 줄었다. 2014년 이후 5년만에 한국시리즈 진출에 성공한 키움 선수들의 평균 연봉이 2억2,525만원으로 전년대비 3,173만원, 16.4% 인상돼 10개 구단 중 최고 인상액과 인상률을 기록했다.
▲ 억대 연봉 선수 161명, 신인과 외국인선수를 제외한 512명 중 31.4%
올해 KBO 리그에서 연봉 1억원 이상을 받는 선수는 161명으로 지난해 156명에서 5명 증가했다. 억대 연봉 선수는 신인과 외국인선수를 제외한 512명 중 31.4%를 차지한다. 역대로 억대 연봉 선수가 가장 많았던 해는 2018년 164명이었으며, 2017년 163명에 이어 올해가 3번째로 많은 인원이다.
▲ 이대호, 4년 연속 KBO 리그 최고 연봉… KIA 양현종 전체 2위, 역대 투수 최고 연봉 유지
선수 개인 연봉을 살펴보면 롯데 이대호가 2017년 FA 계약 체결 이후 연봉 25억원으로 4년 연속 KBO 리그 최고 연봉 선수로 등록됐다. 올해로 20년차인 이대호는 2014년 삼성 이승엽의 20년차 최고 연봉(8억원) 기록 또한 큰 차이로 경신했다.
리그 전체 2위이자 투수 부문 최고 연봉 선수는 KIA 양현종으로 지난해와 동일한 23억원에 계약을 마쳤다. 양현종은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투수 부문 1위로 역대 투수 최고 연봉 기록도 유지했다. 더불어 지난해 FA 계약을 통해 14년차 최고 연봉 신기록을 달성했던 NC 양의지의 20억원도 경신했다. 양의지는 한화 김태균, 키움 박병호(15억원)가 가지고 있던 15년차 최고 연봉 기록을 깼다.
이대호, 양현종, 양의지 외에 키움 박병호 20억원, SK 이재원 13억원, LG 김현수 13억원, 삼성 강민호 12억5,000만원, KT 황재균 12억원, 한화 정우람 8억원, 두산 김재환과 김재호가 각각 6억5,000만원으로 각 구단의 최고 연봉 선수로 등록됐다.
▲ 2019년 세이브왕 하재훈 연봉 지난해 대비 455.6% 인상, 역대 최고 인상률 신기록
SK 하재훈은 2019년 2,700만원에서 455.6%가 뛰어오른 1억5,000만원에 계약해 역대 최고 인상률 신기록을 작성했다. 종전 최고 인상률이었던 2007년 한화 류현진의 400%(2,000만원→1억원)의 기록을 13년만에 갈아치웠다. 데뷔 첫 해 36세이브로 역대 KBO 리그 데뷔 시즌 최다 세이브 신기록을 달성한 하재훈은 슈퍼루키 KT 강백호가 지난해 기록한 2년차 최고 연봉 1억2,000만원도 넘어섰다.
▲ ‘영건’ 김하성, 이정후 2년 연속 해당 연차 최고 연봉 신기록
소속팀에서의 활약 뿐만 아니라 국가대표팀에서도 핵심 멤버로 자리 잡은 KBO 리그의 ‘젊은 피’ 키움 김하성과 이정후가 각각 7년차와 4년차 최고 연봉 신기록을 세웠다. 김하성은 올 시즌 5억5,000만원(2019년 3억2,000만원)에 최종 사인해, 2012년 한화 류현진과 2018년 NC 나성범의 4억3,000만원을 가뿐히 뛰어넘었다. 이정후 역시 3억9,000만원(2019년 2억3,000만원)에 도장을 찍어 4년차 최고 연봉인 2009년 류현진의 2억4,000만원을 넘어섰다.
▲ 최고령 등록 선수 박용택과 최연소 등록 선수 이강준, 22년 차
2020 KBO 리그의 최고령 선수는 LG 박용택이다. 1월 31일 등록 기준 나이가 만 40세9개월10일로 집계됐다. 최연소 선수는 KT 신인 투수 이강준으로, 박용택과는 무려 22년 이상 차이 나는 만 18세1개월17일의 나이로 등록됐다.
리그 전체 평균 연차는 8.5년에서 8.4년으로 0.1년 줄었으며, 외국인선수의 평균 연령은 30.1세로 지난해 30.6세 보다 0.5세 어려졌다. 평균 연령 27.3세, 평균 신장 1m83cm, 평균 체중 87.5kg으로 지난해와 동일하다.
최장신 선수는 NC의 신규 외국인 투수 마이크 라이트와 한화 신인 투수 신지후가 1m98cm로 등록됐고, 최단신 선수는 삼성 신인 내야수 김지찬이 1m63cm로 2017년 등록했던 삼성 김성윤과 함께 역대 최단신 선수로 기록됐다.
소속선수 등록을 마친 2020 KBO 리그는 3월 14일(토)부터 열리는 시범경기를 통해 야구팬들과 먼저 만난다. 본격적인 승부는 3월 28일 토요일로 720경기 대장정의 막을 올린다. 끝.
* 별첨 1. 2020 KBO 리그 구단 별 선수 명단
* 별첨 2. 2020 KBO 리그 선수단 등록 현황
가. 등록 현황
1) 2020년 구단별 선수단 등록인원
2) 2020년 위치별 소속선수 현황
3) 2020년 소속선수 평균 연차 현황
4) 1982년-2020년 KBO 리그 비교
5) 2020년 외국인선수 현황
6) 2020년 소속선수 기타 참고사항
나. 2020 KBO 소속선수 연봉 현황.
7) 2020년 구단별 연봉 상위 28위 기준 평균 연봉 비교
8) 2019년-2020년 구단별 소속선수 평균 연봉 비교
9) 2019년–2020년 소속선수 연봉 및 신인선수 계약금 비교
10) 2020년 구단별 코칭스탭 평균 연봉
11) 2020년 계약금 상위 신인선수 현황
12) 역대 연봉 최고 인상금액 및 인상률 10걸
13) 2020년 구단별 선수연봉 상위 5걸
14) 2020년 연차별 연봉 최고액 선수
15) 2020년 부문별 연봉 상위 10걸
16) 2020년 위치별 연봉 상위 4걸
17) KBO 억대 연봉 현황(1985~2020)(별첨)
* 별첨 3. 숫자로 본 2020 KBO 리그 선수 현황
한국 프로야구 KBO 2022 시즌 선수 연봉 순위 – 빌딩멘토
그리고 2022 시즌 KBO 신인 계약금 순위는 <한화> 문동주 5억, <기아> 김도영 4억,
위와 같은 이유에서 이번 시즌을 앞두고 비 FA 다년 계약을 했던 구자욱(5년 120억), 박종운(5년 65억), 한유섬(5년 60억), 문승원(5년 55억) 선수 등이 2022년 연봉 비중을 압도적으로 높이면서 연봉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습니다.
한편 이번 시즌을 앞두고 FA 100억 이상 계약한 선수들을 살펴보면 <기아> 나성범 6년 150억, <두산> 김재환 4년 115억,
20 thg 3, 2022 — 2022 시즌 국내 프로야구 KBO 선수 중에서 가장 많은 연봉을 받는 선수는 와 4년 최대 151억(옵션 20억 포함)에 계약한 김광현 선수입니다.
- Source: bdmentor.tistory.com
- Views: 88487
- Publish date: 6 minute ago
- Downloads: 99658
- Likes: 114
- Dislikes: 9
- Title Website: 한국 프로야구 KBO 2022 시즌 선수 연봉 순위 – 빌딩멘토
- Description Website: 20 thg 3, 2022 — 2022 시즌 국내 프로야구 KBO 선수 중에서 가장 많은 연봉을 받는 선수는 와 4년 최대 151억(옵션 20억 포함)에 계약한 김광현 선수입니다.
KBO 프로야구 억대 연봉 선수 순위 Top15 (1997 – 2020)
- Source: Youtube
- Views: 96389
- Date: 14 hours ago
- Download: 105626
- Likes: 9690
- Dislikes: 2
한국 프로야구 KBO 2022 시즌 선수 연봉 순위
2022 시즌 국내 프로야구 KBO 선수 중에서 가장 많은 연봉을 받는 선수는
와 4년 최대 151억(옵션 20억 포함)에 계약한 김광현 선수입니다. 김광현 선수는 이번 시즌에만 보장 연봉의 약 62%인 81억을 몰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유는 다음 시즌부터 KBO에 도입되는 샐러리캡 규정 때문입니다.
샐러리캡이란 구단 선수들의 연봉 총액 상한선이 있는 제도로 내년부터 2021년과 2022년에 구단 연봉 상위 40인의 총액 평균 120%에서 제한됩니다.(외국인 선수 제외)
위와 같은 이유에서 이번 시즌을 앞두고 비 FA 다년 계약을 했던 구자욱(5년 120억), 박종운(5년 65억), 한유섬(5년 60억), 문승원(5년 55억) 선수 등이 2022년 연봉 비중을 압도적으로 높이면서 연봉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습니다.
한편 이번 시즌 구단별 평균 연봉 순위는
가 압도적인 1위이며 다음은 , <삼성>, <두산>, , <기아>, , <롯데>, <키움>, <한화> 순이었습니다. 지금부터는 2022년 KBO 선수 연봉 순위 Top 10을 타자와 투수 그리고 외국인 선수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이번 시즌 FA 고액 계약자들과 신인 선수 계약금 순위도 알아보겠습니다.
KBO 타자 연봉 순위 Top 10
추신수 27억 <삼성> 구자욱 25억
한유섬 24억 <기아> 나성범 20억
박건우 19억
손아섭 15억
김현수 15억 <두산> 김재환 15억
<두산> 허경민 12억
최정 12억 KBO 투수 연봉 순위 Top 10
김광현 81억
박종훈 18억 <삼성> 오승환 16억
문승원 16억 <기아> 양현종 10억
<한화> 정우람 8억
<삼성> 백정현 8억
이용찬 4억 <키움> 조상우 3억 4000
<두산> 최원준 3억 4000
<키움> 최원태 3억 1000
KBO 외국인 선수(계약금과 옵션 포함)
드류 루친스키 200만 달러 <두산> 아리엘 미란다 190만 달러
<삼성> 데이비드 뷰캐넌 170만 달러
케이시 켈리 150만 달러
윌머 폰트 150만 달러
오드리사머 데스파이네 135만 달러 <키움> 에릭 요키시 130만 달러
<삼성> 호세 피렐라 120만 달러
<두산> 호세 페르난데스 110만 달러
윌리엄 쿠에바스 110만 달러 한편 이번 시즌을 앞두고 FA 100억 이상 계약한 선수들을 살펴보면 <기아> 나성범 6년 150억, <두산> 김재환 4년 115억,
김현수 4+2년 115억, <기아> 양현종 4년 103억, 박건우 6년 100억 등입니다. 그리고 2022 시즌 KBO 신인 계약금 순위는 <한화> 문동주 5억, <기아> 김도영 4억,
박영현 3억, 조원태/ 윤태현 2억 5000, <삼성> 이재현 2억 2000, <롯데> 이민석/<한화> 박준영 2억 등입니다.(신인 연봉은 모두 3천이다.)
2021년 야구 선수 연봉 순위(국내) – IT와 잡동사니 지식
이번글은 한국 프로야구 KBO의 프로야구선수의 연봉을알아보겠습니다. 2021년 야구 선수 연봉은 2020년 전체에 평균에 비해 15.1% 감소하였습니다. 그 이유는 2020년 코로나로인해 제대로 경기가 진행되지 않았던 점과 고액 연봉 선수들인 박용택, 김태균 선수들이 은퇴하였고 프로야구로 떠난 사람들도 있습니다.
20201년 신인과 외국인 선수를 제외한 10개 구단 소속 선수는 총 532명이며 평균연봉은 1억 2,273만원이로 2020년 1억 4,448만원에서 약 15% 감소하였습니다. 반면 평균나이는 더 젊어졌습니다. 선수들의 연봉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 Source: kasper1030.tistory.com
- Views: 22009
- Publish date: 9 hours ago
- Downloads: 90074
- Likes: 3752
- Dislikes: 9
- Title Website: 2021년 야구 선수 연봉 순위(국내) – IT와 잡동사니 지식
- Description Website:
2021년 대한민국 남자 스포츠스타 연봉순위는?? 류현진, 손흥민은 몇 위?
- Source: Youtube
- Views: 49068
- Date: 44 minute ago
- Download: 25257
- Likes: 3163
- Dislikes: 8
2021년 야구 선수 연봉 순위(국내)
이번글은 한국 프로야구 KBO의 프로야구선수의 연봉을알아보겠습니다. 2021년 야구 선수 연봉은 2020년 전체에 평균에 비해 15.1% 감소하였습니다. 그 이유는 2020년 코로나로인해 제대로 경기가 진행되지 않았던 점과 고액 연봉 선수들인 박용택, 김태균 선수들이 은퇴하였고 프로야구로 떠난 사람들도 있습니다.
20201년 신인과 외국인 선수를 제외한 10개 구단 소속 선수는 총 532명이며 평균연봉은 1억 2,273만원이로 2020년 1억 4,448만원에서 약 15% 감소하였습니다. 반면 평균나이는 더 젊어졌습니다. 선수들의 연봉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순위 구단 위치 선수명 연봉 1 SK 외야수 추신수 270,000 2 NC 포수 양의지 150,000 2 키움 내야수 박병호 150,000 4 SK 내야수 최 정 120,000 5 삼성 투수 오승환 110,000 5 SK 포수 이재원 110,000 6 두산 내야수 허경민 100,000 6 LG 외야수 김현수 100,000 7 KIA 외야수 최형우 90,000 8 KT 내야수 황재균 80,000 8 롯데 내야수 이대호 80,000 8 한화 투수 정우람 80,000 11 NC 외야수 나성범 78,000 12 두산 외야수 김재환 76,000 13 NC 내야수 박석민 70,000 14 SK 내야수 최주환 65,000 15 NC 내야수 박민우 63,000 16 두산 내야수 김재호 60,000 16 두산 외야수 정수빈 60,000 16 LG 내야수 오지환 60,000 16 삼성 내야수 오재일 60,000 20 키움 외야수 이정후 55,000 21 KT 외야수 유한준 50,000 21 롯데 내야수 전준우 50,000 21 롯데 외야수 손아섭 50,000 21 롯데 외야수 민병헌 50,000 21 삼성 포수 강민호 50,000 26 두산 외야수 박건우 48,000 27 KIA 내야수 김선빈 45,000 28 KT 내야수 박경수 40,000 28 LG 내야수 김민성 40,000 28 KIA 외야수 나지완 40,000 28 한화 내야수 이성열 40,000 32 삼성 외야수 박해민 38,000 33 삼성 외야수 구자욱 36,000 34 키움 투수 조상우 33,000 35 SK 투수 박종훈 32,000 36 KT 내야수 강백호 31,000 37 NC 투수 원종현 30,000 37 NC 내야수 모창민 30,000 37 두산 투수 유희관 30,000 37 두산 내야수 오재원 30,000 37 LG 투수 차우찬 30,000 37 LG 포수 유강남 30,000 37 LG 외야수 채은성 30,000 37 키움 포수 이지영 30,000 37 삼성 내야수 이원석 30,000 37 SK 투수 김상수 30,000 37 SK 투수 문승원 30,000 37 SK 외야 정의윤 30,000 49 키움 투수 최원태 29,000 49 키움 투수 한현희 29,000 49 롯데 내야수 안치홍 29,000 52 삼성 투수 심창민 28,000 53 NC 외야수 이명기 27,000 53 LG 투수 송은범 27,000 55 두산 포수 박세혁 26,000 55 한화 포수 최재훈 26,000 57 삼성 투수 백정현 25,500 58 NC 투수 구창모 25,000 58 KT 투수 주권 25,000 58 LG 투수 진해수 25,000 58 삼성 내야수 김상수 25,000 58 SK 내야수 김성현 25,000 63 NC 내야수 노진혁 23,000 63 키움 포수 박동원 23,000 65 키움 내야수 서건창 22,500 66 LG 투수 임찬규 22,000 67 KT 포수 장성우 21,000 67 LG 내야수 양석환 21,000 67 삼성 외야수 김동엽 21,000 70 NC 투수 김진성 20,000 70 NC 투수 이재학 20,000 70 NC 포수 김태군 20,000 70 KT 투수 이보근 20,000 70 LG 투수 정찬헌 20,000 70 키움 투수 오주원 20,000 70 롯데 투수 노경은 20,000 70 삼성 투수 우규민 20,000 70 SK 외야 김강민 20,000 79 두산 투수 이영하 19,000 79 LG 외야수 이천웅 19,000 81 LG 투수 고우석 18,000 81 LG 투수 정우영 18,000 81 LG 외야수 이형종 18,000 81 SK 외야수 한유섬 18,000 85 한화 외야수 노수광 17,300 86 NC 외야수 권희동 17,000 86 KT 투수 김재윤 17,000 86 KT 투수 배제성 17,000 86 키움 내야수 김혜성 17,000 86 롯데 투수 김원중 17,000 86 SK 투수 서진용 17,000 92 두산 투수 함덕주 16,500 92 롯데 투수 박세웅 16,500 92 삼성 투수 장필준 16,500 95 두산 투수 박치국 16,000 95 두산 투수 최원준 16,000 95 KIA 투수 박준표 16,000 95 삼성 투수 최채흥 16,000 95 삼성 외야수 김헌곤 16,000 95 SK 투수 김태훈 16,000 101 두산 투수 윤명준 15,600 102 KT 내야수 심우준 15,500 102 삼성 투수 김대우 15,500 104 한화 투수 장시환 15,400 105 롯데 투수 구승민 15,000 105 삼성 투수 이승현 15,000 107 NC 투수 임창민 14,000 107 KT 투수 소형준 14,000 107 KT 외야수 배정대 14,000 107 LG 내야수 정주현 14,000 107 KIA 투수 전상현 14,000 112 한화 내야수 하주석 13,500 113 NC 투수 임정호 13,000 113 KT 외야수 조용호 13,000 113 KIA 외야수 최원준 13,000 113 삼성 투수 원태인 13,000 117 NC 내야수 강진성 12,000 117 KT 투수 고영표 12,000 117 LG 투수 최동환 12,000 117 키움 투수 양현 12,000 117 롯데 투수 박진형 12,000 117 삼성 투수 최지광 12,000 117 삼성 내야수 강한울 12,000 117 한화 내야수 정은원 12,000 117 한화 외야수 정진호 12,000 126 NC 투수 문경찬 11,500 126 NC 투수 박진우 11,500 128 NC 투수 송명기 11,000 128 NC 투수 홍성민 11,000 128 두산 투수 김강률 11,000 128 두산 투수 홍건희 11,000 128 키움 외야수 박준태 11,000 128 롯데 내야수 한동희 11,000 128 SK 투수 박민호 11,000 128 SK 외야 고종욱 11,000 136 KT 투수 전유수 10,500 136 LG 투수 임정우 10,500 136 KIA 투수 장현식 10,500 136 KIA 내야수 유민상 10,500 140 NC 투수 강윤구 10,000 140 NC 투수 최금강 10,000 140 NC 내야수 지석훈 10,000 140 NC 외야수 김성욱 10,000 140 두산 투수 이승진 10,000 140 LG 내야수 김용의 10,000 140 LG 외야수 홍창기 10,000 140 키움 투수 김태훈 10,000 140 키움 투수 이승호 10,000 140 키움 외야수 이용규 10,000 140 KIA 투수 김윤동 10,000 140 KIA 투수 임기영 10,000 140 KIA 내야수 나주환 10,000 140 KIA 내야수 류지혁 10,000 140 KIA 내야수 박찬호 10,000 140 롯데 내야수 정훈 10,000 140 삼성 투수 임현준 10,000 140 SK 투수 이태양 10,000 140 한화 투수 장민재 10,000 140 한화 내야수 오선진 10,000
해당자료는 KBO 사이트에서 출처하였습니다.
SK와이번스가 모태였던 신세계 랜더스가 평균연봉이 가장높은것으로 나타났으며, 평균 연봉은 1억 7,421만원으로 오히려 연봉이 상승한 폭으로 꼽혔는데, 추신수선수와 최정선수와 같이 몸값이 높은 선수들이 많았던 것으로 분석됩니다.
참고로 2021년 야구 시즌은 4월 3일 전국 5개 구장에서 시작되었으며 팀당 총 144경기를 1년간 수행합니다. 참고로 저는 인천이 연고라 신세계 랜더스 팬인데, 이번에 과연 어떤 결과가 있을지 참 기대됩니다!
2022년 KBO 연봉 발표…평균 1억5천259만원으로 역대 최고
삼성은 2022 스프링캠프 시작일인 2월 3일 “구자욱과 5년 동안 연봉 90억원, 인센티브 30억원 등 총액 120억원에 다년 계약을 했다”고 밝혔다. 사진은 삼성과 계약한 구자욱. 2022.2.3
삼성 구자욱, 비 FA 최고 ‘5년 120억원’ 장기계약 구자욱(29·삼성 라이온즈)이 한국프로야구 비 FA(자유계약선수) 선수 중 가장 큰 규모인 ‘5년 120억원’에 계약했다.
이정후는 올해 7억5천만원에 연봉 계약을 했다. 류현진(토론토 블루제이스)이 한화에서 뛰던 2011년 기록했던 종전 6년 차 최고 연봉(4억원)보다 3억5천만원이나 많다.
21 thg 2, 2022 — 프로야구 10개 구단 중 외국인 선수와 신인을 제외한 평균 연봉이 가장 높은 팀은 SSG 랜더스로 2억7천44만원이다. SSG의 평균 연봉은 지난해 1억7천421 …
- Source: www.yna.co.kr
- Views: 94694
- Publish date: 51 minute ago
- Downloads: 4223
- Likes: 8499
- Dislikes: 5
- Title Website: 2022년 KBO 연봉 발표…평균 1억5천259만원으로 역대 최고
- Description Website: 21 thg 2, 2022 — 프로야구 10개 구단 중 외국인 선수와 신인을 제외한 평균 연봉이 가장 높은 팀은 SSG 랜더스로 2억7천44만원이다. SSG의 평균 연봉은 지난해 1억7천421 …
2021년 KBO 프로야구 가장 많은 연봉을 계약한 선수 TOP100
- Source: Youtube
- Views: 41052
- Date: 37 minute ago
- Download: 88781
- Likes: 2233
- Dislikes: 1
2022년 KBO 연봉 발표…평균 1억5천259만원으로 역대 최고
비 FA 다년 계약한 한유섬은 상승률 1천233.3%로 최고 기록 세워 연봉킹은 27억원의 추신수, 2위는 25억원 찍은 구자욱
2년 연속 KBO리그 연봉 1위 추신수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하남직 기자 = 한국프로야구 KBO리그 평균 연봉 신기록이 탄생했다.
KBO는 21일 ‘2022시즌 KBO리그 선수단 연봉 현황’을 공개했다.
신인과 외국인 선수를 제외한 10개 구단 소속 선수 527명의 평균 연봉은 1억5천259만원으로 집계됐다.
광고
종전 최고 평균 연봉 기록 1억5천65만원(2019년)을 194만원(1.3% 증가) 넘어선 역대 최고 평균 연봉이다.
KBO는 “KBO리그를 대표하는 핵심 선수들의 대형 자유계약선수(FA) 계약과 비 FA 선수들의 다년 계약이 다수 성사되면서 나온 결과”라고 분석했다.
지난해 억대 연봉 선수가 161명에서 올해 158명으로 줄어든 것을 보면 고액 연봉자의 증가가 평균 연봉을 끌어올렸다는 KBO의 분석이 더 설득력을 얻는다.
프로야구 10개 구단 중 외국인 선수와 신인을 제외한 평균 연봉이 가장 높은 팀은 SSG 랜더스로 2억7천44만원이다.
SSG의 평균 연봉은 지난해 1억7천421만원에서 무려 55.2% 증가해 10개 구단 중 가장 높은 인상률을 찍었다.
NC 다이노스는 평균 연봉 1억8천853만원으로 이 부문 2위에 올랐다. NC의 평균 연봉은 지난해(1억4천898만원)보다 26.5% 상승했다.
3위는 1억8천300만원의 삼성 라이온즈였다.
2021년 KBO리그 통합우승을 차지한 kt wiz의 평균 연봉은 지난해 1억711만원에서 19.9% 오른 1억2천847만원이 됐다.
평균 연봉이 가장 낮은 팀은 한화 이글스로 9천52만원이다. 한화는 유일하게 평균 연봉이 1억원 미만이다.
키움 히어로즈는 10개 구단 중 유일하게 평균 연봉이 감소(-9.9%)했다. 키움의 2022년 평균 연봉은 1억417만원이다.
KBO리그 엔트리 등록 기준(외국인선수 제외)인 구단별 상위 28명의 합산 평균 연봉 역시 SSG가 가장 높은 4억9천207만원을 기록했다.
엔트리 기준 전년 대비 가장 높은 인상률을 기록한 팀은 KIA 타이거즈로 연봉 총액 39억500만원에서 66억1천100만원으로 69.3%가 올랐다.
삼성 구자욱, 비 FA 최고 ‘5년 120억원’ 장기계약 구자욱(29·삼성 라이온즈)이 한국프로야구 비 FA(자유계약선수) 선수 중 가장 큰 규모인 ‘5년 120억원’에 계약했다.
삼성은 2022 스프링캠프 시작일인 2월 3일 “구자욱과 5년 동안 연봉 90억원, 인센티브 30억원 등 총액 120억원에 다년 계약을 했다”고 밝혔다. 사진은 삼성과 계약한 구자욱. 2022.2.3
[삼성 라이온즈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email protected]2022년 KBO리그 연봉 1위는 SSG 추신수다. 추신수는 지난해와 같은 27억원에 재계약해 2년 연속 ‘연봉킹’에 올랐다.
삼성과 비 FA 선수 중 가장 큰 규모인 ‘5년 120억원’에 계약한 구자욱은 올해 연봉 25억원을 받아, 전체 연봉 2위에 올랐다.
KBO는 비 FA 계약을 한 한유섬(SSG)과 4년 연속 연차별 최고 연봉 기록을 세운 이정후(키움)도 ‘주목할 사례’로 꼽았다.
한유섬은 지난해 연봉 1억8천만원에서 22억2천만원이 오른 24억원에 계약했다.
SSG는 FA 자격 획득을 1년 앞둔 한유섬과 5년 최대 60억원(연봉 56억원+옵션 4억원)에 비 FA 장기 계약을 했다. 그의 첫해 연봉은 24억원이다.
한유섬의 연봉 상승률은 1천233.3%로 역대 KBO리그 최고다.
2020년 SK 와이번스(당시 SSG) 하재훈의 455.5%(2천700만원→1억5천만원)를 훌쩍 뛰어넘었다.
한유섬은 2019년 양의지(NC)가 기록한 종전 역대 최고 인상액(14억원)도 뛰어넘었다.
역대 KBO리그 연봉 최고 인상률을 찍은 한유섬 [연합뉴스 자료사진]
이정후는 올해 7억5천만원에 연봉 계약을 했다. 류현진(토론토 블루제이스)이 한화에서 뛰던 2011년 기록했던 종전 6년 차 최고 연봉(4억원)보다 3억5천만원이나 많다.
이정후는 2019년부터 올해까지 4년 연속 해당 연차 최고 연봉 신기록을 작성했다.
2022년 KBO리그 최고령 선수는 올 시즌 이후 은퇴를 선언한 이대호(40·롯데)다. 이대호는 등록 시점 기준으로 만 39세 7개월 11일이다.
리그 최연소 선수는 올해 신인 최고 계약금 5억원을 받은 한화 투수 유망주 문동주로 만 18세 1개월 9일의 나이로 KBO리그에 등록했다.
KBO리그 전체 등록 선수의 평균 신장과 체중은 각각 182.9㎝, 87.4㎏으로 지난해 182.6㎝, 86.8㎏에서 소폭 상승했다.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22시즌 프로야구 평균연봉은 ↑, 억대 연봉자는 – 한겨레
지난해 타격왕 이정후(키움)는 6년차 최고 연봉 기록(7억5000만원)을 세웠고 강백호(KT)는 이정후가 세웠던 5년차 최고 연봉 타이 기록(5억5000만원)을 이뤘다. 추신수에 이어 올해 가장 많은 연봉을 받는 선수는 삼성과 다년계약을 한 구자욱(25억원)이다. 구자욱에 이어 한유섬, 나성범(KIA·20억원), 박건우(NC·19억원), 박종훈(18억원)이 그 뒤를 잇는다. 올해 말 실시되는 샐러리캡 영향으로 구단들의 연봉 총액을 늘린 감이 없지 않다. 그래도 신인 연봉은 여전히 3000만원에 묶여 있다.
KBO리그 10개 구단 소속 527명(신인 및 외국인선수 제외)의 평균연봉은 1억5259명으로 집계됐다. 시즌 평균연봉 역대 최고액(종전 2019시즌 1억5065만원)을 경신했다. 연봉 20억원 이상을 받는 선수들도 총 4명이다. 하지만 억대 연봉자는 오히려 줄었다. 지난해 161명에서 올해는 158명이다. 2020시즌에도 억대 연봉자는 161명이었다.
에스에스지 다음으로 연봉 인상률이 높은 구단은 엔씨(NC) 다이노스이다. 엔씨는 지난해 포스트시즌 진출에 실패했으나 박건우, 손아섭 두 명의 에프에이(FA) 선수를 영입한 게 26.5%의 연봉 상승으로 이어졌다. 창단 첫 통합 우승을 이룬 케이티(KT) 위즈는 전년 대비 연봉이 19.9%가 인상돼 평균연봉이 1억2847만원이 됐다.
21 thg 2, 2022 — KBO리그 10개 구단 소속 527명(신인 및 외국인선수 제외)의 평균연봉은 1억5259명으로 집계됐다. 시즌 평균연봉 역대 최고액(종전 2019시즌 1억5065만원) …
- Source: www.hani.co.kr
- Views: 22327
- Publish date: 19 minute ago
- Downloads: 83048
- Likes: 7055
- Dislikes: 4
- Title Website: 2022시즌 프로야구 평균연봉은 ↑, 억대 연봉자는 – 한겨레
- Description Website: 21 thg 2, 2022 — KBO리그 10개 구단 소속 527명(신인 및 외국인선수 제외)의 평균연봉은 1억5259명으로 집계됐다. 시즌 평균연봉 역대 최고액(종전 2019시즌 1억5065만원) …
야구선수가 연봉은 더 높지만 실제로 받는 돈은 더 적은 이유
- Source: Youtube
- Views: 16824
- Date: 18 hours ago
- Download: 33341
- Likes: 2469
- Dislikes: 7
2022시즌 프로야구 평균연봉은 ↑, 억대 연봉자는 ↓
FA·다년 계약 ‘대박’ 속 부익부 빈익빈 심화
억대 연봉자 SSG는 20명, 한화는 8명
SSG 한유섬 1233.3%의 연봉 상승률
한겨레 DB.
2022시즌 KBO리그 연봉 현황이 21일 발표됐다. 평균연봉은 역대 최고를 기록했으나 억대 연봉자는 오히려 줄었다. 갈수록 심화하는 부익부 빈익빈 현상을 보여준다.
KBO리그 10개 구단 소속 527명(신인 및 외국인선수 제외)의 평균연봉은 1억5259명으로 집계됐다. 시즌 평균연봉 역대 최고액(종전 2019시즌 1억5065만원)을 경신했다. 연봉 20억원 이상을 받는 선수들도 총 4명이다. 하지만 억대 연봉자는 오히려 줄었다. 지난해 161명에서 올해는 158명이다. 2020시즌에도 억대 연봉자는 161명이었다.
최고 연봉 구단(2억7044만원)은 에스에스지(SSG) 랜더스다. 리그 최고 연봉자(27억원)인 추신수(40)의 영향이 크다. 또한 박종훈, 문승원, 한유섬과 다년 계약을 하면서 연봉 상승률이 높았다. 올해 에스에스지의 연봉 인상률은 무려 55.2%에 이른다. 에스에스지의 억대 연봉자는 총 20명이다.
에스에스지 다음으로 연봉 인상률이 높은 구단은 엔씨(NC) 다이노스이다. 엔씨는 지난해 포스트시즌 진출에 실패했으나 박건우, 손아섭 두 명의 에프에이(FA) 선수를 영입한 게 26.5%의 연봉 상승으로 이어졌다. 창단 첫 통합 우승을 이룬 케이티(KT) 위즈는 전년 대비 연봉이 19.9%가 인상돼 평균연봉이 1억2847만원이 됐다.
박병호(KT)가 이적한 키움 히어로즈는 유일하게 평균연봉이 9.9% 줄었다. 10개 구단 중 선수 평균 나이(25.8살)가 가장 적은 한화 이글스는 평균연봉이 2년 연속 1억원에 못 미쳤다. 그래도 2021시즌(7994만원)보다는 13.2% 증가해 9052만원이 됐다. 억대 연봉자는 8명에 불과하다. 에스에스지 절반에도 못 미친다.
선수별로 보면 소속팀 에스에스지와 5년 다년계약을 한 한유섬이 1233.3%의 높은 연봉 상승률을 보였다. 지난해 연봉이 1억8000만원이었는데 올해는 22억2000만원이 인상된 24억원을 받는다. 양의지(NC)가 2019년 기록한 역대 최고 인상액(14억원)을 넘어섰다.
지난해 타격왕 이정후(키움)는 6년차 최고 연봉 기록(7억5000만원)을 세웠고 강백호(KT)는 이정후가 세웠던 5년차 최고 연봉 타이 기록(5억5000만원)을 이뤘다. 추신수에 이어 올해 가장 많은 연봉을 받는 선수는 삼성과 다년계약을 한 구자욱(25억원)이다. 구자욱에 이어 한유섬, 나성범(KIA·20억원), 박건우(NC·19억원), 박종훈(18억원)이 그 뒤를 잇는다. 올해 말 실시되는 샐러리캡 영향으로 구단들의 연봉 총액을 늘린 감이 없지 않다. 그래도 신인 연봉은 여전히 3000만원에 묶여 있다.
한편, 올해 최고령 선수는 시즌 뒤 은퇴를 선언한 이대호(롯데)다. 등록시점으로 만 39살7개월11일이다. 리그 최연소 선수는 문동주(한화)로 만 18살1개월9일의 나이로 등록됐다. KBO리그는 3월12일부터 시범경기를 실시하며 4월2일 정규리그가 개막한다.
김양희 기자 [email protected]
2021 프로야구 연봉 순위 랭킹 TOP10 (KBO 국내선수) – 쿨꽃투혼
9위는 연봉 9억을 받는 기아 타이거즈 최형우 선수입니다. 성공적인 FA를 치뤘던 혜자 최형우 선수는 두 번째 FA에서도 기아 타이거즈의 부름을 받아, 계약기간 3년에 계약금 13억원, 연봉 9억원, 옵션 7억원 총 47억원에 계약을 맺었습니다.
이상으로 2021 KBO 한국 프로야구 국내 선수 연봉 순위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모든 선수들이 자신의 연봉에 걸맞게 부상 없이 좋은 활약 펼쳐주기를 기대합니다. 올해도 선수들에 대한 많은 응원 부탁 드려요~!
대망의 1위는 메이저리그에서 복귀한 추신수 선수입니다. 추신수 선수는 KBO 역대 최고 연봉 금액인 27억에 SSG와 계약하였습니다. 참고로 기존 최고 연봉 금액은 롯데 자이언츠 이대호 선수의 25억이었습니다.
2021년 KBO 한국 프로야구 연봉 순위를 알아보겠습니다. 외국인 용병 및 신인 선수를 제외한 국내 선수 연봉 순위입니다. 10위 이대호(롯데 자이언츠), …
- Source: cool2cool.tistory.com
- Views: 89829
- Publish date: 46 minute ago
- Downloads: 21466
- Likes: 2070
- Dislikes: 4
- Title Website: 2021 프로야구 연봉 순위 랭킹 TOP10 (KBO 국내선수) – 쿨꽃투혼
- Description Website: 2021년 KBO 한국 프로야구 연봉 순위를 알아보겠습니다. 외국인 용병 및 신인 선수를 제외한 국내 선수 연봉 순위입니다. 10위 이대호(롯데 자이언츠), …
- Source: Youtube
- Views: 29325
- Date: 9 hours ago
- Download: 5099
- Likes: 978
- Dislikes: 9
2021 프로야구 연봉 순위 랭킹 TOP10 (KBO 국내선수)
2021년 KBO 한국 프로야구 연봉 순위를 알아보겠습니다.
외국인 용병 및 신인 선수를 제외한 국내 선수 연봉 순위입니다.
10위
이대호(롯데 자이언츠), 황재균(kt 위즈), 정우람(한화 이글스) (이상 3명)
연봉 : 8억원
10위는 총 3명의 선수가 있습니다. 롯데 자이언츠 이대호, kt 위즈 황재균, 한화 이글스 정우람 선수가 8억의 연봉으로 공동 10위입니다.
국내 복귀 후 두 번째 FA를 맞이한 이대호 선수는 롯데 자이언츠와 계약기간 2년 총액 26억원 (계약금 8억원, 연봉 8억원, 우승 옵션 매년 1억원)에 FA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이대호-롯데 자이언츠)
(황재균-kt 위즈)
(정우람-한화 이글스)
9위
최형우(기아 타이거즈)
연봉 : 9억원
9위는 연봉 9억을 받는 기아 타이거즈 최형우 선수입니다. 성공적인 FA를 치뤘던 혜자 최형우 선수는 두 번째 FA에서도 기아 타이거즈의 부름을 받아, 계약기간 3년에 계약금 13억원, 연봉 9억원, 옵션 7억원 총 47억원에 계약을 맺었습니다.
KIA 타이거즈 최형우
7위
허경민(두산 베어스), 김현수( LG 트윈스) (이상 2명)
연봉 : 10억원
참고로 7위에 두 명의 선수가 있기 때문에 8위가 없습니다.
2021년 자유계약선수(FA) 최대어로 꼽힌 내야수 허경민(30)이 KBO리그 역대 최장기간인 ‘7년’ 최대 85억원에 두산 베어스와 잔류 계약을 했습니다.
(허경민-두산 베어스)
(김현수-LG 트윈스)
5위
오승환(삼성 라이온즈), 이재원(SSG 랜더스) (이상 2명)
연봉 : 11억원
5위 역시 두 명이기 때문에 6위가 없습니다.
(오승환 – 삼성 라이온즈)
(이재원-SSG 랜더스)
4위
최정(SSG 랜더스)
연봉 : 12억원
(최정-SSG 랜더스)
2위
양의지(NC 다이노스), 박병호(키움 히어로즈) (이상 2명)
연봉 : 15억원
(양의지-NC 다이노스)
(박병호-키움 히어로즈)
1위
추신수(SSG 랜더스)
연봉 : 27억원
대망의 1위는 메이저리그에서 복귀한 추신수 선수입니다. 추신수 선수는 KBO 역대 최고 연봉 금액인 27억에 SSG와 계약하였습니다. 참고로 기존 최고 연봉 금액은 롯데 자이언츠 이대호 선수의 25억이었습니다.
(추신수-SSG 랜더스)
이상으로 2021 KBO 한국 프로야구 국내 선수 연봉 순위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모든 선수들이 자신의 연봉에 걸맞게 부상 없이 좋은 활약 펼쳐주기를 기대합니다. 올해도 선수들에 대한 많은 응원 부탁 드려요~!
[프로야구 연봉순위] KBO 야구선수 연봉 순위 TOP 60
- Source: blog.naver.com
- Views: 61636
- Publish date: 2 hours ago
- Downloads: 37068
- Likes: 1314
- Dislikes: 9
- Title Website: [프로야구 연봉순위] KBO 야구선수 연봉 순위 TOP 60
- Description Website:
국내 야구선수 연봉 순위 top7
- Source: Youtube
- Views: 92650
- Date: 48 minute ago
- Download: 42565
- Likes: 1182
- Dislikes: 4
[프로야구 연봉순위] KBO 야구선수 연봉 순위 TOP 60
야구 [프로야구 연봉순위] KBO 야구선수 연봉 순위 TOP 60 BLOG O ・ URL 복사 본문 기타 기능 공유하기 신고하기 2021년 9월 현재 KBO 프로야구 선수들의 연봉 및 총액(연봉 + 계약금 + 옵션) 정보입니다. 제목에 간단하게 연봉 순위라고 적었지만 아무래도 선수의 가치를 조금 더 반영하는 것이 총액이라고 생각되어 총액으로 정렬한 순위표를 먼저 게재하고 뒤에 연봉 순위표를 덧붙입니다. (예: 손아섭 선수는 4년 총액 98억원 계약을 하고 있는 선수(4위)인데, 1년 연봉은 5억원으로 24위 수준) (최근 FA 등급 제도로 인해 자진하여 연봉을 삭감하고 계약 형태를 조정하는 선수들이 늘어나는 추세) 연봉이 3억원을 넘는 선수가 총 48명이며 연봉 3억원 미만 선수 중 FA로 다년 계약을 맺은 선수 12명을 더 추가하여 정리했습니다. ctrl+F 키를 통해 선수를 검색할 수 있습니다. <야구선수 총액(연봉 + 계약금 + 옵션) 순위> 선수 소속팀 포지션 연봉 총액(/1년) 1 양의지 NC 다이노스 포수 15억 31억 2500만 2 김현수 LG 트윈스 외야수 10억 28억 7500만 3 추신수 SSG 랜더스 외야수 27억 27억 4 손아섭 롯데 자이언츠 외야수 5억 24억 5000만 5 황재균 KT 위즈 내야수 8억 22억 6 강민호 삼성 라이온스 포수 5억 20억 7 민병헌 롯데 자이언츠 외야수 5억 20억 8 최정 SSG 랜더스 내야수 12억 17억 6700만 9 이재원 SSG 랜더스 포수 11억 17억 2500만 10 허경민 두산 베어스 내야수 10억 16억 2500만 11 최형우 기아 타이거즈 외야수 9억 15억 6700만 12 박병호 키움 히어로즈 내야수 15억 15억 13 안치홍 롯데 자이언츠 내야수 2억 9000만 14억 14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내야수 8억 13억 15 오재일 삼성 라이온스 내야수 6억 12억 5000만 16 박석민 NC 다이노스 내야수 7억 11억 3300만 17 오승환 삼성 라이온스 투수 11억 11억 18 오지환 LG 트윈스 내야수 6억 10억 19 최주환 SSG 랜더스 내야수 6억 5000만 10억 20 유한준 KT 위즈 외야수 5억 10억 21 김선빈 기아 타이거즈 내야수 4억 5000만 10억 22 나지완 기아 타이거즈 외야수 4억 10억 23 유희관 두산 베어스 투수 3억 10억 24 차우찬 LG 트윈스 투수 3억 10억 25 정우람 한화 이글스 투수 8억 9억 7500만 26 정수빈 두산 베어스 외야수 6억 9억 3300만 27 박경수 KT 위즈 내야수 4억 8억 6700만 28 전준우 롯데 자이언츠 외야수 5억 8억 5000만 29 김재호 두산 베어스 내야수 6억 8억 3300만 30 나성범 NC 다이노스 외야수 7억 8000만 7억 8000만 31 김재환 두산 베어스 외야수 7억 6000만 7억 6000만 32 정의윤 SSG 랜더스 외야수 3억 7억 2500만 33 모창민 NC 다이노스 내야수 3억 6억 6700만 34 이원석 삼성 라이온스 내야수 3억 6억 6700만 35 박민우 NC 다이노스 내야수 6억 3000만 6억 4000만 36 오재원 두산 베어스 내야수 3억 6억 3300만 37 김상수 삼성 라이온스 내야수 2억 5000만 6억 38 이정후 키움 히어로즈 외야수 5억 5000만 5억 5000만 39 노경은 롯데 자이언츠 투수 2억 5억 5000만 40 김상수 SSG 랜더스 투수 3억 5억 1700만 41 송은범 LG 트윈스 투수 2억 7000만 5억 42 우규민 삼성 라이온스 투수 2억 5억 43 김강민 SSG 랜더스 외야수 2억 5억 44 박건우 두산 베어스 외야수 4억 8000만 4억 8000만 45 이보근 KT 위즈 투수 2억 4억 7500만 46 김민성 LG 트윈스 내야수 4억 4억 47 이지영 키움 히어로즈 포수 3억 4억 48 박해민 삼성 라이온스 외야수 3억 8000만 3억 8000만 49 진해수 LG 트윈스 투수 2억 5000만 3억 6700만 50 김성현 SSG 랜더스 내야수 2억 5000만 3억 6700만 51 구자욱 삼성 라이온스 외야수 3억 6000만 3억 6000만 52 오주원 키움 히어로즈 투수 2억 3억 5000만 53 조상우 키움 히어로즈 투수 3억 3000만 3억 3000만 54 김태군 NC 다이노스 포수 2억 3억 2500만 55 박종훈 SSG 랜더스 투수 3억 2000만 3억 2000만 56 강백호 KT 위즈 내야수 3억 1000만 3억 1000만 57 원종현 NC 다이노스 투수 3억 3억 58 유강남 LG 트윈스 포수 3억 3억 59 채은성 LG 트윈스 외야수 3억 3억 60 문승원 SSG 랜더스 투수 3억 3억 <2021년 야구선수 연봉 순위> 선수 소속팀 포지션 연봉 총액(/1년) 1 추신수 SSG 랜더스 외야수 27억 27억 2 양의지 NC 다이노스 포수 15억 31억 2500만 3 박병호 키움 히어로즈 내야수 15억 15억 4 최정 SSG 랜더스 내야수 12억 17억 6700만 5 이재원 SSG 랜더스 포수 11억 17억 2500만 6 오승환 삼성 라이온스 투수 11억 11억 7 김현수 LG 트윈스 외야수 10억 28억 7500만 8 허경민 두산 베어스 내야수 10억 16억 2500만 9 최형우 기아 타이거즈 외야수 9억 15억 6700만 10 황재균 KT 위즈 내야수 8억 22억 11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내야수 8억 13억 12 정우람 한화 이글스 투수 8억 9억 7500만 13 나성범 NC 다이노스 외야수 7억 8000만 7억 8000만 14 김재환 두산 베어스 외야수 7억 6000만 7억 6000만 15 박석민 NC 다이노스 내야수 7억 11억 3300만 16 최주환 SSG 랜더스 내야수 6억 5000만 10억 17 박민우 NC 다이노스 내야수 6억 3000만 6억 4000만 18 오재일 삼성 라이온스 내야수 6억 12억 5000만 19 오지환 LG 트윈스 내야수 6억 10억 20 정수빈 두산 베어스 외야수 6억 9억 3300만 21 김재호 두산 베어스 내야수 6억 8억 3300만 22 이정후 키움 히어로즈 외야수 5억 5000만 5억 5000만 23 손아섭 롯데 자이언츠 외야수 5억 24억 5000만 24 강민호 삼성 라이온스 포수 5억 20억 25 민병헌 롯데 자이언츠 외야수 5억 20억 26 유한준 KT 위즈 외야수 5억 10억 27 전준우 롯데 자이언츠 외야수 5억 8억 5000만 28 박건우 두산 베어스 외야수 4억 8000만 4억 8000만 29 김선빈 기아 타이거즈 내야수 4억 5000만 10억 30 나지완 기아 타이거즈 외야수 4억 10억 31 박경수 KT 위즈 내야수 4억 8억 6700만 32 김민성 LG 트윈스 내야수 4억 4억 33 박해민 삼성 라이온스 외야수 3억 8000만 3억 8000만 34 구자욱 삼성 라이온스 외야수 3억 6000만 3억 6000만 35 조상우 키움 히어로즈 투수 3억 3000만 3억 3000만 36 박종훈 SSG 랜더스 투수 3억 2000만 3억 2000만 37 강백호 KT 위즈 내야수 3억 1000만 3억 1000만 38 유희관 두산 베어스 투수 3억 10억 39 차우찬 LG 트윈스 투수 3억 10억 40 정의윤 SSG 랜더스 외야수 3억 7억 2500만 41 모창민 NC 다이노스 내야수 3억 6억 6700만 42 이원석 삼성 라이온스 내야수 3억 6억 6700만 43 오재원 두산 베어스 내야수 3억 6억 3300만 44 김상수 SSG 랜더스 투수 3억 5억 1700만 45 이지영 키움 히어로즈 포수 3억 4억 46 원종현 NC 다이노스 투수 3억 3억 47 유강남 LG 트윈스 포수 3억 3억 48 채은성 LG 트윈스 외야수 3억 3억 49 문승원 SSG 랜더스 투수 3억 3억 50 안치홍 롯데 자이언츠 내야수 2억 9000만 14억 51 송은범 LG 트윈스 투수 2억 7000만 5억 52 김상수 삼성 라이온스 내야수 2억 5000만 6억 53 진해수 LG 트윈스 투수 2억 5000만 3억 6700만 54 김성현 SSG 랜더스 내야수 2억 5000만 3억 6700만 55 노경은 롯데 자이언츠 투수 2억 5억 5000만 56 우규민 삼성 라이온스 투수 2억 5억 57 김강민 SSG 랜더스 외야수 2억 5억 58 이보근 KT 위즈 투수 2억 4억 7500만 59 오주원 키움 히어로즈 투수 2억 3억 5000만 60 김태군 NC 다이노스 포수 2억 3억 2500만 인쇄
주제에 대한 관련 정보 국내 야구 연봉 순위
Bing에서 국내 야구 연봉 순위 주제에 대한 최신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주제에 대한 기사 보기를 마쳤습니다 국내 야구 연봉 순위. 이 기사가 유용했다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이 주제와 관련하여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국내 야구 연봉 순위 세계 야구 연봉 순위, 프로야구 감독 연봉, mlb 야구선수 연봉, mlb 야구선수 연봉 순위, 프로야구 2군 연봉, 프로야구 팀 연봉 순위, 김광현 연봉, MLB 야구 선수 최고 연봉